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중국의 근대사는 두 개의 커다란 드라마로 구성되는데, 하나는 국제 교역과 전쟁을 무기로 팽창을 거듭해온 서구 문명과 농업과 관료주의를 무기로 이에 끈질기게 저항한 중국 문명 사이의 문화적 충돌이며, 이러한 충돌의 와중에서 미증유의혁명을 거치며 이루어진 중국의 전면적 변화가 다른 하나이다. - P24

중국이 하나로 통일되어 있으며 동질적이라는 느낌을 갖게 된 것은 중국적 생활양식이 특이할 정도로 오랫동안 지속되어온데서도 기인했는데, 그것은 역사의 여명기 이전 신석기 시대부터 부단히 이어져 내려온 것이었다. 정착촌을 이루어 사는 가족 집단이 괭이로 경작하는 농경법은 BC 5000년경 황허의 지류인 웨이수이 유 - P37

역(즉 시안 부근의 반포 마을과 같은 지역)에서 이미 출현했다.
전사-통치자들의 간헐적인 침입에도 불구하고 중국인의 촌락 생활은외관상 사회적·기술적으로 갑작스런 변화에 의해 중단되는 일 없이이때부터 지속성을 유지한 채 꾸준히 발전해온 것 같다. 촌락 공동체사이의 평화와 질서를 유지하는 것 또한 오랜 전통을 지닌 중국 지배층의 특별한 관심사였다. 왕조는 계속 바뀌었지만 이들 지배층은 점차 복잡한 관료주의 통치 조직을 창조해냈다. 1800년 이후까지 이처럼 농업-관료주의에 기반한 중국 제국은 유럽의 상업적 군사적 사회보다 훨씬 오래된 그리고 그것과는 전혀 다른 사회 질서를 유지해오고 있었다. 중국의 농업 공동체에서는 폭력의 사용을 포함해 개인의 용기와 적극적인 태도가 해상 활동, 전쟁, 탐험, 해외 이민 등을 추구하는 유럽 사회에서와는 달리 그리 중시되지 않았다. - P38

전통 중국은 지방 차원에서는 확대 가족, 즉 가문에 의해 지배되고 있었다는 결론을 내릴 수밖에 없는데, 다름 아니라 가문은 혈연관계에 관한 유교 경전의 가르침이 요구하는 위계적 역할 구조를지탱하는 주요한 토대였기 때문이다. 아버지든 남편이든 또는 신사든관리든 유교는 윗사람에 대한 복종을 가르쳤다. 각종 정치적 통제 수단을 가진 관료 집단은 통치자를 대신하는 존재로서 사람들을 통치자에게 복종시키는 역할을 했다. 그러나 관료들은 일반 서민들의 삶 속에서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 못했으며, 친족 구조가 주요한 역할을 맡았다. 근대 혁명 시기에 그러한 균형이 무너져 관료들이 지배하는 사회가 되었고 가족친족 구조는 크게 파괴되었다. 그러나 1800년대 초의 청조 국가는 구체제의 기반 위에서만 이해될 수 있다. - P62

중국 중심의 중화사상 속에는 천자가 천하를 통치한다 ㅡ 다시 그렇기 때문에 천자가 비한족 왕조들의 통치를 승인할 수있었다는 고대의 이념이 보존되어 있었다. 17세기에 진행된 만주족의 중국 정복은 13세기에 있었던 몽골족의 중국 정복이라는 선례로 - P75

