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동주, <간肝>

 

 

 

 

 

바닷가 햇빛 바른 바위우에 습한

肝을 펴서 말리우자.

 

코카사쓰 山中에서 도망해온 토끼처럼

둘러리를 빙빙 돌며 肝을 지키자.

 

내가 오래 기르든 여윈 독수리야! 

와서 뜯어 먹어라, 시름없이 

 

너는 살지고 

나는 여위여야지, 그러나, 

 

거북이야! 

다시는 의 誘惑에 안떨어진다.

 

푸로메디어쓰 불상한 푸로메디어쓰

불 도적한 죄로 목에 맷돌을 달고

끝없이 沈澱하는 프로메디어쓰

 

 

1941. 11. 29.

 

*

 

 

 

 

 

 

 

 

 

 

 

 

 

 

프로메테우스 신화 관련 문학 작품. 읽지 못했으나 퍼시 셸리의 시(?).  

 

 

 

 

 

 

 

 

 

 

 

 

 

아주 어린 시절(중학교??), 큰집에서 가져온, 세로 활자 사전판형 세계문학전집에서 "사슬에서 풀려난 프로메테우스"(?)라는 제목의 작품을 본 것 같다. 작가는 지드였다. 그나마 쉽게(ㅠㅠ) 읽힌 <좁은 문>, <전원교향곡> 등에 비하면 아~무~것도 남아 있지 않는, 굉장히 어려운 책이었지 싶다. 최근에 갑자기 생각나서 찾아보니 "잘못 묶인(결박된) 프-스"라고 번역되었던데, 오역이지 싶다. 프랑스어 원제 "Prometheus Illbound"의 영어 번역은 "prometheus unbound"이다. 

 

 

그다음, 우리는 항상 프로-가 결박된 채 독수리에게 고문당한 것만 기억한다. 어쨌든 그가 해방되었음을, 풀려났음을 생각할 필요가 있다. 그 이후의 삶을 아는 사람은 좀 가르쳐주시길. 간 뜯어먹히는 건 아니지만, 비슷한 유의 고문을 당하던 시시포스(시지프)는 어떻게 되었는지. 아무튼 실존주의 그룹은 이런 주제를 좋아했나 보다.

 

 

 

 

 

 

 

 

 

 

 

 

 

다시 윤동주. 비교적 쉽게 읽히는, 그렇게 읽어도 충분히 감흥이 오는 <서시>, <별 헤는 밤>, <쉽게 쓰인 시> 등등과 달리 <간>은 굉장히 지적인 시인 것 같다. 토대는 프로-스 신화(불)와 별주부전(토끼와 자라)의 종합. 더 자세한 건, 더 반복적으로 읽어보아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흰 바람벽이 있어>(<흰 바람벽이 있어> 수록) 

 

 

 

 

 

