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에는 정말 느긋하게 놀았다.

토요일에 궁궐에 놀러가볼까 했었는데 일어나보니 가기 애매한 시간이 되어 있었다. 불금에 술을 꽤나 마시고 자는 바람에… 그놈의 술이 원수야!-_-;

아무튼 읽던 책을 집어 들었다.


<동아시아 대분단체제론>은 읽기 시작한지는 꽤나 지났지만 워낙 분량도 많고 페이지 당 글자 수도 많은 편이라 이제야 다 읽었다. 저자의 이론이 정립해가는 과정을 역추적한다는 생각으로 읽어나가면 된다.
공부도 기본 얼개를 세우고 이에 살을 덧붙여 가면서 심화해나가는 과정이라 여긴다.
한 사람의 이론이 체계화하는 과정을 한 권의 책으로 만날 수 있었다. 어떤 분야에서 이런 꾸준한 결과물들을 쌓는 작업이 참으로 중요하다라는 생각을 갖게도 한다.


<갑골문자>는 어제부터 읽기 시작했다. 이 책은 1999년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중국 사회의 모습을 기자의 눈을 통해 들여다본다. 반미, 반제운동이 일어나던 상하이, 베이징 사회, 중국과 북한의 국경에서의 모습 등 흥미로운 내용이 많다.

그리고 밀린 드라마를 보느라 시간을 제법 썼다. 초반에는 진도가 안 나가더니 사건의 동기가 수면 위에 오르자 그 이후는 순삭으로 볼 수 있었다.
학습 교재를 통해서 외국어를 배우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역시 재미가 있어야 계속 이어나갈 수 있다는 생각인데… 아무튼 자막 없이 드라마를 볼 수 있는 그날을 꿈꾼다.

또 산책은 이틀 연속 했다. 날이 별로 춥지 않은 듯했는데 호수는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꽝꽝 얼어 있었다. 토요일 날이 맑길래 셔터를 눌렀다.


 


오늘 아침 <공포의 권력>을 읽었다. 어렵다. 너무 어려워… 읽는 것은 글자, 머리는 물음표가 된다.


오염 의식들은 조각조각 자르고, 표식을 떼어내며, 규칙·범주·사회성을 묘사한다. 그러면서도 그것이 연루된, 그리고 그것 자체의 절단에 내재하고 있는 어떠한 의미 작용도 가지지 않는다. 이때 우리는 거꾸로 자문하게 된다. 과연 모든 글쓰기는 언어가 우리에게 인식되는 단계인 제2단계의 의식이 아닌가? 다시 말해서 스스로를 다시 기억하도록 하면서 언어 기호 자체를 가로지르는 이 표식떼기, 즉 오염 의식은 언어 기호의 전(前)조건이 되고 벌써 그것들을 넘쳐난다는 사실을 말이다. 글쓰기란 사실상 고유의 이름 저편에 있는 오랜 권한에 도전하는 주체와 대면하고있다. 이 권한이 내포하는 어머니성은 결코 위대한 작가를 회피하지도 않으며, 게다가 아브젝시옹이라 규정된 것과의 맞대면도 더이상은 피하지 않는다. - P121


그래도 위와 같은 문장에서는 눈이 번쩍 하는 것이 있어서 끝까지 읽어보려고 한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24-01-15 11:1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공포의 권력, 잘 읽어나가봅시다. 화이팅!!


거리의화가 2024-01-15 15:31   좋아요 0 | URL
네. 끝까지 읽어나가보겠습니다^^

건수하 2024-01-15 13:2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는 1장 두 번 읽고 2장 읽는 중... 대충 알겠다 싶은 부분도 있고 알쏭달쏭한 부분도 있고 그렇습니다 ^^;

거리의화가 2024-01-15 15:32   좋아요 1 | URL
저는 1장이 가장 좋았고 2장은 좀 어려웠고요. 3장은 또 2장에 비해서 이해가 더 잘 되고 그러네요. 반복해서 읽으니 역시 더 들어옵니다. 수하님도 화이팅!
 