인해 한층 더 용이해진 측면도 없지 않다. 그들 모두 계속하여 천하를다스리는 천자의 역할을 강조했으며, 정부의 성격을 한족이 계속 중국을 통치했을 경우보다 훨씬 더 전제적으로 만드는 동시에 민족주의적 성향은 약화시켰다. 물론전제통치의 강화가 전적으로 이러한 논리만으로 전부 설명되는 것은 아니다. 전제주의는 그저 행정 수단과통제력의 진보에 따른 자연스런 결과였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단합된 소수 민족 집단으로서의 정복왕조는 연장자 우선라는 중국적 관례가 아니라 무용과 개인의 역량을 따르는 부족적 관습에따라 지도자를 선택했다. 따라서 정복자들은 놀라울 정도로 정력적인 지도자들을 갖게 되었다. - P7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백성이 일찍이 部(屬縣)의 亭長이 자신이 뇌물로 준 쌀과 고기를 받아먹었다고 말하자,卓가 말하기를 "長이 너에게 요구하였느냐? 아니면 네가일이 있어서 청탁하였는데 받았느냐? 아니면 평소에 은혜로운 뜻으로 주었느냐?" 하니, 백성이 말하기를 "가서 그냥 주었습니다." 하였다. 茂가 말하기를 "주어서 받았는데, 무슨 이유로 나에게 말하는가?" 하니, 백성이 말하기를 "삼가 듣건대 ‘현명한 군주는 백성들로 하여금 관리를 두려워하지 않게 하고, 관리가 백성들에게서 취하지 않게 한다.‘고 하였습니다. 지금 제가 관리를 두려워하기 때문에 물건을 준 것인데, 관리가 끝내 받았기 때문에 와서말하는 것입니다." 하였다.
茂가 말하기를 "너는 <예의를> 파괴하는 백성이다. 무릇 사람이 여럿이함께 살면서도 어지럽지 않아서 금수와 다른 까닭은 仁와 禮와 사랑이 있어서 서로 공경하고 섬길 줄 알기 때문인데 너만 홀로 이것을 닦으려 하지 - P230

않으니, 어찌 높이 날고 멀리 달아나서 인간에 있지 않을 수 있겠는가. 관리는 다만 위엄과 힘을 이용하여 억지로 요구하거나 청하지 않을 뿐이니, 亭長은 평소 선량한 관리이고 歲時에 선물을 주는 것은 禮이다." 하였다.
백성이 말하기를 "만일 이와 같다면 법률에 무슨 연고로 이것을 금합니까?" 하니, 卓茂가 웃으며 말하기를 "법률은 큰 法(강령) 을 베풀어 놓은 것이고 禮는 人情을 따르는 것이니, 지금 내가 로써 너를 가르치면 네가 반드시 원망과 미움이 없겠지만 법률로써 너를 다스리면 네가 어디에 수족을 두겠느냐. 한 廳舍(동일한 종류의 일) 안에서 작은 잘못은 죄를 논할 수 있고큰 잘못은 죽일 수 있으니, 우선 돌아가 생각하라." 하였다. - P23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청컨대 지금부터 외현(外縣)에 사는 죄인은 5일에 한 번 구금하고 방면하는 숫자를 갖추어 주(州)에 보고하고 주옥(州獄)에는 별도로 장부를 두고 장리(長吏)가 검사하고 살펴서 3일이고 5일에 한 번씩 이끌어다가 심리하고 매월 형부(刑部)에서 열람하도록 갖추어 올리게 하십시오. 그리하여 구금한 사람이 많은 곳에는 조관(朝官)에게 명령하여 말을 달려가서 결정하여 보내도록 하십시오. 만약에 사건이 억울하고 무고한 것에 연관되어 지체되었다면 그 본주의 관리를 강등시키거나 내쫓으십시오. 혹은 한 해가 끝나서 감옥에 억울하게 지체되는 사람이 없다면 형부에서는 첩지(牒紙)를 발급하여 대체할 날짜를 얻게 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여 이를 장려하고 상 주십시오."
장제현은 부지런하게 백성들을 피폐하는 것을 구휼하고 힘써 관대하게 처리하여 순행하는 부서에서 호소하는 사람을 만나게 되거나 혹은 전사(傳舍)로 불러서 도착하면 탑전(榻前, 걸상)에서 더불어 말하여 대부분 그 진실과 거짓을 찾아내니 강남 사람들은 오래도록 그를 생각하였다.

이달에 요주는 스스로 군사를 거느리고 남침(南侵)하여서 만성(滿城)에서 싸웠는데, 패전한 것이 쌓이고 수태위(守太尉)인 희달리(希達里, 奚底里)가 떠도는 화살에 맞아 죽었다. 통군사(統軍使)인 야율선포(耶律善布, 善補)는 복병에게 포위되었는데, 추밀사인 야율색진(耶律色珍, 斜軫, ?~999)이 이를 구원하여 죽음을 면하였다. 요주는 야율선포가 대비하는 일에 실패하였다고 하여 그에게 곤장을 때렸다.

