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고픈 개미 100마리가 발발발 I LOVE 그림책
엘리너 핀체스 지음, 보니 맥케인 그림, 신형건 옮김 / 보물창고 / 200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묶음을 이해하는 것이 쉽지가 않다. 100이 될려면 10개가 몇 개가 있어야 하는지, 몇 묶음이 있어야 하는지를 말이다. 100이라는 숫자를 어떻게 나누는가. 개미들의 소풍을 통해서 100이라는 숫자의 크기와 나누기가 어떻게 되는지를 느낄 수 있게 해 준다.


수학동화책이라고나 할까. 먹을 것을 찾아서 떠나는 개미들이 좀 더 빠르게 움직일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한 줄에서 두 줄로 두 줄에서 또 네줄로.


단순하지만 3~5세 아이들에게 좋은 수학그림동화책이 되지 않겠나 싶다. 원서는 93년도에 나온 것 같은데 이 책을 번역한 것이 ‘배고픈 개미 100마리가 발발발’이다.


배고픔을 줄일려면 얼른 가야하는데, 얼른 갈려면 나누기가 빨리 되어야 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깨비를 다시 빨아 버린 우리엄마 도깨비를 빨아 버린 우리 엄마
사토 와키코 글.그림, 엄기원 옮김 / 한림출판사 / 200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논리적으로 본다면 어렵다. 그냥 그림과 글로 편안하게 읽을 수 있는 마음을 갖고 접근하면 좋을 것 같다. 뭘 굳이 얻겠다는 생각보다는 말이다. 연 줄에 빨래를 묶어 말릴 생각을 한다는 것이. 어쨌든 요즘 아이들이 빨래는 엄마가 하는 것이 아니라 세탁기가 하는 줄로 알지 않겠나. 그래서 이런 풍경은 아마도 보기가 힘든 풍경일 것이다. 말그대로 동화속에서나, 그림책에서나 있을 법한 일로 말이다.


변덕스러운 날씨, 빨래를 어떻게 말릴 것인가? 좋아, 연이 좋겠어. 연 줄에 말리는 거야. 하하. 구름 위로 가면 해가 있어서 말릴 수 있을 거라는 엄마의 생각에 빨래를 매달아 날린다. 그러자 이번에도 천둥번개 도깨비들이 등장을 한다. 빨아달라고 엄마를 졸라대고 엄마는 그 많은 도깨비들을 다 빤다. 그런데 이런. 너무 잘 말라서 그런건지. 빳빳해진 것이다. 엄마는 어떻게 했을까?


뜨거운 물에 풀었다(?). 목욕을 하고 깨끗해진 도깨비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깨비를 빨아 버린 우리 엄마 도깨비를 빨아 버린 우리 엄마
사토 와키코 글.그림, 이영준 옮김 / 한림출판사 / 199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빨래라면 자신있는 엄마, 모든 생활도구들을 다 빤다. 하하. 아이들 마저도 엄마가 빨아준다. 깨끗하게 빨아준다. 나무 사이사이로 빨랫줄을 묶는다. 다음 장을 열어보니 아니 아이들 마저 걸려 있는 모습이 너무나도 즐겁다. 생활가재도구들이 다 걸려있다. 아이들의 친근한 소품들과 엄마의 가재도구까지. 심지어는 도깨비까지 빨아준다. 방망이를 찾으러 내려온 천둥번개도깨비를 빨았는데 이런 너무 깨끗하게 빠느라 얼굴 모양까지도 없어졌다. 그래서 아이들이 도깨비의 얼굴을 그려준다. 코도 그리고 눈도 그리고, 그러자 또 큰 일이 벌어졌다.


또 빨 것이 없나?


엄마의 빨래하는 풍경과 도깨비의 그 황당함이 보기 좋다. 좀 말이 안되는 것이기도 하지만, 아이들의 눈으로 세상을 본다면 안될 일이 어디있겠는가, 도깨비 만드는 시간을 갖는 기회로 삼아보는 것도 좋겠다.


마지막 더 웃긴 것은 다른 도깨비들이 너나할 것 없이 떨어졌다. 그 이유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안녕 빠이빠이 창문
노튼 저스터 지음, 크리스 라쉬카 그림, 유혜자 옮김 / 삐아제어린이 / 2006년 3월
평점 :
품절


할머니와 할아버지에 대한 기억이 사실 별로 많지 않습니다. 특히 친할머니와 친할아버지에 대해서는.


3층집의 3층 창문에서 할머니와 할아버지와 함께 놀며, 인사를 나누었던 방, 그리고 창문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헤어짐이 아쉽지만 그리움도 큰 공간을 이어주는 창문. 빠이빠이는 인사를 나누며 헤어지는 말이기도 하지만 다시만날 날에 대한 그리움이 더 큰 것 같습니다. 그림도 예쁘고, 가슴도 따뜻해지고 뭉클해지는 그런 내용입니다. 자주 만나고, 그리워 할 수 있는 것이 가족이고 사랑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아이에게도 그런 마음이 그대로 전달이 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메아리 길벗어린이 작가앨범 4
이주홍 글, 김동성 그림 / 길벗어린이 / 200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빠와 둘이 사는 돌이의 이야기가 슬프지만 예쁘게 그려져있다.

 

송아지가 시집간 누나를 대신하여 돌이의 마음을 달려주는데, 소가 돌이에게 송아지를 뺏기지나 않을까 하는 그 모습이 돌이의 마음과도 견줄만 하지 않겠나 생각한다. 누나의 냄새, 누나의 향기가 그리워 베게를 끌어안고 자는 돌이, 그리고 누나를 찾아 나선 길에 길을 잃고 다시 집에 돌아와서 송아지의 탄생을 통해 새로운 ‘친구’를 만나 돌이가 마음을 찾아 가는 길의 결말이 좋다.


메아리는 그리움이지만 그 그리움은 전달이 되지 못하고, 오히려 다시 벽에 부딪히며 돌아온다. 누나에게 그 그리움이 잘 전달이 되었으면 하는 간절한 바람은 그냥 메아리가 되어 무심하게 돌아온다.


아이들이 정말 이런 삶도 있겠나 하는 생각을 갖게 할 만큼 먼 곳의 이야기이지만 그 마음만큼은 바르게 전달이 될 것이라 본다. 누구나 갖는 그 마음의 고향, 어머니에 대한 마음이 누나에게로 이어진 한 시골소년의 아픈 마음을 같이 나눌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