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크스를 위하여
루이 알튀세르 지음, 서관모 옮김 / 후마니타스 / 201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텍스트들은 어떤 저작에 대한 고찰, 비판이나 반박들에 대한대답, 공연에 대한 분석 등으로서 거의 모두가 어떤 정세 속에서 탄생했다. 각기 어떤 특정한 계기에 탄생한 이 텍스트들은 그렇지만 하나의 동일한 시대와 동일한 역사의 산물이다. 그것들은 각기 나름의방식으로, 마르크스 속에서 사고하고자 한 내 나이 또래의 모든 철학자들이 겪어야 했던 하나의 특이한 경험, 즉 역사가 우리를 몰아넣은 이론적 궁지에서 벗어나기 위해 필수 불가결했던, 마르크스의 철학적 사고에 대한 탐구에 관한 증언들이다. - P43~44


해제 읽었다가 너무 어려워서 화들짝 놀랐는데 그나마 본문은 이해가 조금은 갔다고 해야 할까(그래도 머리에 쥐나는 줄). 물론 이 책을 단번에 이해하겠다고 덤벼드는 것은 애시당초 무리라 생각했다. 이 책은 알튀세르가 여러 잡지에 낸 글들을 한데 모아 책으로 펴낸 것이다. 마르크스가 펴낸 텍스트를 통해 그 시대를 이해하고 마르크스주의에 집착했던 당시의 젊은이들의 생각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알튀세르가 마르크스주의를 비판하게 된 이유도 짐작할 수 있다.


마르크스의 저작들은 총 4개의 시기로 구분될 수 있다. 1840~1844은 청년기 저작들, 1845은 분기점이 되는 저작들, 1845~1857은 성숙 단계로 나아가는 저작들, 1857~1883은 성숙기 저작들이다. 이 중 눈에 띄는 시기는 단연코 1845년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 시기를 분기점으로 보는 이유는 마르크스와 포이어바흐의 관계, 마르크스와 헤겔의 관계에 대한 본격적인 비판이 행해지기 때문이다. 1845년은 마르크스가 <포이어바흐의 테제>를 써낸 해이다(물론 이는 마르크스 생전에 알려지지 않았고 1888년에서야 엥겔스에 의해 출간되었다). 포이어바흐는 청년헤겔학파 철학자로 마르크스가 선구적 유물론자라고 생각했던 인물이다. 마르크스는 당시 독일이 관념론의 철학으로 이론에 집착한 채 현실의 개혁과는 유리되어 있다고 여겼다. 


포이어바흐는 청년 헤겔주의 운동의 이론적 발전에서 등장한 위기의 증인이자 동인지이다. 1841년과 1845년 사이 청년 헤겔파의 텍스트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포이어바흐를 읽어야만 한다. 특히우리는 청년 마르크스의 저작들에 포이어바흐의 사상이 어느 정도까지 스며들었는지 볼 수 있다. - P89


<청년 마르크스에 대하여>는 ‘마르크스주의 철학과 특수성을 어떻게 정의해야 하는가?’를 담고 있다. 알튀세르는 이를 위해 앞선 헤겔과 포이어바흐의 철학을 읽으면서 그들 간의 차이가 무엇인가를 연구했다. 

청년 마르크스의 저작들의 문제를 제기하기 위해서 철학자들에게도 청년기가 있음을 인정해야 한다는 부분이 인상적이었다. 어찌 보면 당연한 말이다. 마르크스도 청년기가 있다는 사실, 여물지 않은 시기에 마르크스도 불완전한 부분과 문제적 부분이 존재할 수 밖에 없음이다. 그리고 이데올로기(이론)는 이데올로기가 펼쳐지는 장에서 구성되거나 그와 반대되는 문제가 무엇인지에 대한 지식을 전제로 한다. 