임자일(24일)에 요주(遼主)가 초산(焦山)에 이르렀다가 행재(行在)에서 죽었는데 나이는 35세였다. 시호를 효성황제(孝成皇帝)로 하고 묘호를 경종(景宗)으로 하였다. 한덕양과 야율색진(耶律色珍)이 유조(遺詔)를 이어받아서 장자인 양왕(梁王) 야율융서(耶律隆緖, 972~1031)로 자리를 잇게 하였는데 나이가 겨우 12세여서 황후가 칭제하고 국정을 결정하였다. 황후가 눈물을 흘리면서 말하였다.
"어미는 과부이고 아들은 어린데 친족의 무리들은 크고 장대하며 변방은 아직 편안하지 아니한데 어찌할꼬?"
한덕양과 야율색진이 나아가서 말하였다.
"신(臣)들을 신임하시면 어찌 염려할 것이 있겠습니까?"
한덕양이 숙위(宿衛)하는 일을 총괄하니 황후는 더욱 그를 총애하며 일을 맡겼다.

계축일(25일)에 권지고려국왕(權知高麗國王)인 왕치(王治, 960~997)가 사자를 파견하여 와서 방물(方物)을 진공(進貢)하였으며, 또한 그의 형인 왕주(王?, 955~981)가 죽었으니 자리를 세습하기를 요구하니 얼마 안 있다가 이를 허락하였다.

황제는 일찍이 가까운 신하들에게 말하였다.
"짐이 매번 《노자(老子)》를 읽다가 ‘가병(佳兵)이라는 것은 상서롭지 않은 기물(器物)이어서 성인은 부득이 하여야 이를 사용한다.’
라는 곳에 이르게 되면 일찍이 재삼 중복하여 규범(規範)과 경계(儆戒)로 삼지 않은 일이 없다. 제왕(帝王)이라는 사람은 비록 무공(武功)을 가지고 평정을 하지만 끝내는 반드시 문덕(文德)을 사용하여 치세(治世)에 이른다. 짐은 매번 조회에서 물러나서는 책 보기를 그만 두지 아니하며 속으로 전 시대의 성공과 실패를 짐작(斟酌)해 보고 이를 시행하며 덜어내고 덧붙이기를 다한다."

마침 감찰어사인 이광원(李匡源)을 파견하여 고려(高麗)에 사신으로 가게 되자 선이경을 부사(副使)로 삼았더니 선이경이 어머니가 늙었다는 것으로 사양하여 마침내 국자박사인 옹구(雍丘, 河南省 杞縣) 사람 공유(孔維)로 이를 대신하게 하였다.
고려왕인 왕치(王治, 성종)가 공유에게 예(禮)에 관하여 묻자 공유는 군신(君臣)과 부자(父子)의 도리와 오르고 내리는 등 위엄 있는 순서를 가지고 대답하니 왕치는 기뻐하며 말하였다.
"오늘에 다시 중국의 부자(夫子)를 보게 되었구나!"

임오일(25일)에 요에서는 탁주(?州, 河北省 保定市)자사인 안길(安吉)이 송(宋)에서 황하 북쪽에 성을 쌓았다고 상주하자 유수인 유열(裕悅, 관직명) 야율휴격에게 이를 어지럽히어 공사를 성취할 수 없게 하라고 명령하였다.

갑오일(10일)에 요주(遼主)는 여러 신하를 인솔하고 태후에게 존호(尊號)를 올려서 승천황태후(承天皇太后)로 하였으며, 여러 신하들은 요주에게 존호를 올려서 천보황제(天輔皇帝)로 하였는데, 크게 사면하고, 기원을 고쳐서 통화(統和)로 하였다. 국호(國號)를 바꾸어 대거란(大契丹)으로 하였다. 정미일(23일)에 요(遼)에서는 백관들에게 각기 작위를 1급씩 올리고 추밀부사(樞密副使)인 야율색진(耶律色珍)을 수사도(守司徒)로 하였다.

