오정희 컬렉션
오정희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의 배경은 1980년대 무렵 즈음 어느 주택가를 떠올리게 한다. 아파트가 이제 막 만들어지고 있었지만 서민들이 익숙하게 사는 그 곳이다. 응팔 시리즈를 단 하나도 본 적이 없지만 주변에서 들어서 저절로 알게 된 것이 많았는데 아마도 그 무렵의 동네를 생각나게 한다.

소설 속에 등장하는 아이들이 이야기하는 만화가 있는데 '우주소년 토토'다. 1983년에 나왔다고 하는 것을 보니 그 무렵이 시간적 배경일 것 같다.


아이들은 건강하게 자랄 수만은 없는 환경에 놓여 있다. 어른들의 눈치를 볼 수 밖에 없었는데 그마저도 분노가 쌓이니 뻔뻔해지고 감정적 폭발을 일으키기도 한다.
아이들이 안됐다고 생각하다가도 주변에 사는 사람들의 사정도 녹록치 않은 것이 보여서 마음이 불편했다.

폭력을 보고 자라는 아이의 미래의 내면은 상처와 얼룩으로 가득할 수밖에 없다. 아이들은 가만히 있는데도 "내가 미쳐!"라는 소리를 항시로 듣고 "내 명대로 못 살고 죽을 거야"라는 소리를 듣는다면 '나는 왜...' 라는 생각을 하게 되지 않을까.

집에 온 여자는 아이들에게 말했다.
"우리는 모두 매일매일 무엇인가가 되어가는 중이지. 너는 지금의 내가 되기 전의 나야. 아니면 내가 되어가는 중인 너라고 말해야 하나? 그래서 나는 너희들을 보는 게 무서워 견딜 수 없어."
나는 이 말을 하는 여자가 안 됐다고 생각하면서도 그 말을 듣는 아이들은 어쩌라는 걸까 생각했다.

아버지는 여자들을 때리고 아이들을 내팽겨쳤다. 남자는 열등감과 열패감을 분노로 포장해 여자들을 때리고 아이들을 내던졌다.

안방의 아랫목 쪽 벽 중간쯤에, 두 짝의 미닫이로 된 벽장문이 달려 있고, 그 문을 열면 다섯 개의 계단, 그 계단의 끝에 어슴푸레 떠 있는 공간이 나타난다. 묵은 잡동사니들이 가득 들어찬 다락의 어둑신함과 그 안에 서린 매캐하고 몽롱한 냄새, 모든 오래된 것의 안도감이 우리를 사로잡았다. 어둠과 먼지, 오래된 시간, 이제는 쓰일 일 없이 버려지고 잊힌 물건들 사이에서, 그 슬픔과 아늑함 속에서 우리는 둥지 속의 알처럼 안전했다. - P27

아이들이 그 속에서 스스로를 안전하게 생각하는 공간이란 다락방이라는 공간 밖에 없었던 것 같다. 그 곳에서 아이들은 이것 저것 열어보며 닫힌 것을 열어 제꼈다. 하늘을 날고 싶었던 동생도 그 곳에서는 잠시 자유로웠을까.



댓글(6)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돌이 2023-04-09 17:2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어마어마한 언어폭력인데요. 가끔 아니 너무 자주 부모들은 진짜 생각없이 아이들에게 언어폭력을 휘둘러요. 그게 폭력이라는 생각도 없이 말이죠. 갈수록 주변에서 우울증 증세를 보이는 아이들이 너무 많아지는 거 같아서 정말 안타까워요.

거리의화가 2023-04-10 09:36   좋아요 2 | URL
지금하고는 시대 차이가 있다고는 해도 여전히 폭력은 사라지질 않고 있어서 읽을수록 씁쓸함이...ㅠㅠ 바람돌이님은 아이들을 많이 만나니 더 많은 걸 느끼시겠네요.
저 말을 하는 어른들은 자기가 말하는 것이 언어폭력이라는 걸 인지조차 못햇을 거라고 봅니다. 그냥 자신의 한탄이자 신세 타령인데 그게 아이들에게는 내면을 갉아먹는 소리였겠죠. 이런 것들이 쌓이면 분노 조절 장애나 폭력을 가하는 아이로 가게 되는 것 같습니다. 악순환이네요ㅜㅜ

건수하 2023-04-10 09:2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제가 전에 읽었던 두 단편도 화자가 여자 어린이예요.
너는 지금의 내가 되기 전의 나야.. 라니 단편에선 그렇게 직접적이진 않았는데.
장편은 아무래도 작가가 하고 싶은 말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것 같네요.
읽어보고 싶기도 하고, 그냥 넘기고 싶기도 하고...

거리의화가 2023-04-10 09:42   좋아요 1 | URL
단편은 좀 소프트한 표현이었나보네요^^; 아무래도 단편은 짧은 이야기로 작가의 메시지를 보여주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니까.
읽기 힘들기는 했지만 그래도 읽어보길 잘했다고 생각합니다. 폭력에 무뎌지지는 않아야 하지만 이런 책을 통해서 어떤 것이 폭력적인 표현임을 인지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수하님께 감사 인사 전해요^^

건수하 2023-04-10 09:45   좋아요 1 | URL
감사는요… 거리의화가님이 관심가지셔서 저도 기뻤어요.
단편에서는 어른들이 말을 많이 하지 않고 주로 아이의 시선으로 서술했던 것 같아요.

