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사회에 다양한 형태의 변화가 몰아치고 ‘有‘의 새로운 방식들이도래했을 때, ‘‘가 그 안정성을 잃어버리고 폭주하기 시작했을 때, 성리학은 리로써 그것을 통어할 수가 없었다. 필요한 것은 기 자체를 사유하고 기자체에 시대의 도를 내장시키는 작업이었다. 동북아의 근대는 서경덕, 왕부지, 대진, 최한기 등으로 이어지는 기학의 시대였다. 기의 결정적인 성격은그것이 유의 역할을 할 수도 있고 무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기는도에 대해서는 유이지만 ‘物‘에 대해서는 무이다. 기학은 성리학에 대해서는 ‘‘의 학문이지만, 사실은 ‘物‘에 대해서는 ‘허‘의 학문인 것이다.
이 점은 주체론에 관련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인간을 주체로 보고, 주체의 의지, 선택, 책임을 강조했던 정약용의 사유는 끊임없이 비울 것을 역설했던 기존의 허의 사유가 아니라 근대적인 실의 사유이다. 그러나 그는 실의 학문, 통어되지 않는 기의 학문이 띨 수 있는 위험을 정확히 감지했다. 그 때문에 동물의 기와 인간의 기를 날카롭게 구분하고, 인간의 기에 도의새로운 뉘앙스에서의 ‘도‘을 내장케 한 것이다. - P397
로크의 사유는 그 초점을 경험에 맞추고 경험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상세하게 분석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붓다의 철학함과 통한다. 정밀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니지만, 오온(五蘊) 즉 색(色)・수(受)・상(想). 행(行)・식()은각각 대상(object), 지각(perception), 감응(affection), 행동(action), 마음(mind)에해당한다. 분석의 구도는 곧 색/대상과 식/마음을 양극에 세우고 그 사이에서 수/지각, 상/감응, 행/행동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구도는 로크와 붓다에 국한되지 않는, 철학사를 관류하는 일반적인 구도이다. 그러나 붓다 사유의 목적이 오온이 결국 공이라는 것(五蘊皆空)을 깨달아 해탈하는 데 있었다면, 로크의 사유는 ‘마음‘이라는 우주의 구조와 기능을 탐색하고(인식론) 그 토대 위에서 새로운 정치를 위한 토대 (정치철학)를 놓는 것, 궁극적으로는 근대적 인간상을 수립하는 것이었다. 붓다의 사유가 불교를 낳았다면, 로크의 사유는 경험주의 인식론·인성론과 자유주의 정치철학을 낳았다. - P401
흄의 사유가 가져온 가장 심오한 결과는 인간의 삶은 어떤 형이상학적 진리에 입각해서가 아니라 인간 자신의 본성에 대한 깨달음에 입각해서 영위될 수 있다는 점을 주장한 데 있다. 이 점에서 흄은 근대적인 ‘주체의 철학‘을 본격적으로 진수한 인물이다. 그는 이론적 탐구를 통해 세계에 대한 어떤 "객관적인 진리"의 인식을 왜 포기해야 하는지, 아니면 적어도 "진리"에 잔뜩 들어간 힘을 왜 빼야 하는지를 역설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그로써 그는 사유의 무게중심을 자연철학/형이상학이 아니라 인간의 자기 이해즉 인성론으로 옮기고자 했던 것이다. 하지만 흄의 이런 경험주의 정신은 인성론 자체 내에서도 다시 한 번 발휘된다. 흄은 사유의 무게중심을 인간 그 자신으로 옮겼을 뿐만 아니라, 인간 이해 자체를 실체론적 인간관에서 관계론적 인간관으로 옮긴 것이다. - P426
위대한 자연이 인간에게 준 두 가지 보물이 있다. 자기에 대한 사랑즉자기애(amour de soi)와 타자에 대한 사랑즉 자애심(慈心) 맹자가 역설한 ‘人心‘이다. 생명/삶에 대한 사랑이 자연이 인간에게 준 원초적은총이다. 루소는 ‘원죄‘ 개념을 거부하면서, 삶의 근저에 자기애를 놓는다. 하지만 사회생활을 하는 과정에서 인간은 점차 변한다. 자기애는 이기심(amour propre)으로, 자애심은 경쟁심과 질투심으로 바뀌는 것이다. 삶은점차 경쟁과 질시의 도가니로 화한다. 루소는 이 과정을 한 인간에게서만이 아니라 인류의 문명 전체에서도 확인한다. 때문에 그는 자연과 문명을강렬하게 대비한다. "인간은 자유롭게 태어났다. - P439
주체는 사물들과 타인들을, 세계 전체를 객관적 상황으로 해서 그것을 겪어나간다. 즉, ‘經驗한다. 그러나 이 경험은 객관이 주체에 그대로 새겨지는 수동적인 과정이 아니다. 주체의 경험은 일정한 선험적 조건을 전제하는 경험이다. 이 선험적 조건에 주안점을 두어 이해한 주체를 선험적 주체라 할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경험적 주체와 선험적 주체는 구분되며, 이런 관계는 특히 영국 경험론자들과 칸트사이의 차이를 통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 P447
칸트의 인식론과 윤리학은 결국 ‘이성‘에 대한 새로운 음미에 기초해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인식론과의 관계에서 볼 때, 칸트가 행한 이성 비판은 과학적 사유의 의의와 한계를 동시에 정립하려는 것이었다. 그것은 한편으로 당대까지 이루어진 과학적 사유를 정초하려는 것이었지만, 다른 한편으로 그것의 한계를 밝힘으로써 그 너머의 여지를 마련하려는것이었다. 이 점에서 그는 한편으로 이성에 무제한의 권리를 부여했던 전기계몽주의자들과도 다르고, 이성을 단적으로 비판했던 사람들 신앙을주장하려는 속셈을 품고서 이성을 비판했던 사람들(하만, 야코비 등) 그리고도덕적 차원의 수립을 목적하지 않으면서 단적인 이성 비판을 진행하려 했던 회의주의자들과도 달랐다. - P491
칸트 사유는 중요한 문제를 남기게 된다. 데카르트의 이원론이 남긴 문제와 마찬가지로, 칸트에게서도 인식론과 도덕형이상학, 물질의 세계와 정신의 세계, 기계론의 세계와 목적론의 세계, 오성과 사변이성, 현상계와 본체계의 이원론은 ‘두 세계‘ 사이의 심각한 간극이라는 결과를 가져왔 ‘기 때문이다. - P493
칸트는 매개자를 둠으로써 양자를 연결하는 길을 택했다. 그는 인식능력과 소망능력 사이에 쾌/불쾌의 능력(감정)을, 인식론과 도덕형이상학 사이에 생명철학과 미학)을, 물질과 정신 사이에 생명과미)을, 자연과 자유 사이에 ‘합목적성(Zweckmäßigkeit)‘을, 오성과 사변이성 사이 ‘판단력‘을, 현상계와 본체계 사이에 양자를 이어주는 역사의 차원을 설정해 자신의 사유체계에 통일성을 부여하고자 했다. - P49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