마르크스 자신의 시작이 부과한 이 이론적 "장정"에서 마르크스는 무엇을 얻었는가? 그가 결말로부터 그토록 먼 곳에서 시작함으로써, 철학적 추상 속에 그토록 오래 체류함으로써, 현실을 다시 발견하기 위해 그런 공간들을 편력함으로써 얻은 것은 무엇인가? 아마도 그것은 그가 개인으로서 비판적 정신을 날카롭게 가다듬게 되었다는 것과 계급투쟁과 이데올로기들에 대한 역사적으로 비견할 수 없도록 주의 깊은 "임상적 감각을 취득했다는 것일 터이요, 그뿐 아니라, 특히 헤겔과 접촉함으로써, 모든 과학적 이론의 구성에 불가결한 추상화의 감각과 실제, 즉 헤겔 변증법이 그에게 그 추상적이고 "순수한" "모델"을 제공한 이론적 종합 및 과정의 논리의 감각과 실제를 익힌 것일 터이리라. - P156


‘지금 문제되는 것은 변증법, 오직 변증법이다. 헤겔은 “변증법의 일반적 운동 형태들을 최초로 포괄적이고 의식적인 방식으로 서술한” 인물이었다. 마르크스는 헤겔에게서 변증법을 되찾아서 이념이 아닌 삶에 적용하고자 했다. ‘

이 책을 읽으면서 느낄 수 있는 사실은 마르크스가 헤겔에 많은 빚을 지고 있다는 인식이었다. 비판을 하기 위해서는 이론을 파지 않으면 안 된다. 헤겔의 변증법을 이용하여 마르크스는 나아가 유물론적 변증법을 펼쳤다. 

마르크스주의 변증법을 헤겔 변증법과 구별하는 고유한 차이란 무엇인가? 제기된 이 문제는, 마르크스의 이론적 실천에 의해서든 계급투쟁의 정치적 실천에 의해서든 간에, 마르크스주의적 실천에 의해 이미 해결되었다. 따라서 그 해법은 마르크스주의의 저작들 속에 실존하는데, 그러나 그것은 실천적 상태로 실존한다. 이제 그 해법을 이론적 형태로 진술해야 한다. - P312


마르크스가 생각한 자본-노동의 모순은 국가, 지배 이데올로기, 종교, 조직된 정치운동에 의해 특수화되고 내적, 외적인 역사적 상황에 의해 특수화된다. 어느 조건 안에서도 모순은 결코 순수한 상태로 나타나지 않고 역사적 실천과 역사적 경험 속에서 작동한다. 

마르크스주의적 모순의 특유한 차이는 모순의 "불균등성" 또는 "과잉결정"이며, 이 "불균등성" 또는 "과잉결정"은 모순 속에 모순의 존재 조건을, 즉 모순의 실존인 항상-이미 주어진 복잡한 전체의 특수한 (지배 관계를 갖는) 불균등성의 구조를 반영한다. 이처럼 이해된 모순은 모든 발전의 동력이다. 모순의 과잉결정에 기반한 전위와 압축은 그것들의 우세 dominance 여하에 따라, 복잡한 과정의 실존, 즉 "사물들의 생성"의 실존을 구성하는 (비적대적·적대적·폭발적)국면들을 설명한다. - P375


변증법에 대한 정의가 자신이 그것에 대해 진술한 그 영역을 넘어서는지, 따라서 이론적으로 단련된 보편성을 주장할 수 있는지 여부를 입증하기 위해서는, 이 정의를 다른 구체적 내용들, 다른 실천들의 시험에 부쳐 봐야 한다. 예컨대, 자연과학의 이론적 실천의 시험에, 과학들 속에서 아직도 문제가 야기되는 이론적 실천들(인식론, 과학사, 이데올로기들의 역사, 철학사 등)의 시험에 부쳐 봐야 한다. 이 정의를 이런 시험에 부치는 것은 이 정의의 유효범위를 확고히 하기 위한 것이요, 경우에 따라, 의당 그래야 하듯이, 이 정의를정정하기 위한 것이며, 요컨대 우리가 검토한 "개별특수적인 것"particulier 내에서 이 "개별특수적인 것"을 개별특수적인 것으로 만든보편적인 것 자체를 제대로 파악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 P377