3장

프로이트는 토템 동물의 자리에 아버지를 가져다 놓는 것은 ‘토테미즘(인간과의 연관성 속에서)의테두리 속에서 이해되어야 한다고 단정한다. 이를테면 터부와 토테미즘"에 성스러움을 연결시키는 것이다. 우리는 이미 프로이트의 아버지 살해라는 주제, 구체적으로 《모세와 유일신앙》(1938)에서 개진된 유대교에서의 아버지 살해에 대해 잘 알고 있다. 말하자면 원시 시대 유목민들의 나이든 추장은 살해를 모의한 아들들에게 죽음을 당하고, 아들들은 아버지 살해죄로 붙잡힌다. 그러나 이행위, 즉 아버지 살해는 이른바 양가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이같은양가 감정으로 인해 아들이 결국 더 이상 자의적 권력이 아닌 실질적 권리로 부성의 권위를 세우게 된다는 것이다. 이때 그는 부족내의 모든 여자들을 소유하는 것을 포기한다. 그와 동시에 공동 사회의 족외혼이나 성스러움을 구축하는 것이다. - P97

성스러움의 한 면은, 살해 행위와 속죄 행위가 그것이 투사하는 모든 종류의 기제들과 강박관념적인 의식들과 더불어 만들어 내는 사회적 관계 자체이다. 다른 한 면은 안쪽의 좀더 내밀하고 눈에 보이지 않으며 드러나지도 않는 곳으로, 고대적 이원론에서 본다면 융합이 가능할 듯하면서도 동시에 위협하는 존재인, 취약성과 불안정한 동일성의 불확실한 공간을 향해 선회하는 부분이다. 그와 같은 성스러움의 내면은 주체/대상의 비분리를 향한다. - P99

내적 이미지에 맞추어 외부는 희로애락을 생성한다. 따라서 명명할 수 없는 것은 희로애락의감정에 따라 극복할 수 없는 안팎의 모호성이 되고 말지도 모른다. 희로애락을 명명한다는 것은, 즉 구별한다는 것은 언어를 개입시키는 것이고, 이때 언어는 안밖의 분리를 수립하는 모든 다른대립들과 마찬가지로 희로애락을 구별해야 한다. - P103

아버지 살해와는 반대항에 위치하며 언어적 전언과 동일한 시적 언어는, 이름들이 스스로 분리된 것처럼 아버지 살해와 화해할지도 모른다. 말하자면 시적 언어란 ‘시작‘을 상징화하려는 시도이자 동시에 터부의 다른 면, 즉 기쁨이나 슬픔을명명하려는 시도가 될 것이다. - P104

나르시시즘은 자아의 존재는 고려하지만 외부 대상은 고려하지 않는다.
한편은다음과 같은 대상의(외부의) 비구조가 자아의 동일성을 불안정하게 만든다. 그런데 그 자아는 자기의 대상과, 즉 타자와 구별되지않고서는 명확하게 자리잡을 수 없는 자아이다. 그래서 최초의 나르시시즘적 자아는 자기의 비대상과의 공간적 양가성(내부/외부의 불확실)과 시각의 모호함(고통/기쁨)으로 인해 나약하며 위협받는 불확실한 존재이다. 다른 한편은, 힘이란 이와 같은 나르시시즘적인 지형학이 정신-신체 의학 속에서 어머니-아이라는 이분법에 의해서도, 어떤 타자에 의해서도 지탱될 수 없다는 것을 인식하는 데 있다. 아니면 만약 어머니와 아이의 관계가 오래 전부터 언어 속에 잠겨 있다면, 생체심리학적인 전제 조건과 오이디푸스적삼각 구조를 그 자체가 허용하는 미래의 주체 속에서만 언어의 각인을 정립한다. 진정한 의미에서 미래의 주체가 기표를 활성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오이디푸스 삼각형을 허용한 이후인 것이다. - P105

정화 의식에서는 더러운 것을 금하고, 그것을 세속 질서로부터 추방하여 성스러움의 차원에 고정시키는 것이 본질적인강조점이 된다. 따라서 더러움은 오염(밖으로부터 오는 더러움)이되고, 그것이 드러나면서 자신의 면모를 근간으로 하여 성스러운질서를 세우게 된다. 이후 더러움은 가능한 대상으로부터 배제되어욕망의 대상도 아니며, 분리되고 아브젝트한 아브젝시옹이 된다. - P109

우리는 상징 질서 속에서 분석을 통해 여러 주관성을 확증적인 것으로 포착해야만 한다.