위에 신세한탄이라고 하셨는데 저도 그렇게 느껴지더라고요… 저도 모르게 하고있을지도 모르겠는데 조금 더 조심해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런데 그게 조심한다고 되는게 아니라 애초에 상황이 그리고 성격이 긍정적이어야 될 것 같네요.. 🥲

거리의화가 2023-04-10 09:50   좋아요 1 | URL
이 책도 아이의 시선입니다. 다만 어른들의 대화들도 등장하는데 뼈아픈 말들이 좀 많았어요. 당시에는 지금보다 폭력에 더 무딘 시대였으니... 좀 더 나아지는 세상이 되면 좋겠네요^^;
 

엘 그레코 그림

귀스타브 모로‘s 제우스와 세멜래

이 두 세계는 발베크만의 한쪽 끝에 위치한 바닷가 주민들이 또 다른 끝에 위치한 바닷가를 바라보듯이 서로를 허구적이고 거짓된 시각으로 보고 있다. 리브벨에서도 ‘오만한 마르쿠빌‘이 약간은 보이며 그래서 마르쿠빌 쪽에서도 리브벨을 보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이는 틀린 생각이다. 리브벨의 번화한 모습은 반대로 대부분 마르쿠빌에서는 보이지않는다. - P11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관리들 중 날마다 사냥하고 활쏘는 무리들이 있습니다. 이들은 백성의 희망을 끊어내고 조정의 기강을 해이하게 하니 처리해야합니다. ” 하니 황제가 받아들였다.

황제가 총애하는 신부인이 황후와 같은 자리에 앉아있다가 원앙이 “황후와 신부인이 어찌 동급이겠습니까? 예전 척부인의 일을 생각해보십시오.” 하고 신부인이 원앙에게 50근의 금을 주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국가와 사회가 삶의 안전망을 보장해주지 않을수록 가족은 절대적 성역이 되어버린다. 가족이 국가의 책임과 의무를 모두 다떠안게 되는 것이다. 부모의 절대적인 희생을 강조하는 것도 그러한 것이지만, 자식에 대한 어머니의 무조건적인 사랑을 칭송하기만은 어려운 이유이다. 어머니는 위대하지만 그 길을 선택하지않은 여성의 삶도 그만큼 가치 있다. - P172

돌이켜보면 남북의 여성 모두가 비슷한 경험을 한 것 같다. 지금이야 남한의 경제력이 상당히 발전하여 북조선 여성들이 처한경제적 여건과 이를 비교할 수는 없겠지만 분단 이래로 남북의여성들은 가족들의 밥상을 마련하기 위해서 고군분투해왔다. 남북을 막론하고 한반도를 살아가는 여성들에게 ‘밥’의 의미는 삶이고 가족이었으며 그녀들 자신이었다. - P244

. ‘밥‘을 중요하게 생각하면서도 동시에 그것에만 얽매여 살지 않는 그녀들의 삶의 양면성을 놓쳐서는 안 된다. 더 나은 미래를 위해서, 좀더안정적인 삶을 위해서 북조선 여성들은 시장으로 나섰고, 국경을 넘었으며, 불법적인 신분을 감내하면서도 악착같이 중국에서의 삶을 버텨내고 있다. 북조선 여성들은 그 누구보다 용감했으며 자신들의 삶에 대한 의지가 있었다. 무엇보다 그녀들은 현실에 안주하지 않았다.
그것만이 아니다. 생존과 가족 부양에만 급급할 것이라고 생각했던 북조선 여성들은 종종 자신들의 꿈에 대해서 얘기하기도 했다. - P24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그너의 니벨룽겐의 반지
라인의 황금에 나오는 라인 강의 모티프
탄호이저의 젊은 목동의 노래

나는 이런 사후의 삶 속으로,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을 거라는 관념을 쉽게 받아들이지 않는 내 추억이나 내 결점, 내 성격 들을 가져갈 수 없으며, 또 나를 위해서도 이런 것들이이상 존재하지 않을 무나 영원을 원치 않았다. - P56

나는 이 모든 일시적인 명사 또는 지역 명사들이 나에 대해 가질 의견에 많은 신경을 썼으며, 다른 사람의 입장에 나 자신을 두고 그들의 정신 상태를다시 생각해 보는 내 성향에 따라 그들의 실제 신분, 이를테면파리에서 차지했을지도 모르는 지극히 낮은 신분에다 그들을두지 않고, 그들 스스로가 생각하는 그런 신분에서 그들을 생 - P76

각했다. 또 사실인즉 발베크에는 공통된 척도가 없었으므로,
이런 척도의 부재가 그들에게 일종의 상대적인 우월성과 특이한 관심을 부여하여, 실제로도 그들을 그렇게 보이게 했다. - P77

어느 천재 작곡가가 작곡한, 표현이 풍부하면서도 섬광 같은불꽃이나 강물의 속삭임, 전원의 평화로움을 찬란하게 묘사한주제가 대본을 미리 읽어 본 청중에게 그들의 상상력을 올바른 길로 이끌어 주는 것과 마찬가지라 할 수 있다. 스테르마리아 양이 지닌 매력의 근원이라 할 수 있는 ‘혈통’은 그녀의 매력을 보다 명료하고 완전하게 만들었다. 마치 값이 비싸면 우리 마음에 든 물건의 가치가 더 높아 보이듯이 그녀의 매력도좀처럼 접근될 수 없음을 알리면서 더욱 욕망을 부추겼다. 유전적인 나무줄기가, 선택된 수액으로 만들어진 그녀의 안색에이국적인 과일 또는 유명 포도주의 맛을 부여했다. - P77

거짓말쟁이들의 대다수가 그렇듯이, 별 의미가 없어 사람들이 캐지 않을 거라고 상상하며 말하는 세부 사항들이야말로 바로 그 사람의 성격을 폭로하기에 충분하며 대수롭지 않은 사실에서 우연히 그 세부 사항과 모순된 점이 드러나는) 영원한 불신을 초래하는 요소다. - P8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