을묘일(2일)에는 요주(遼主)가 친히 죄수들을 심리하였다. 태후는 기민한 꾀를 가지고 있어서 좌우에 있는 사람들을 잘 어거하였다. 이보다 먼저 요인(遼人)이 한인을 구타하여 죽인 사람이 있으면 소나 말로 배상하였으며 한인(漢人)의 경우에는 그를 목 베고 이어서 그 친속들을 노비(奴婢)로 삼았다. 태후는 일률적으로 한인의 법으로 판결하니 연(燕)지역의 백성들이 모두 복종하였다.

"백성들이 수재나 한재가 있었던 것을 호소하면 바로 사실을 조사하는데 즉각 파견하여 길을 나서게 하되 오히려 시간에 뒤쳐질까 걱정하라. 자못 듣기로는 사자가 〔간혹〕 미적거리며 출발하지 않는다 하니, 주현에서는 부세를 거두는 것에서 기한을 어길 것을 염려하여 날로 채찍질하게 되고, 백성들 역시 사실을 검사하여 다시 씨 뿌릴 것을 기다린다. 만약에 이처럼 머물고 늦어지게 된다면 이 어찌 짐이 부지런히 정치를 하면서 백성들을 구휼하려는 뜻이겠는가! 지금부터 사자를 파견하여 재한(災旱)을 사실대로 조사하는 데는 그 지역의 멀고 가까운 것과 업무의 크고 작은 것을 헤아려서 기한을 정하여 이를 파견하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황제는 제군(諸軍) 가운데서 용사 수백 명을 선발하여 검무(劍舞)를 가르쳤는데 모두 공중에 칼을 던질 줄 알았고 그 몸을 솟구치며 좌우에 있는 사람들이 이를 이어받게 하니 보는 사람들은 두려워하지 않는 사람이 없었다.
마침 거란이 사자를 파견하여 공물을 바쳤는데, 편전에서 연회를 베풀어 주면서 이어서 검사(劍士)들을 나오게 하여 이를 보여 주었다. 수백 명이 웃통을 벗고 북을 치며 시끄럽게 하면서 칼을 휘두르며 들어오면서 뛰고 던지는 것이 이어졌는데 그 미묘함이 다 표출되니 사자는 감히 똑바로 쳐다보지 못하였다.
이에 이르러 성을 순시하면서 반드시 검사들로 하여금 춤을 추면서 앞에서 인도하게 하였는데, 각기 그 기량을 드러내자 성 위에 있는 사람들은 이를 바라보면서 간담이 깨졌다.

갑신일(6일) 새벽에 유계원(劉繼元, ? ~992)이 그의 평장사(平章事)인 이운(李?) 등을 인솔하고 흰 옷에 사모(紗帽)를 쓰고 대(臺) 아래에서 죄받기를 기다렸는데, 조서를 내려서 그를 풀어주고 불러서 대(臺)에 오르게 하고 위문하였다. 유계원이 머리를 조아리며 말하였다.
"신은 거가가 친히 왕림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바로 몸을 묶어 명령에 귀의하려고 하였는데, 대개 망명한 사람
12
들이 죽을까 두려워하며 신에게 겁을 주어 항복할 수 없었을 뿐입니다."
황제는 망명한 사람들을 적어 오게 하여 모두 그들을 목 베었다. 회해국왕(淮海國王) 전숙(錢?)을 돌아보며 말하였다.
"경은 한 지역을 보존하여 나에게 귀부할 수 있었고, 칼날에 피를 묻히지 않기에 이르렀으니 깊이 아름답다 할 것이요."

