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계년사 5
소명출판 / 200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5권에서는 어떤 모임도 경계하려는 고종, 기득권의 자기 밥그릇 싸움이 나온다. 후반부에는 청나라 의화단 운동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소개된다. 

만주족의 기원과 청나라의 성립, 그리고 의화단 운동의 배경에 이르기까지 긴 분량을 다루고 있다.


4권에서 독립협회 핵심 세력이 구속되고 해체되는 안타까운 모습으로 결말을 맞았다. 


독립협회를 끌어내린 고종과 수구세력(황국협회 보부상)은 이후에도 자신들의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민회마저 탄압하는 모습을 보인다.

그들은 대체 왜 자신들의 밥그릇 지키기에만 혈안이 되었단 말인가.

당시 민회 회원은 체포와 암살을 두려워하여 미국 및 일본인 집에 많이 숨어 행방을 감추었다. 이때 거리에서는 정부가 은밀히 자객 30여 명을 보내, 민회 회원을 죽이려 한다는 말이 떠돌았다.

한 사람이 깜깜한 밤 큰 거리에서 몰래 들으니 어떤 두 사람이 서로 말하기를, 

"우리들이 어찌 은화 몇 닢의 이익 때문에 차마 임금께 충성하고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을 품고 있는 민회 회원을 해치겠는가." 하면서 서로 오랫동안 탄식했다고 한다. - 31p

민회 회원으로 유명한 사람들은 몸을 보호하는 도구로 모두 권총과 몽둥이 칼을 지니고 있었지만 밤에는 잠을 깊이 들 수 없었다. - 47p

그 와중에도 서울에는 전차가 다니기 시작했고 외국과의 우편 업무가 시작되었다.

개화의 바람으로 훈풍을 지속할 수도 있는 상태였다.


하지만 이 와중에 찬물을 끼얹는 세력은 어김없이 존재했다.

등짐장수란 이름이 나라 안에 가득 차고 퍼져, 위로는 벼슬아치와 선비로부터 아래로는 염치없는 종부치와 천한 무리에 이르기까지 다투어 상무사에 투신했다. 무리를 지어 재빨리 상무사로 달려가 한패거리가 되어 서로를 비호하면서 온 나라와 백성들에게 끼친 폐단은 말로 다할 수 없다. - 71p

1899년 8월 대한국 국제가 반포된다.

1조와 2조의 내용이 눈에 띄는데 1조는 대한제국은 자주독립국이라는 내용이고 2조는 전제정치에 대한 내용이다. 


- 대한국 국제를 정하다.

8월 17일 지시하였다. 같은 날 법규교정소 총재 윤용선, 의정관 서정순 등이 나라의 제도 9조를 아뢰었다. 

제1조, 대한국은 세계의 온 나라가 공인하는 자주독립의 제국이다.

제2조, 대한제국의 정치는 과거 500년간 전해 내려왔고, 향후 영원히 내려가도 변치 않을 전제 정치이다.

... -73p

이 부분을 볼 때마다 시대를 역행했다는 생각이 든다.

자주국은 좋다. 근데 왜 전제정치일 수밖에 없었는가. 

민의는 성장하고 있었다. 그렇다면 독립협회 등의 단체가 생기고 국회라는 것을 만들어서 국민의 의견을 수렴하고 그런 과정을 통해 좋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었을텐데...


명이 쇠퇴하고 청이 흥기하는 과정 속에서 조선은 끊임없이 갈팡질팡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미 대세는 청으로 기울었음에도 군대를 파견하라는 청의 요구에 군대를 파견하면서 뒤로는 재조지은이라는 명목 하에 명을 버리지 못하는 모습을 보인다. 


김상헌, 임경업 등은 명에 신의를 지켜야 한다며 끝내 청에 무릎꿇지 않는다. 

효종은 송시열을 등용하고 청을 정벌하려는 계획을 호시탐탐 노린다. 하지만 성공 확률이100%가 아닌 상황에서 백성을 담보로 한다는 것은 옳은 일이었는가. 


송시열이 대답하기를, 

"제갈량의 재주로도 끝내 한나라의 왕실을 다시 일으킬 수 없었으니, 만에 하나 차질이 생겨 나라가 엎어져 망할 근심이 생긴다면 어찌 하시겠습니까?" 했다. 

임금이 말하기를,

"천하의 떳떳한 의리가 분명하다면 비록 사직이 망하게 되더라도 또한 천하에 대대로 밝은 빛을 낼 것이니 어찌 부끄러움이 있겠는가? 또한 나는 가만히 하늘의 뜻이 나로부터 머지않아, 아마 이러한 걱정은 없으리라고 생각한다. ..." -145p

명은 결국 멸망한다.

그럼에도 조선은 숙종 이후 끊임없이 명을 위한 사당과 제단을 조선에 세운다.