오늘 저녁 이 좁다란 방의 흰 바람벽에

어쩐지 쓸쓸한 것만이 오고 간다

이 흰 바람벽에

희미한 십오촉十五燭 전등이 지치운 불빛을 내어던지고

때글은 다 낡은 무명샤쯔가 어두운 그림자를 쉬이고

그리고 또 달디단 따끈한 감주나 한잔 먹고 싶다고 생각하는 내 가지가지 외로운 생각이 헤매인다

그런데 이것은 또 어인 일인가

이 흰바람벽에

내 가난한 늙은 어머니가 있다

내 가난한 늙은 어머니가

이렇게 시퍼러둥둥하니 추운 날인데 차디찬 물에 손은 담그고 무이며 배추를 씻고 있다

또 내 사랑하는 사람이 있다

내 사랑하는 어여쁜 사람이

어늬 먼 앞대 조용한 개포가의 나즈막한 집에서

그의 지아비와 마조 앉어 대구국을 끓여놓고 저녁을 먹는다

벌써 어린것도 생겨서 옆에 끼고 저녁을 먹는다

그런데 또 이즈막하야 어늬 사이엔가

이 흰 바람벽엔

내 쓸쓸한 얼골을 쳐다보며

이러한 글자들이 지나간다

-- 나는 이 세상에서 가난하고 외롭고 높고 쓸쓸하니 살어가도록 태어났다

    그리고 이 세상을 살어가는데

    내 가슴은 너무도 많이 뜨거운 것으로 호젓한 것으로 사랑으로 슬픔으로 가득 찬다

그리고 이번에는 나를 위로하는 듯이 나를 울력하는 듯이

눈질을 하며 주먹질을 하며 이런 글자들이 지나간다

-- 하눌이 이 세상을 내일 적에 그가 가장 귀해하고 사랑하는 것들은 모두

   가난하고 외롭고 높고 쓸쓸하니 그리고 언제나 넘치는 사랑과 슬픔 속에 살도록 만드신 것이다

   초생달과 바구지꽃과 짝새와 당나귀가 그러하듯이

   그리고 또 '프랑시쓰 쨈'과 도연명과 '라이넬 마리야 릴케'가 그러하듯이

 

 

*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함주시초> 수록)  

 

가난한 내가

아름다운 나타샤를 사랑해서

오늘밤은 푹푹 눈이 나린다

 

나타샤를 사랑은 하고

눈은 푹푹 날리고

나는 혼자 쓸쓸히 앉어 소주를 마신다

소주를 마시며 생각한다

나타샤와 나는

눈이 푹푹 쌓이는 밤 흰 당나귀 타고

산골로 가자 출출이 우는 깊은 산골로 가 마가리에 살자

 

눈은 푹푹 나리고

나는 나타샤를 생각하고

나타샤가 아니 올 리 없다

언제 벌써 내 속에 고조곤히 와 이야기한다

산골로 가는 것은 세상한테 지는 것이 아니다

세상 같은 건 더러워 버리는 것이다

 

눈은 푹푹 나리고

아름다운 나타샤는 나를 사랑하고

어데서 흰 당나귀도 오늘밤이 좋아서 응앙응앙 울을 것이다

 

-

 

 

 

 

 

 

 

 

 

 

 

 

 

 

 

 

 

 

 

 

 

 

 

 

 

 

 

 

 

치킨을 기다리며 타이핑해보았다. 요즘은 도연명도, 프랑시스 잠도, 릴케도 잘 안 읽는 것 같다. 그나마 릴케라면 어릴 때 <글방문고> 판으로 <말테의 수기>를 읽은 적이 있다. 저 제목처럼

'지하의 수기' 혹은 '지하인의 수기'로 번역하고 싶은 욕심이 컸다. 하지만 너무 의역인 것 같아, 당시 편집자와 상의하여 지금의 번역이 되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Redman 2020-10-02 15: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백석 시인의 시는 참 읽는 재미가 있어요

푸른괭이 2020-10-02 16:42   좋아요 0 | URL
요즘 제일 많이 읽히는 시인인 것 같습니다^^;
 

 

 

 

 

시는 처음이라(3)

 

 

 

 

 

시는 처음이라 두려움과 거리낌이 있었죠

아이도 막상 낳으니 또 갖고 싶어지더라고요

이기적인 유전자의 명령일 뿐이라고요? 글쎄요 -

 

프로메테우스도 그 독수리를 헤라클레스가 죽여주었잖아요 

모든 고통에는 끝이 있다니까요, 괜찮아요, 용기를 내보아요

어젯밤 꿈에서는 쉰 살에 아들딸 쌍둥이를 낳았더라고요

 

 

*

 

Prometheus Unbound - Carl Bloch (1834–1890) - PD-art-100

https://www.greeklegendsandmyths.com/caucasian-eagle.html

 

 

우리가 익히 아는 루벤스 그림.  Prometheus Bound - Peter Paul Rubens (1577–1640) - PD-art-10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밀가네 콩국수

 

 

 

 

  

우리 아들이 군대 갔어요

나는 마흔 여섯 살이고요

지금 여기서 딱 멈추고

더는 안 늙었으면 좋겠어요

 

참나물 무침 더 줘요, 학생? 

국수는 남겨도 콩국은 남기지

말아요, 국산 생콩이거든요

김치랑 반찬 좀 싸 갈래요?

 

지금은 내가 마흔 여섯 아줌마

내 마음이 밀가네 콩국수 마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이야(4)

 

 

 

 

너의 몰랑한 손을 잡고

鋪道를 걷는 오늘 하루

대낮의 하늘은 푸르고 

은 노랗고 몰랑해

 

 

걸어도 걸어도 제자리

공전 자전하는 지구의

둥근 행복 일상의 행복

내일도 걸어보자꾸나, 아이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