사회 문제란 주관적이거나 객관적이라고 판단될 수 있는 성질의것인가? 여기에서의 주관적 상징 질서의 영역이란, 사회적 상징 체계가 가지는 심오하고 독창적인 모종의 인과 관계를 구축하지 않는다. 주관적 상징 질서의 영역은 주요 상징 기관인 말하는 주체에게만 효과가 있거나, 혹은 특별히 이득을 준다. 게다가 주어진 사회적 상징성의 유지를 위해 그것을 욕망하게 하는 원동력들을 해명한다. 또 그와 유사한 종류의 문제는 ‘예정 조화‘23) 라거나, 아니면 ‘숭고한 질서‘에 대한 세속적인 응수로서 ‘상징 체계‘를 취하지 않는 것 같다. 그러나 주관적 상징 질서의 영역은 의미 작용의과정중에 가능한 변이체와도 같이, 말하는 존재를 규정하는 단단하고도 유일한 보편성 속에 뿌리박고 있는 듯하다. - P111

인간들이 그 위험에 가담한다 할지라도, 오염이 가져오는 위험은 인간의 능력이라기보다는 ‘이념들의 구조에 내재하는‘ 힘이다.
위험이란 어디에서, 또 무엇으로부터 오는 것인가? 그것은 아마도 결국은 상징 질서의 취약성으로부터 오는 것은 아닐까? - P114

월경수가 성적 차이를 의미한다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그렇다면 배설물은? 우리는 항문기의 페니스 역시어린아이의 상상력이 여성 성기에 품은 남근이라는 점을 되새길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서 어머니의 권위는 무엇보다도 먼저 최초의 구순기의 욕구 불만 이후에는 항문괄약근의 조절로부터 체험된다는 것을 상기해야 하는 것이다. 마치 언어의 상징성 속에 잠기고부터 인간 존재는 언어 법칙의 분신인 권한을 논리적으로, 그리고연대기적으로도 즉시 받아들였던 것처럼 말이다.

내가 상징계(lesymbolique)의 반대편에 자리한 기호계(le sémiotique)라고 부른 이 육체에 대한 최초의 지형도는, 말하자면 그것이 아무리 언어의 전(前)조건이라 해도 의미의 지류임을피할 수는 없다. 그것은 상징 질서의 방법을 통한 언어적 기호가아니라 언어적 기호가 수립하는 어떤 것이다. 모권은 그 용어의 두 - P117

측면에서 이 고유한 육체의 지형학에 대한 위탁 관리인이다. 모권은 남근의 획득과 언어의 습득이 이루어지는 부성적 법칙과는 구별되지만, 남자의 운명 속에 스며들 것이다. - P118

오염 의식들은 조각조각 자르고, 표식을 떼어내며, 규칙·범주·사회성을 묘사한다. 그러면서도 그것이 연루된, 그리고 그것 자체의 절단에 내재하고 있는 어떠한 의미 작용도 가지지않는다. 이때 우리는 거꾸로 자문하게 된다. 과연 모든 글쓰기는언어가 우리에게 인식되는 단계인 제2단계의 의식이 아닌가? 다시 말해서 스스로를 다시 기억하도록 하면서 언어 기호 자체를 가로지르는 이 표식떼기, 즉 오염 의식은 언어 기호의 전(前)조건이되고 벌써 그것들을 넘쳐난다는 사실을 말이다. 글쓰기란 사실상고유의 이름 저편에 있는 오랜 권한에 도전하는 주체와 대면하고있다. 이 권한이 내포하는 어머니성은 결코 위대한 작가를 회피하지도 않으며, 게다가 아브젝시옹이라 규정된 것과의 맞대면도 더이상은 피하지 않는다. - P121

정/부정의 대립은 그것이 은유화되지 않았을 때 하나의 동일성, 하나의 차이에 대한 바람을 재현한다. 그리고 남녀의 성적 차이의 자리를 차지한다. (정/부정이 성적 자리를 차지한다는 것은, 마치 카스트 체제에서처럼 족내혼에 의한 양성성의 제도화와 유사하게 나타날수도 있다.) 그것으로부터 정/부정의 대립은 상징 기능 그 자체(제물을 바치는 자/제물/신, 주체/대상/의미), 즉 고유한 분리하는 가치라는 역할을 한다. 이렇듯 정/부정에 단초한 계급은 성적 차이와 자리바꿈한다. (아니면 성적 차이를 부인할까?) 다시 말해서 그것은 정화 의식을 통해 희생제의의 폭력으로 대체된다. - P131