책을 좀 더 꼭꼭 씹어 소화시켜서 정리하면 좋을텐데 역시 쉽지는 않은 것 같다. 용어 자체가 난해한데다가 문장이 단 번에 이해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간혹 읽으면서 놀라움을 주는 구절들도 있었다. 참고로 주석이 어마어마하다. 물론 주석을 읽는다고 해서 이해되는 것은 아니지만 나중에라도 참고할 수 있겠다. 뒤이어 <자본을 읽자>를 읽게 될 텐데 조금은 도움이 될 거라 믿어본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이 2025-01-30 08:0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와 화가님, 저 존경심이 완전 파도처럼 일렁거립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하루 늦었지만 존경심 이야기만 하고 그냥 가면 서운해서 :)

거리의화가 2025-01-31 16:08   좋아요 0 | URL
너무 대충 써서 민망합니다. 안 쓰면 그마저도 휘발될 것 같아 써둔 것이라서^^;
수이 님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건강하시고 무탈하시고 하는 일 모두 잘 되시기를 소망합니다.

새파랑 2025-01-31 10:1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역시 어려운책 전문 화가님~! 마르크스는 이름부터 어려워요 ㅜㅜ

거리의화가 2025-01-31 16:09   좋아요 1 | URL
ㅋㅋㅋㅋ 이 책이 어려운 것은 맞지만 리뷰 쓰면서도 날림으로 읽었다 싶어서 민망합니다. 새파랑 님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블렌드 오렌지선셋 - 200g, 홀빈
알라딘 커피 팩토리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알라딘에서 매달 원두를 주문하면서도 이제는 비슷비슷해서 감흥이 떨어지는 중이었다. 그러다 설 연휴로 할인하길래 미끼를 덥썩 물었다(이런 할인 자주 해주시면 감사). 산미가 조금 있는 편이라 아침보다는 낮에 마시기에 더 좋았다. 그래도 감귤의 달콤함을 느끼기에는 금방 지나가는 것 같기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위대한 유산 2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13
찰스 디킨스 지음, 이인규 옮김 / 민음사 / 200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인공이 받은 것들은 모두 제자리로 되돌아간다. 그가 싫어하고 혐오했던 것에 빚을 졌다는 사실을 깨닫는 일은 자신의 잘못을 깨닫게 만드는 작가의 효과적인 장치였다고 느껴진다. 또한 이집트로 떠나 일을 하게 되는 설정 등을 비롯한 이야기는 영국 제국주의와 식민지에 대한 비판이 엿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위대한 유산 1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12
찰스 디킨스 지음, 이인규 옮김 / 민음사 / 200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기 자신을 속이는 사기꾼에 비하면 이 세상의 다른 사기꾼들은 모두 아무 것도 아닐 것이다.‘ 자기 자신을 속이기는 얼마나 쉬우며 나 자신과 타협하는 것은 얼마나 쉬운가. 핍은 고상한 신사가 되고자 했으나 그가 모델로 설정한 이들은 차별주의적인 인물들 뿐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기 사슬의 양쪽 끝이 있다. 경제가 역사Hitoire의 경로를결정한다. 그러나 최종 심급에서 그러하다. 최종적으로 결정적이라고schlieBlich entscheidenden 엥겔스는 기꺼이 말한다. 그러나 이 경로는 - P199

