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31 | 3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강남 아파트 - 명문 학군만 따라가면 반드시 돈번다
임달호.조재길 지음 / 이지북 / 2006년 3월
평점 :
품절


지금도 기억이 난다.
2006~7년 정도 무렵인가, 식사, 회식, 커피 타임마다 화두에 오른 것이 "아파트"였다.
사람들과 이야기 하는 걸 그리 즐겨 하는 나도, 이때는 조금 소외감이 들었다.
부동산을 포함한 재태크는 전혀 관심이 없었기 때문에 대화에 끼지는 못하고,
듣는 것만 할 수 밖에 없어서..
아이가 어려 부모님과 같이 살고 일이 너무 많은 데나 하루 2~3시간 남는 시간은
살림하랴, 아이를 키우기 바빴기 때문이다.
게다가 내 성격에 한 두가지에 집중해야지, 여러가지 일을 벌릴 주변머리도 없었다.

그러다 작년 겨울 부터 유치원 엄마들이 학교 때문에 이사를 한 둘씩 하기 시작하고,
인근 아파트 재건축이 끝나서 입주가 시작되어 아는 사람들이 꽤 많이 움직인데다
일하며 만난 사람들도 이사수요가 많았는데
일단, 이 사람들이 고려한 1순위는 학군이었다.
물론 왠만하면 단순하게 학군 때문에 옮기지는 않겠지만,
각자의 사정으로 이사를 하지 않으면 아이 기준에 상당히 불편한 학교로 배정을 받게 되고
한번 다니기 시작하면 6년간 지속성을 가지게 해 주고 싶어
처음부터 괜찮은 학교로 보내고 싶다는 의견이 큰 듯하다..
물론 그 근처는 거주의 쾌적성까지 보장이 되고, 해당 거주자들의 수준도 높은 편이라
괜찮은 선택으로 보였다.

우리도 언젠가 분가를 할 테고 아이도 조만간 학교로 가게 될 터라
어떻게 할까 어디로 갈까 조금 고민은 되었다.
사실 나같은 경우는 어떤 학교가 좋고 안좋은지도 모르고,
초등학교가 다 똑같지 어떤 기준으로 좋다고 판단하는 지 조차 몰랐다.
그리고 우리 집 신랑의 경우, 우리가 살고 싶은 곳으로 가서 근처 학교 보내면 되지, 학군은 무슨 학군...
딱 이런 스타일이다..

그러다, 분가때문에 발품을 팔기 시작해보니..자꾸 엮이는게 결국 학군이었다..
학군이 아파트 가격 형성에 상당한 영향을 끼지고 있었고,
가만 생각해 보면 어린 아이가 큰 길건너 먼 길을 6년간 다닐거 생각하면 그것도 힘든 일이고,
혹시나 우리가 이사를 하게 되면 전학을 가게 될 텐데 요즘 같은 분위기에서는
엄마나 아이 적응도 꽤나 시일이 걸릴 수가 있다는 걸 조금씩 깨달아 가고 있다.

어찌되었건, 우리가 이사를 해도 이사의 제 1순위가 학군은 아닌 건 현재에도 변함이 없으나,
나와 우리 신랑의 생각의 차이는 조금 좁혀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신랑의 경우 약간의 투자 (누구나 생각하는 수준..) 그리고 삶의 질...이런 걸 기준으로 보는데
그러다 가격이 생각외로 높으면 의례히 부동산 업자의 설명은 여기 OO학교가 있어서요인데
이걸 도저히 이해를 못한다.
그래서 이리 저리 검색하다 우연히 [강남 아파트]라는 책이 눈에 띄었다.
2006년 출간한 책이라 그래도 시간이 지났네 생각하다가 제목 보니 꽤 도움이 될 거 같아서
신랑에게 보여줬다.

