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는 황송한(!) 일이 있었다. '황송한'이라는 말에 꽂혔다.
[동인문학상] 5월 독회, 본심 후보작 심사평 전문 - 조선일보 (chosun.com)
(정과리의 문신공방 https://circeauvol.tistory.com/
이십대 이후 주요 일간지에 내 얼굴과 내 소설책에 대한 말/글이 이렇게 많이 실린 것이 처음이다. 진짜로, 황송하다는 말밖에는. 남의 글, 남의 책을 읽고서 몇 마디 한다는 일, 심지어 글로 쓴다는 일의 지난함을 알기에 더더욱 감사하는 마음이다. 평론가(비평가/학자)의 독법과 소설가(작가)의 독법이, 그 결이 다른 것도, 대단히 인상적이다. 가장 '직관적인'(?!) 이해나 공감은 구효서의 평에서 본다, 이것도 참 재미있다.
요즘, 무섭다. '최악'은 지금이 아니다. 더 '최악'이 있을 수 있다는 불안과 공포 때문에 무섭다. 동어반복인가. 저런 황송한 일이 있었던 어제는 날씨도 맑았다. 사진 속에 햇볕과 맑음과 밝음이 표현되지 않아 아쉽다. 지난 번 장미 사진을 보면, 불과 일주일 남짓만에 장미가 얼마나 커졌는지, 많아졌는지, 풍만해졌는지 알 수 있다. 식물의 동물성! 왕성함. 김금희의 <너무 한낮의 연애>를 다시 들춰보고 싶어지는 늦봄-초여름이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525/pimg_7228261732960211.jpg)
활짝 피어나는 '새' 장미들 때문에 저 '헌' 장미를 포착하기 무척 힘들었다. 초록 잎들 뒤로 살짝 보인다. 꽃봉오리가 더 작아졌다. 안 떨어지는 것(참수-_-;;)이 넘나 신기하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525/pimg_7228261732960213.jpg)
이 참에 한 번 더 광고한다. 유튜브 활동도 은근히 재미있어 채널에 이름도 붙여 보았다. <김연경의 문학창고> ㅎㅎ
우주보다낯설고먼 - YouTube
너무 감격하여(!) 감사하는 마음으로, 일종의 답변 동영상을 찍어보았다^^;
우주보다낯설고먼1 - YouTube
우주보다낯설고먼2 - YouT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