상부구조의 다양한 형태들, 지역적 전통들이, 국제적 정황들의 세계를 통해 "관철된다". 나는 이 검토에서 최종 심급, 즉 경제에 의한결정과, 상부구조들, 국민적 전통들, 국제적 사건들에 의해 부과되는 고유한 결정들 사이의 관계에 대해 엥겔스가 제안하는 이론적해법은 제쳐 두려 한다. 여기서는 단지 그것으로부터 경제적인 것에의한 최종 심급에서의 결정에 대한 상부구조들로부터, 국내적·국제적인개별특수적 particulières 정황들로부터 야기된) 효력 있는 결정들의 축적이라고 불러야 할 것을 취하는 것으로 족하다. 내가 제출한 과잉결정된 모순이라는 표현이 바로 여기서 명확해질 것으로 보이는데, 왜냐하면 과잉결정의 존재는 더 이상 순수하고 단순한 사실이 아니기때문이고, 우리는 이 과잉결정의 존재를, 그 핵심에서, 비록 우리의설명이 아직 지시적인 것에 머문다 하더라도, 그것의 토대jondemen에연관시켰기 때문이다. - P200

마르크스의 역사적 이론의 수준, 그것은 구조 개념, 상부구조 개그리고 이 개념들의 모든 특수화들 spécijfications의 수준이다. 그렇지만 동일한 과학적 학문 분야가 자신의 수준과는 다른 수준에서, 어떠한 과학적 인식의 대상도 아닌 수준에서(우리의 경우 무한한 상황들로부터 개인적 의지들이 발생하고, 무한한 평행사변형으로부터 최종적 합력이 발생하는수준에서) 자신의 고유한 대상의 가능성과 이 대상에 상응하는 개념들의 가능성을 생산하려 한다면, 그 학문 분야는 인식론적 공백 속으로, 또는 인식론적 공백의 혼미로서의 철학적 충만 속으로 떨어진다. - P224

어떠한 형태의 이데올로기적 의식도 자기 자신의 내부적 변증법에 의해 자신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그 무엇을 자신 속에 지닐 수없다는 원리, 엄밀한 의미에서 의식의 변증법은 존재하지 않는다는원리, 즉 자기 자신의 모순들의 힘에 의해 현실 자체에 이르는 의식의 변증법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원리가 그것이다. 요컨대 그것은 일체의 헤겔적 의미의 "현상학은 불가능하다는 것인데, 왜냐하면 의식은 자신의 내적인 전개에 의해서가 아니라 자기와 별개인 것에 대한 근원적 발견에 의해서 현실에 가닿기 때문이다. - P250

우리는 일반 이론, 즉 실천 일반의 이론을[대문자로 시작하는] 이론Théorie‘이라 부를 것이다. 이 실천 일반의 이론 자체는 기존의 "경험적" 실천들(인간들의 구체적 활동)의 이데올로기적 생산물을 "지식들" (과학적 진리들)로 전화시키는 기존의 이론적실천들(과학들)에 대한 이론의 기초 위에서 정교제작된다. 이 이론은변증법적 유물론과 동일한 것인 유물론적 변증법이다. 이 정의들은, 이미 실천적 상태로 존재하는 해법을 이론적으로 진술하는 것이 무슨 소용이 있느냐 하는 질문에 이론적으로 근거를 갖춘 대답을 제공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 P290

마르크스주의 변증법을 헤겔 변증법과 구별하는 고유한 차이란 무엇인가? 제기된 이 문제는, 마르크스의 이론적 실천에 의해서든 계급투쟁의 정치적 실천에 의해서든 간에, 마르크스주의적 실천에 의해 이미 해결되었다. 따라서 그 해법은 마르크스주의의 저작들 속에 실존하는데, 그러나 그것은 실천적 상태로 실존한다. 이제 그 해법을 이론적 형태로 진술해야 한다. - P312

우리는이데올로기가 그 속에서 자신이 현실적인 것에 관여한다고 믿는 그런 영역을 포기하는 조건하에서만, 즉 이데올로기적 문제설정을(이데올로기의 근본적 개념들의 유기적 전제를, 그리고 이 체계와 더불어, 이 개념들의 대부분까지를 포기하고, "또 다른 요소들 속에", 새로운 과학적인 문제설정의 장 속에 새로운 이론의 활동을 기초 짓는 데로 나아감으로써만, 과학을 획득할 수 있다. - P333