고대 그리스의 비극에서 그것은 기쁨과 양립한다기보다는 질병이나 죽음과 등가물인 군주권이나 앎과 양립하는 개념으로만 존재하였을뿐이다. 오염은 이같은 모호함 속에서 혼동된다. 이렇듯 오염이란실천적으로는 어머니와 맞닿아 있기 때문에 고유의 한계에 대한위반, 즉 근친상간인 것이다. - P134

민주제로 넘어가는 시기의 그리스에서 아브젝시옹은 죽을 수밖에 없는 자신을 알고 있는 말하는 존재(남성인 후손을 남기지 않는)와 상징계에 대면한 주체(이방인인 테세우스에게 죽음의 희열에 대한 모든 명명 가능성을 양도한 것은 주목할 만한 일이다)에게 부과된다.
여기서 아브젝시옹은 또 다른 논리, 즉 성스러움의(사회적·문화적·고유의) 또 다른 가장자리처럼 의식적으로 배제되어야 할 오염뿐만 아니라 법칙의 오인이나 위반을 향해 내던져진다. - P138

"나는 아브젝트이다. 말하자면 죽을 운명에처한 말하는 존재이다." 이와 같은 부족함과 타자에의 의존성은(어머니를)욕망하고(아버지를 살해한 오이디푸스에게 무죄를 언도하는 대신, 그로 하여금 단지 그의 극적인 분열을 양도하는만을 허용할 뿐이다. 진실에 대한 모종의 효과에 대해 결정하기 어려운 가능성을 열어두면서 이방인인 영웅에게 양도한다는 것이다.
우리의 눈은 언제나 상징계, 언어로 변환된 우리 스스로를 알아본다는 조건으로만 열린 채로 있다. 타자에서도 다른 성에서도 아닌언어 속에서 의미한다는 것, 찔러 버린 눈, 상처, 근원적인 불만족은 시니피앙들의 연결고리에 대한 정의될 수 없는 탐색을 조건짓는다. 그것은 ‘아브젝시옹/성스러움‘이라는 중복된 진실을 향유하는 것과 등가이다. 여기서 두 갈래의 길이 열릴 수 있다. 승화 작용과 도착성. - P13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간은 말을 함으로써 인간이 되며 말과 동시에 질서를 만든다. 이 질서란 개체의 고유 표식을 없애고 어떤 범주로 묶는 일 그리고 이 범주에 들지 않는 것을 배제하는 일을 통해 성립된다.

힌두교에서 잔여물은 극도로 양가성을 지닌 개념이다. 더러움이 동시에 재생이라는 양가성은 아브젝시옹이 고귀한 순수함이 되는 것이나 난관이 성스러움에 대한 충동이 되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크리스테바는 말한다. 핵심은 잔여물이 통합되지 않은 이와 같은 사유의 구조와 공존한다는 것이다. 완전한 사실도 철저한 사상도 없이 모든 체계에는 잉여만이 있다.

잔여물이 지닌 이러한 양가성은 유일신적이고 일원론적인 세계의 일면적인 상징체계와 대조를 이룬다.

야생의 사회에서 번식을 오염으로 간주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는데, 그것은 부권이 확립되지 않은 사회에서 지나친 모계 성향에 대항하기 위해 정화의식을 통해 그 지지 기반을 찾는 싸움으로 볼 수 있다.

성과 관련된 오염에 대한 공포는 사회질서 속에 현실적 제재가 적절히 주어지는 경우,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된다.

인도의 카스트 제도는 혈통을 중심으로 한 족내혼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이것은 양쪽 부모로부터 사회 구성원의 자질을 양도받는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규칙은 양성 간의 상징적이거나 현실적인 역할이 균등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인도 사회의 계급화는, 적어도 사회 내에서 권력을 재는 가장 중요한 잣대인 혈통에 관해서는 양성 사이에 개입하지 않는다. 말하자면 카스트란 사회 구성원의 자질을 이양하는 데 있어 어머니와 아버지의 역할이 동등하다는 것을 확인시켜주는 신분제라 할 수 있다.