유계원이 항복하자 사람들마다 상 받기를 바라는 마음을 갖고 있었는데, 황제는 장차 끝내는 요(遼)를 치고 유·계(幽·?, 幽州와 ?州)를 빼앗고자 하였다.
제장들도 모두 가기를 원하지 않았지만
21
그러나 감히 말하는 사람이 없었다. 전전도우후(殿前都虞候)인 최한(崔翰, 928~992)만이 홀도 상주하여 말하였다.
"이 한 번의 일은 다시 거병하는 것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니 이번의 파죽지세(破竹之勢)를 타고서 이를 빼앗는 것이 아주 쉬우며 시기란 잃을 수 없는 것입니다."
황제는 기뻐하여 바로 추밀사(樞密使)인 조빈(曹彬)에게 명령하여 둔병(屯兵)을 움직여 발동하는 문제를 논의하게 하였다.

요(遼)의 남경권유수(南京權留守)인 한덕양(韓德讓, 941~1011)은 두려움이 심하였지만 지삼사사(知三司事)인 유홍(劉弘)과 더불어 성에 올라가서 밤낮으로 수어(守禦)하였으나 성 밖에서는 항복하라고 부르고 협박하는 것이 아주 급하자 사람들은 두 마음을 품었다. 마침 적리도(迪里都, 鐵林都)도지휘사인 이찰륵찬(李?勒燦, 盧存)이 나와서 항복하니 성 안에서는 더욱 두려워하였다.
요(遼)의 어잔랑군(御盞?君)인 야율학고(耶律學古)가 남경이 포위 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급히 이를 구하였는데, 포위한 군사가 바야흐로 엄하여 마침내 땅에 굴을 파고 나아가서 한덕양 등과 함께 기계를 가지런히 하고 불안한 것을 안정시키며 적당하게 대비하고 막으니 투지(鬪志)가 조금도 해이되지 아니하였다.

"경 등은 정찰하는 일을 엄히 하지 않았고, 군사를 사용하는 것이 법도가 없어서 적(敵)을 만나자 바로 패배 하였으니 어찌 장수라 하겠는가!"
특리곤(特里袞, ?隱)
26
인 야율휴격(耶律休格, 休哥, ? ~998)은 일이 급한 것을 알고 스스로 가서 원조하게 해달라고 청하니 요주는 마침내 야율휴격으로 야율희달(耶律希達)을 대신하게 하고 오원(五院)
27
의 군사를 거느리고 나란히 출발하게 하였다.

계주(桂州)관찰사인 조한(曹翰)·조주(?州, 甘肅省 臨潭縣)관찰사인 미신(米信, 926~992)이 성의 동남쪽 귀퉁이에 주둔하였는데, 군사들이 땅을 굴착하다가 해(蟹, 게)를 얻자, 조한이 제장들에게 말하였다.
"게란 물에 사는 물건인데 육지에 살다니 그 사는 곳을 잃은 것이다. 또한 발이 많으니 적(敵)의 구원병이 곧 도착할 상(象, 상징)이다. 또 해(蟹)라는 것은 해(解, 해산)라고 풀 수 있고,
28
그러니 군사를 돌릴 것이다."

정월 초하루 병자일에 요(遼)에서는 황제의 아들인 야율융서(耶律隆緖, 972~1031)를 책봉하여 양왕(梁王)으로 하고 야율융경(耶律隆慶, 973~1016)을 항왕(恒王)으로 하였다. 야율융서는 어려서부터 서한(書翰)을 좋아하여 10세에는 시(詩)를 지을 수 있었으니 요주(遼主)는 위촉(委囑)하려는 뜻을 품었다.

겨울, 10월 초하루 신미일에 요주는 무사(巫師)에게 명령하여 천지(天地)와 병신(兵神)에게 제사를 지내라고 하였다. 신사일(11일)에 곧 남침(南侵)하려고 하여 기고(旗鼓)에 제사를 지냈다. 계미일(13일)에 요주가 남경(南京, 북경)에 다다랐다.

황제가 장차 북변을 순행하려고 하였다. 기축일(19일)에 조서를 내렸다.
"경사(京師)에서 웅주(雄州, 河北省 雄縣)에까지 백성들을 징발하여 도로를 닦고 장애물을 제거하라."