하지만 알 수 없는 것이 역사이던가.

승승장구하던 청도 세상을 보지 못한 것은 마찬가지였다. 

내부의 분열과 외국과의 전쟁 등을 통해 국력은 쇠퇴하고 있었다. 


황제는 뒤늦게 변법자강운동을 받아들여 개혁하려했으나 이마저도 서태후 세력에 밀려 자강 개혁에 실패하고 서양 세력에 강제로 문호를 개방하고 만다. 

당시 공부 주사 강유위가 상소하여 변법자강의 방법을 온 힘을 다해 아뢰니 청나라 임금이 기꺼이 받아들였다. 

4월에 지시를 내려 변법자강을 국시로 결정하고 강유위를 불러들여 곧바로 총리아문장경에 임명했다. 또한 거인 양계초에게 6품직을 띤 판리역서국사무의 관직을 내렸다. ...

서태후는 변법자강 운동을 싫어하여 8월 수렴청정의 지시를 내리고 청나라 왕을 서원에 있는 태액지 안의 영대에 깊숙이 가두고, 담사동 강유부 양심수 양예 임욱 유광제 등 여섯 사람을 죽이려고 했다. 강유위는 영국 관할령 싱가포르로 도망나갔고 양계초는 일본으로 도망쳤으니, 이것이 무술정변이다. -169~170p

조선의 마지막도 이와 다르지 않아서 씁쓸하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겨울호랑이 2022-01-01 08:3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거리의화가님 덕분에 역사에 대해 보다 더 깊이 관심을 갖게 됩니다. 내년에도 좋은 글 부탁드리며,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거리의화가 2022-01-01 08:41   좋아요 1 | URL
별말씀을요. 저야말로 겨울호랑이님의 폭넓은 지식에 많이 배우고 놀라곤 합니다. 항상 감사드려요 올해도 잘 부탁드립니다^^
 
더 발룬티어스 - 정규 1집 The Volunteers [180g 12인치 LP]
더 발룬티어스 (The Volunteers) 노래 / 블루바이닐 / 2021년 12월
평점 :
절판


오래 기다렸는데 LP 상태가 좀 아쉽지만 음반 수록곡들의 퀄리티가 좋으니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알라딘 게이샤 커피 세트 - 파나마100g, 콜롬비아 100g
알라딘 커피 팩토리 / 2021년 12월
평점 :
품절


게이샤하면 산미를 생각하는데 기대만큼은 아니어서 아쉬웠다. 포장박스와 두 종류의 게이샤를 100g씩 병에 담은 센스는 좋았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cott 2021-12-29 11:0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게이샤 커피 300그램에 (애플 그린라벨) 오만원 정도 하는데 이번 알라딘 200그램 삼만원이면 좋은 가격 이네요

그런데 게이샤 특유의 과일향과 꽃향은 사라져버렸나봐요 ㅜ.ㅜ

거리의화가 2021-12-29 11:03   좋아요 1 | URL
네 향과 맛이 약해요~ 가성비 생각하고 마시는걸로. 지금은 일시품절이네요^^;
 
대한계년사 4
소명출판 / 200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3권 후반부에 이어 4권은 관민회와 황국협회(보부상) 간의 알력 싸움이 너무나 잘 나타나 있다. 황제는 모임을 두려워하고 경계하여 관민회와 만민회를 배척하고 탄압하였으며 황국협회가 하는 일을 뒤로 은밀히 지원하는 모습을 보인다. 너무나 안타깝다. 백성들이 이토록 여러 차례 상소를 올리는 것은 까닭이 있기 때문인데 그저 자신에게 반기를 드는 무리로만 생각하는 것으로 여기니 어찌 답답하지 않은가. 서양 문물을 그토록 많이 받아들였으면서 왜 민의에 수용에 대해서는 이토록 꽉막힌 대처를 했는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한계년사 3
소명출판 / 200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립협회의 탄생과 최후까지가 소상히 담긴 부분이다. 황국협회와 상인들이 고종과 어떻게 결탁하여 독립협회를 쳤는지 그 배경을 소상하게 알 수 있다. 조선의 마지막 개혁이었던 것으로 생각되는 독립협회가 민중들을 결집시키고 그 힘을 끌어모아 임금에게 상소함으로써 헌의6조를 이끌어낸 것은 오늘날의 국회가 입법을 만들어낸 것과 같은 효과라 할 수 있다. 100년도 훨씬 전에 조상들이 일구어낸 끊임없는 정책 입안과 건의에 감탄이 일었다. 비록 끝은 무너졌지만 오늘날의 국회가 이를 본받아야 하는 모습이 있다면 자신들의 정쟁으로 국민은 뒷전인 것이 아닐 것이다. 국민의 뜻이 무엇인지 그것을 위해 달려가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