카스트의 족내혼 규칙을 따르던 인도 사회와는 달리, 고전적인 의미의 족외혼을 따르던 대부분 야생의 사회에서는 성별, 씨족 등이 ‘같거나’ ‘다른’ 체계 구분이 생기고, ‘고유한’ 남성과 ‘이질적인’ 여성이라는 확연한 대립 구도가 마련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족외혼 체계의 이원론은 혐오와 분리에 대한 세심한 법칙들과 차이의 부재를 보충하기 위한 것에 주의를 기울인다.

아브젝시옹은 금지되는 여성성 즉, 이질적인 것으로서 이름 없는 타자를 분리하는 과정이다. 드러난 금지와 분리는 모두 이 원초적인 아브젝시옹 위에서 이루어진다. 개인의 무의식이나 인류의 무의식은 같은 궤적을 그리고 있다.

눈먼 오이디푸스는 부정한impur 도시 국가에서 부정agos을 정화katharmos하기 위해 스스로 부정agos, souillure이 되어 추방된다. 오이디푸스의 아브젝시옹은 그가 안다고 믿는 사이에 자신도 모르게 맡고 만 숙명적 역할에 대한 풀리지 않는 모호성ambiguite에서 생긴다. 바로 이와 같은 역동적 뒤바뀜이 오이디푸스를 아브젝시옹, 혹은 희생제물(pharmakos)로 만든다.53) 파르마코스란 더러움으로 오염된 국가를 더러움으로부터 해방시키기 위해 추방된 속죄양과도 같은 것이다. 이러한 파르마코스의 모호함이 오이디푸스 비극의 배경이다.

오염은 삶을 정지시킨다. 오이디푸스 신화에서 보면 오염은 근친상간이다. 그것은 실제적으로 어머니와 맞닿아 있기 때문에 고유한 경계에 대한 위반으로써 오염이다. 이로부터 크리스테바는 말하는 존재나 사회적 존재의 고유성을 수립하는 최초의 경계선은 여성과 어머니 사이를 지난다고 추론한다. 왜냐하면 오이디푸스-파르마코스에 대응하는 여성은 아내이자 어머니인 이오카스테이기 때문이다. 이오카스테야말로 야누스 자체이다. 그녀는 유일하다고 믿어지는 존재와 역할에 대해 모호성을 불러일으키고 심지어 전복시킨다. 크리스테바가 보기에, 모든 여성들은 어떤 의미에서 야누스이다. 왜냐하면 여성은 자신의 아이를 자기 몸으로부터 분리시키며 재생산하는 존재인 동시에, 말하는 주체로서 욕망하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오이디푸스는 여성적 신비나 수수께끼인 이오카스테의 그러한 분열 자체와 결혼했다고 볼 수 있다. 경계선에서 정화 작용 없이 아브젝시옹을 구현하는 존재가 있다면, 그것은 여성이다. 반면에 남성은 같은 경우 아브젝시옹을 인식하고 폭로함으로써 그것을 정화시킨다. 그러므로 이오카스테가 부정한 미아스마(miasma, 나쁜 공기)이며 아고스agos임은 당연하다. 결국 오이디푸스만이 파르마코스(희생제물)인 것이다.

죽음을 앞두고 있는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는 죽음과 사회, 욕망과 앎, 아브젝시옹과 성스러움의 경계에 있으면서 말하는 존재이다.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는 죽음의 문턱에서 복수의 여신들이 거하는 아테네의 성스러운 숲에서 삶의 종착지를 발견한다. 그가 그곳에 머묾으로써 테베와의 전투에서 아테네를 구원하게 된다. 신탁에 의해 오이디푸스가 머물 자리와 그의 매장 위치의 중요성이 제기되었기 때문이다.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의 종막은 오이디푸스의 죽음을 전하는 사자(使者)의 언급으로 시작된다. 사자는 오이디푸스의 신비로운 죽음을 두고 이승과 저승, 삶과 죽음에 가로놓인 신비한 경계를 언급하고, 오이디푸스가 정화의식을 통해 자신의 삶의 굴레를 벗어나 마침내 신들에게 구원을 받았다고 언급한다.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오이디푸스는 운명을 지배하고자 하는 인간의 의지와 운명을 결정짓는 외부적인 힘의 대립을 넘어선다. 즉, 죽을 운명을 가진 말하는 주체인 아브젝트로서 오이디푸스에게서 비천함과 성스러움을 동시에 볼 수 있다. 크리스테바는 이러한 아브젝시옹/성스러움의 이중의 진실을 향유하는 길은 언어의 시니피앙(signifiant, 기표)을 넘어서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여기에 승화sublimation와 도착perversion을 향한 두 갈래 길이 열려 있다고 덧붙인다. 그런데 크리스테바에 따르면, 이 두 길의 교차점은 종교이다.