무신일(9일)에 남쪽의 군사들이 물의 남쪽에 진을 치고 싸우려 하자 요주는 야율휴격의 말에만 홀로 황색을 입히어 적이 알아보게 하였다가 재빨리 검은 갑옷에 흰말로 바꾸도록 명령하였다.
야율휴격이 드디어 정예의 기병을 인솔하고 물을 건너서 분발하여 치니 남쪽의 군대는 크게 패배하였고, 뒤쫓아서 막주(莫州)에 이르렀는데 가로 누운 시체가 들에 널려 있었고 산채로 몇 명의 장수를 잡아 가지고 돌아왔다.
요주는 어마(御馬, 황제의 말)와 금잔(金盞, 금으로 된 술잔)을 가지고 그를 위로하고 말하였다.
"경의 용감함은 명성을 뛰어넘는데, 만약에 사람들마다 경과 같다면 어찌 이기지 못할까 걱정하겠는가?"

요(遼)에서는 야율희곤(耶律喜袞)이 이미 갇혔는데, 병오일(10일)에 요의 상경한군(上京漢軍)이 반란을 일으켜서 겁탈하여 야율희곤을 세우려고 하였지만 조주(祖州, 內蒙古 巴林左旗 西南 石房子村)의 성이 견고하여 들어갈 수가 없자 그 아들인 야율유례수(耶律留禮壽)를 세웠다. 상경유수인 제실(除室)이 그들을 붙잡으니 야율유례수는 돌아오자 바로 복주(伏誅)되었다. 한 해가 넘어서야 비로소 야율희곤에게 죽음을 내렸다.

가을 7월 병오일(11일)에 황제는 장차 크게 거병하여 요(遼)를 치려고 하여 사자를 파견하여 발해왕(渤海王)에게 조서를 하사하고 군사를 발동하여 호응하게 하면서 요(遼)를 멸망시키는 날 유·계(幽·?)의 영역은 다시 중조(中朝)로 귀납하겠지만 삭막(朔漠, 북방 사막지대) 밖의 것은 모두 주겠다고 하였다. 그러나 발해는 끝내 도착하지 않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건무원년(을유 25)

돌아와 中山郡에 이르니 여러 장수들이 尊號를 올릴 것을 청하였으나 왕이따르지 않았고, 행군하여 南平棘에 이르러서 여러 장수들이 굳이 청하였으나왕이 허락하지 않았다. 耿純이 나아가 아뢰기를 "천하의 士大夫(勇士와 大夫)들이 친척을 버리고 土壤(고향)을 떠나 화살과 돌이 빗발치는 전쟁터에서 大王을 따르는 것은 그 계책(목적)이 진실로 용의 비늘을 붙잡고 봉황의날개에 붙어서 그 뜻을 이루기를 바라서인데, 지금 大王께서 시일을 지체하고 무리들의 마음을 거슬려 황제의 칭호와 지위를 바로잡지 않으시니, 저는천하의 들이 희망이 끊어지고 계책이 궁해지면 고향으로 돌아가려는생각을 두어 오랫동안 스스로 괴로워하지 않을까 두려우니, 큰 무리가 한 번흩어지면 다시 모으기가 어렵습니다." 하였다. 왕이 깊이 감동하여 말하기를
"내 장차 생각하겠다." 하였다.
행군하여 물에 이르러서 馮異를 불러 사방의 동정을 묻자, 馮異가 대답하기를 "更始(劉玄)는 반드시 패할 것입니다. 宗廟社稷의 우려가 대왕에게있으니, 마땅히 여러 사람의 의논을 따라야 할 것입니다." 하였다. - ≪後漢書≫〈耿純傳〉과 〈馮異傳〉에 나옴
이때 마침 儒生 張華가 關中에서 赤伏符를 받들고 왕에게 찾아오니, 여기에이르기를 "劉秀가 군대를 내어 無道한 자를 토벌하니, 사방 오랑캐들이 구름처럼 모여 龍이 들에서 싸우는데 四七의 즈음에 화가 주인이 된다." 하였다. 여러 신하들이 이로 인하여 다시 주청하자, 6월에 왕이 물의 남쪽에서 황제의지위에 오르고 연호를 바꾸고 大赦하였다. - ≪後漢書 光武帝에 나옴 - P22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