이것 저것 무지한 나에게는 관심지역에 대한 간단 소개들이 있어서 좋았고,
신랑은 이미 알고 있었던 내용이 정리가 되면서 학군의 중요성을 조금 깨달았을 듯 싶다.
결론적으로 둘 다 부동산에서는 초보라.. 상당히 도움이 된 듯 하다..
이 책은 서초, 강남, 반포의 주요 아파트 소개는 다 되어 있다.
일단, 여기 이사가면 어떤 학교로 배정받지? 에 대해서는 이 책 한 권으로 해소가 많이 된다.
실거주자가 봐도 좋고, 약간의 투자를 고려해도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재미있는 점은.. 이미 2년이 지난 시점에서 읽다 보니,
이 책에서 설명하는 특정 지역의 경우 학군 때문에 아파트 가격이 2년 사이에 뒤바뀐 걸 목격했다.
분양가는 브랜드 네임 벨류 때문에 A>B>C였는데, 초등 학교 학군 때문에 A<B=C 가 된 것이다.
이유인 즉, B,C는 상대적으로 엄마들이 선호하는 학교로 가서이다.
아마 앞으로는 더 시세가 벌어질 것으로 보이고 B 아파트의 경우는 전세 수요가 엄청나다.
다른 곳은 몰라도, 강남에서는 학군이 정말 아파트 시세에 엄청난 영향을 발휘하긴 하나 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OA 도입 어떻게 할 것인가
에릭 풀리어 외 지음, 한국IBM EIS 팀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0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동안 IT업계에는 다양한 개념들이 등장하고 사라지고 존속되어 왔다.
내가 하고 있는 분야만 해도 무수히 많은 방법론과 솔루션이 새롭게 등장했다.
그리고 요즈음..어디나 관심을 가지는 것이 있다면 SOA이다.
Servide oriented architecture.
처음에 새로운 개념이 등장하면 기존것을 획기적으로 변혁할 수 있는
그런 신진 기술이 등장했는 줄 알았다.
그러다 갈수록, 새로운 개념이란 기존의 난립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다
탄생한 정보라는 생각이 많이 든다.
SOA도 그런 맥락에서 보자면, 전혀 새로운 기술은 아니다.
어찌되었건, SOA의 정의, 구축 방법론, 기술 등에 대해 익혀 볼까 하고
책을 들었는데 의외로 상당히 많은 내용을 다루고 있다.
단순하게 처음부터 SOA를 접근한 것이 아니라 배경과 관련기술에 대해
상당히 체계적이고 단계적으로 접근해서 상당한 도움을 주고 있다.
물론, 내가 하지 않은 많은 내용을 다루다 보니 이해가 안 가는 부분이 상당히 많아서
한번 읽는 것으로 부족해 보여 시간을 넉넉히 잡고 몇차례 읽어야 겠다는 생각이 든다.
상대적으로 application architect들은 정리차원에서 금방 접할 거 같긴 하지만.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토토랑 2007-06-14 13: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호~ 깡지님께서 이리 말씀하시니 저두 궁금합니다.
으흠..
 
IBM 한국 보고서
IBM BCS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0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Innovation에 대한 언급이 많다.
Innovation을 왜 해야 하나..
바로 급격하게 변하는 시장환경 때문에...
여기 까지는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다.
 
자신이 또는 자신의 기업이, 크게는 우리 국가가 가지고 있는 특정 value가
시간이 흘러 가면서 commodity화 되어 가며 더 이상 value로 인정을 못받는다.
게다가 소비시장의 양극화 현상.
이전 대다수의 소비층의 요구사항에 맞추어 천편일률적 공급체계를 구축하기만 하면
이윤이 생기는 그런 시장 구조에서 지금의 양극화, 다양화 추세는
Innovation을 하기 싫어도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으로 갈 수밖에 없다.
그런 찰나에 IBM한국보고서는 우리나라 각 분야에 대해 문제점과 방향을 언급한다.
상당히 많은 자료를 바탕으로 객관적 근거를 제시해 가면서
산업 전 분야에 대해 요소요소 지적하고 있다.
심지어 교육 분야의 문제점 까지..
상당히 많은 내용을 다루고 있고 나에게 생소한 분야도 많기 때문에
다 기억을 하거나 충분한 공감은 이루지 못했지만,
최소한 나의 위치는 깨달을 수 있을 거 같다.

누군가 이런 말을 했다.
나의 시장가치를 알고 싶으면 이직을 했다고 가정하고
내 연봉을 어느 정도로 받을 수 있는지 확인 하면 된다고..
돈이 다가 아니라지만, 솔직히 맞은 말이다.
나의 가치, 내가 속한 조직의 가치..
그냥 안주하고 개인의 생활을 즐기는 것도 존중받아야 할 의지이고,
사회의 변화에 발맞추어 자신을 변화 시켜나가야 하는 것도 존중받아야 할 의지라고 본다.

한국보고서가 되었건,
또 다른 자료가 되었건..
잠시 눈을 돌려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지,
그리고 어떻게 움직일 것인지 쳐다 보는 것도
오늘을 살아가는 나에게 좋은 경험이 될거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I 방법론 (PIM) - 제로베이스이론 4
남중헌 지음 / 울산대학교출판부(UUP) / 2005년 2월
평점 :
절판


Process Innovation Method 관련 책이다.
업무상 참조로 하기 위해 뒤진 책인데, 초보자도 접근하기 쉽게 잘 설명이 되어 있다.
(처음엔 PIM이라고 되어 있어서 Process Innovation이 아닌 줄 알았다. ^^;;)
zero base이론이나 기타 유사한 영역으로 보이는 ERP, PRM과의 언급도 이해를 많이 도왔다.
약간의 아쉬움이라면, 몇페이지 정도로 방법론의 절차에 대한 summary가 있다면 더 좋을 듯하다.
Master plan단계와 imprementation 단계를 명확히 구분하고
각 단계의 in/out document에 대한 예제까지 있다면,
좀더 깊은 이해가 되지 않았을 까 하고 생각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31 | 3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