단순한 것은 복잡한 구조 속에서만 존재할 수 있다. 하나의 단순한 범주의 보편적 실존은 결코 기원적인 것이 아니며, 역사적인 긴 과정의 끝에, 극단적으로 분화된 사회구조의 산물로서 등장한다. 따라서 현실에서 우리가 대하는 것은, 단순한 본질이 됐든 단순한 범주가됐든 간에 단순성의 순수한 실존이 아니라, 복잡하고 구조화된 존재들 및 복잡하고 구조화된 과정들의 "구체성들"의 실존이다. - P341

마르크스주의적 모순의 특유한 차이는 모순의 "불균등성" 또는
"과잉결정"이며, 이 "불균등성" 또는 "과잉결정"은 모순 속에 모순의 존재 조건을, 즉 모순의 실존인 항상-이미 주어진 복잡한 전체의 특수한 (지배 관계를 갖는) 불균등성의 구조를 반영한다. 이처럼이해된 모순은 모든 발전의 동력이다. 모순의 과잉결정에 기반한 전위와 압축은 그것들의 우세 dominance 여하에 따라, 복잡한 과정의 실존, 즉 "사물들의 생성"의 실존을 구성하는 (비적대적·적대적·폭발적)국면들을 설명한다. - P375

변증법에 대한 정의가 자신이 그것에 대해 진술한 그 영역을 넘어서는지, 따라서 이론적으로 단련된 보편성을 주장할 수 있는지 여부를 입증하기 위해서는, 이 정의를 다른 구체적 내용들, 다른 실천들의 시험에 부쳐 봐야 한다. 예컨대, 자연과학의 이론적 실천의 시험에, 과학들 속에서 아직도 문제가 야기되는 이론적 실천들(인식론, 과학사, 이데올로기들의 역사, 철학사 등)의 시험에 부쳐 봐야 한다. 이 정의를 이런 시험에 부치는 것은 이 정의의 유효범위를 확고히 하기 위한 것이요, 경우에 따라, 의당 그래야 하듯이, 이 정의를정정하기 위한 것이며, 요컨대 우리가 검토한 "개별특수적인 것"particulier 내에서 이 "개별특수적인 것"을 개별특수적인 것으로 만든보편적인 것 자체를 제대로 파악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 P377

다른 민족을 착취하는 민족이 자유로울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이데올로기를 사용하는 계급 역시 그 이데올로기에 구속된다. 따라서 이데올로기의 계급적 기능에 대해 말할 때에는, 지배적 이데올로기는 지배계급의 이데올로기라는 것, 지배적 이데올로기는 피착취 계급을 지배하기 위해서 소용될 뿐만 아니라 지배계급으로 하여금 세계에 대한 자신의 살아지는 관계를 현실적이고 정당화된 것으로 받아들이게 하면서 자신을 지배계급으로 구성하게 하는 데 소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더 멀리 나아가서 계급들이 사라진 사회에서 이데올로기는 어떻게 되는가 자문해야 한다. - P411

마르크스는 인간 본성 또는 인간본질이라는 관념이, 쌍을 이루는 가치에 대한 판단을, 아주 정확히말해서 인간적-비인간적이라는 쌍을, 감추고 있다고 지적한다. 그리고 그는 ‘비인간적인 것‘도 ‘인간적인 것‘과 마찬가지로 현재의관계들의 산물이다. ‘비인간적인 것‘은 현재의 관계들의 부정적 측면이다......"라고 쓴다. 인간적-비인간적이라는 쌍은 모든 인간주의의 숨겨진 원리이며, 인간주의는 이 모순을 살고짊어지고-해소하는 방식일 뿐이다. - P4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