개인의 의식 속에서 감각적 이미지가 개념적 사고로 이어지는 과정은 꿈을 꾸는 과정과 반대 방향으로 일어난다. 이러한 사실은 언어와 사고 작용에 앞서고 그것의 기반이 되는 정서와 감각의 단계가 작용하고 있음을 알게 한다.

사회의 분류 체계에서 경계선상에 존재한다는 것은 위험과 접촉하는 것이고 능력의 근원에 존재하는 것이다.

크리스테바에 따르면, 프로이트의 텍스트에서 발견되는 성스러움은 두 얼굴을 지니고 있다. 한 면은 살해 행위와 속죄 행위와 연관된 사회적 관계이다. 다른 한 면은 안쪽의 좀 더 내밀하고 눈에 보이지 않으며 드러나지도 않는 곳이다. 이 내면은 취약하고 불안정한 동일성을 가진 불확실한 공간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성스러움의 내면은 성스러움의 사회적 관계가 만드는 구분과 분리와는 거리가 먼, 주체/대상의 비분리를 겨냥하고 있다. 말하자면, 방어 기제와 사회화 과정이라는 한 면과 공포와 무관심의 과정이라는 다른 면으로 성스러움의 양면을 나누어 볼 수 있다.

모든 주변부(가장자리)는 위험을 감추고 있다. 이것은 인간 육체에도 적용되는 가설이다. 인간 육체는 모든 상징체계에 기본적 도식을 제공한다. 오염에 대한 상징도 마찬가지인데, 어떤 육체의 부분과 관련을 갖지 않은 오염은 거의 없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24-01-15 10: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공포의 권력 시작했는데 정말 미치겠네요. 이렇게 단순히 글자만 읽는게 의미가 있나 싶습니다.. 하하하하하

거리의화가 2024-01-15 10:29   좋아요 0 | URL
이해합니다ㅠㅠ 다락방님. 여성주의 책 함께 읽기 제가 참여한 이후로 최강 난이도라는 생각이 드는데요. 그래도 걔 중에 놀랄만한 문장에는 눈이 뜨일 때가 있고 이 책을 읽고 다시 본서를 읽음으로 재차 읽어 들어오는 부분도 간혹 생깁니다. 그렇다 해도 무지 어렵네요ㅜㅜ 과연 제가 뭘 읽고 있는 건지ㅋㅋㅋ
 


이번에 읽은 내용들 중에서는 스페인의 이슬람 유입 과정이 흥미로웠다. 야마토 정권이 중국의 문화를 삼국 중 백제에서 많이 받아들였다는 내용도. 



[CH8] The Great Dynasties of China

중국의 남북 땅은 자연 환경도 다르고 문화도 달랐으며 사람들의 성향도 달랐다. Yang Chien(양견=문제)은 두 곳으로 나뉘어 있던 남쪽과 북쪽 땅을 최초로 통일하며 수나라를 건국했다. Yangdi(양제)는 대운하를 건설하고 왕궁을 짓는데 수많은 사람들을 투입하였고 그들을 노예로 부리며 화를 키웠다. 결국 수나라는 멸망하고 중국은 다시 분열기를 거친다. 

LiYuan(이연)은 분열되어 있던 중국을 당 왕조로 통합한다. 수나라는 40 년만 유지되었으나 당나라는 300 년 정도 유지된 것만 봐도 그 안정성을 가늠하게 한다. 자유로운 경제 활동을 가능하게 했던 것에 힘입어 당나라 사람들은 점점 더 주머니를 채울 수 있었다. 이 때 무엇보다 화약을 발명함으로서 무기 체계에 변화를 가져왔다. 


[CH9] East of China

인도에서 굽타 왕조가 들어서고 중국이 수 왕조로 통일될 무렵 일본은 야마토 왕조가 들어섰다. 야마토는 일본의 많은 씨족들 중 하나였는데 그 많은 씨족들을 통합하여 하나로 통합한 것이다. 야마토 왕은 자신이 일본을 다스릴 권한을 부여받았다며 신으로부터 부름을 받았다고 하는데 그 신이란 일본의 태양신 Amaterasu(아마테라스)다. 야마토 왕은 통치를 위해 중국과 한국으로부터 다양한 문물을 들여온다. 한국은 당시 삼국 시대였는데 특히 백제로부터 일본은 많은 문물을 받아들였다. 백제 왕이 Wani(왕인)을 선생으로 보내 왕자에게 한자를 읽고 쓰는 법을 가르쳤다. 또 일본은 백제에서 불교도 받아들였다. 한국과 일본은 중국 문화를 상당 부분 받아들이기는 했지만 이를 자신들만의 문화로 정착시켰다.


덧) 지도에 Sea of Japan! 이런...


[CH10] The Bottom of the World

호주는 세계에서 7번째로 큰 대륙이며 세상 끝에 위치한다. 호주인들은 유목 생활을 하며 살았다. 이들을 aborigines라고 부르는데 라틴어로 ab orgine이 “from the beginning”(최초의)을 뜻하기 때문이다. 1000년 전 살던 아이 Rulu의 삶을 보여주는데 구운 나방으로도 배를 채울 수 없던 그는 two fathers와 함께 사냥에 나선다. 진흙과 타고 남은 재를 몸에 발라 캥거루를 쫓는다는 것이 신기했다. 물 웅덩이에 가서 잡은 것은 개구리! 그들은 캥거루가 뛸 때 숨을 죽인채 기다렸다가 사로잡고 본진으로 돌아와서 포식을 하고 잠들었다.

뉴질랜드에 마오리족이 언제, 어떻게 들어왔는지 확실하지는 않다. 태평양의 흩어져 있는 폴리네시아 섬들 중 배를 타고 들어오지 않았을까 짐작할 뿐이다. 폴리네시아 섬 사람들은 며칠 간의 항해를 생각하고 길을 나섰다가 몇 주간의 여행을 하게 되었다. 준비했던 식량이 거의 다 떨어져가던 때 눈 앞에 섬이 나타났다. 태양이 떠오르고 하얀 구름이 놓여 있는 모습을 보게 된 그들은 새로운 집을 “Land of the Long White Cloud.”라는 뜻의 Aotearoa로 지었다. 뉴질랜드는 화산이 폭발하여 물을 식혀 돌이 되어 만들어진 섬으로 마오리족은 그 땅을 “The Fish of Maui”, 마오리어로는 “Te Ika-a-Maui”로 명명했다. 


[CH11] The Kingdom of the Franks

지중해 북쪽에 있던 Gaul 땅에 the Frank(프랑크)이 침략해왔다. 프랑크족은 Burgundians, Allemani 등 여러 부족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프랑크족은 훈족을 막아내기 위해 힘을 합쳐 그들을 몰아냈고 지휘관은 Merovius였다. 그 손자인 Clovis는 Burgundian인 Clotilda 공주와 결혼했고 다스리던 나라는 the Frankish Empire가 되었으며 오늘날 이곳을 프랑스라고 부른다. 그는 주교로부터 세례를 받고 기독교도가 되었다. 

Clovis는 프랑크 왕국의 사람들을 하나로 통합시키기 위해 기독교를 전파하고, 수도를 세웠으며, 법률(the Salic Laws)을 제정했다. 법률 중 재밌는 문장의 표현이 있었다.

If a man calls another man “Fox,” or “Hare,” he will have to pay 120 denars. 

사람들은 fox를 ‘sly and untrustworthy’로 불렀다고 한다. ‘hare’는 ‘cowardly and anxious to run away from a fight’.


[CH12] The Islamic Invasion

710 년경 스페인의 왕이 갑자기 사망했다. the Visigoths은 다음 왕위를 둘러싸고 내분이 발생하는데 왕의 아들과 귀족인 Rodrigo가 대상자였다. 왕의 아들이 Rodrigo를 물리치기 위해 북아프리카에 있던 Tariq bin Ziyad(줄여서, 타리크)에게 도움을 요청한다(외세의 힘 빌려). 타리크는 무슬림이었고 이슬람 군대가 북아프리카의 탕헤르에 집결한다. 그는 돌아가지 않을 생각을 하며 배를 모두 불태우고 스페인으로 들어선다. 스페인은 이 때부터 이슬람 법을 따르게 되었고 한동안 이슬람 왕권이 유지되었다. 그들은 많은 문화를 남겼는데 오늘날에도 Arabic numerals(아라비아 숫자)는 여전히 사용 중이다. 타리크가 섰던 바위를 Jabal Tariq(mountain of Tariq)라고 하는데 오늘날 Gibraltar(지브롤터)라고 하는 곳이다.


[CH13] The Great Kings of France

the Frank(프랑크)에 Charles Martel이라는 새로운 왕이 등장했다. 그러나 아무도 그가 왕위를 받는 것을 원하지 않았고 심지어 왕권을 요구하다 감옥에 갇히기도 했다. 그는 거기서 사병을 모았는데 별명인 ‘Martel’은 프랑스어로 “The Hammer”를 의미한다고 한다. 그는 왕위를 찬탈하기로 결정한 뒤 감옥을 빠져나왔다. 732년 프랑크족과 무슬림은 Tours에서 전투를 개시한다. 이슬람 기수가 앞으로 나오는 것을 시작으로 두 군대는 온종일 싸우고 다음날 새벽이 될 때까지 전투를 이어간다. 무슬림은 Charles가 가까이 오자 캠프를 약탈할 것을 걱정하여 싸움을 하지 않고 캠프를 지키기 위해 물러났다. 프랑크족은 하루를 벌었고 Charles Martel은 적을 대파했다.

Charles도 훌륭했지만 그의 손자인 Charles the Great(라틴어로 Charles Magnus, Charlemagne: 카롤루스/샤를마뉴 대제)는 더 훌륭했다(the Great가 붙은 것만해도). 771년 왕위에 오른 그는 왕국을 기독교화시키려고 노력했다. 수도승들에게 성서를 베끼도록 하고 도로와 다리를 짓고 아이들이 교회에 갈 수 있도록 했다. 그는 왕국을 확대하며 전쟁을 벌였는데 로마에게 속했던 거의 반 정도의 땅을 되찾았다. 800년 12월에 그는 교황의 초청을 받아 로마를 방문해 “You are the great and peace-bringing Emperor of the Romans!”라는 말을 듣는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독서괭 2024-01-15 18:17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헐, 저 Sea of Japan 못 봤는데 정말 그러네요 ㅜㅜ
Fox, Hare 가 그 시대 최고 모욕적인 표현이었나 봅니다 ㅋㅋ 저도 재밌었어요.
저는 급하게 마구 정리했는데 화가님의 단정한 정리를 보니 참 마음이 시원하네요 ㅋㅋㅋ

거리의화가 2024-01-15 19:45   좋아요 0 | URL
지도 보고 급 마음이 식더라구요^^;
괭님처럼 단어도 체크하고 자료도 찾고 그래야 공부가 되는데 읽고 듣는 데에만 급급한 것 같아 부끄러웠는데 단정한 정리라니 감사합니다^^ 계속 재밌게 읽어나가요. 화이팅!
 

정묘 7, 무진 8

東郡太守 翟義가 군대를 일으켜 서쪽으로 가서 ‘攝政해서는 안 되는 자를주벌한다.‘ 하고는 郡國에 격문을 돌리니, 병력이 10여만 명이었다. 王莽은 이 말을 듣고 두려워서 밥을 먹지 못하고는 이에 왕읍 등으로 하여금 翟義를공격하게 하였다. 王莽이〈周書〉를 따라 <大告>를 지어서 天子의 지위를 儒子에게 돌려주겠다는 뜻을 천하에 하니, 이에 관리와 군사들이 공격하여 격파하였다. - ≪漢書 王莽傳≫ - P179

王莽은 스스로 위엄과 德이 날로 성대하여 하늘과 사람의 도움을 크게 얻었다고 생각하여 마침내 진짜 황제에 즉위하는 일을 도모하였다. 11월에 居攝 元年이라 하고 진짜 天子의 지위에 즉위하여 천하를 소유한칭호(國號)를 정하여 新이라 하였다. - P18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