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직 두 사람
김영하 지음 / 문학동네 / 2017년 5월
평점 :
절판


단편들이 모인 소설집이다. <오직 두 사람>, <아이를 찾습니다>라는 작품이 가장 인상적이었다.

유독 아버지를 따르는 딸의 이야기, 그리고 실종된 아들을 찾고 나서의 이야기이다.

인천 평생학습관에서 김영하 작가의 강의를 들은 적이 있다. 인간은 왜 창의적이지 않은가? 왜 피곤하니까. 모든 일을 창의적으로 하면 일상적인 상을 구현할 수 없고, 모든 일을 창의적으로 할 수도 없다는 말을 했다. 그러나 다면 필요한 때 창의적인 생각을 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그리고 시나리오 작가들이 하는 활동을 이야기했다. 도저히 일어나지 않을 것 같은 일들을 50개 이상씩 생각하라. 가령 카페에서 도저히 일어나지 않을 일들. 공룡이 나타난다. 김치찌개를 끓인다. 탱크가 들어온다. 등등 채 5개로 만들어내지 못한다. 이런 상상만으로도 삶의 활력이 된다. 그 강의를 듣고 나서 가끔 영화를 보며 작가나 감독이 도저히 일어나지 않을 일들을 생각했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가령 <레슬링>이라는 영화에서 젊은 여자가 나이든 동년배인 친구의 아버지를 좋아하는 일이나 영화<챔피언>에서 마동석이 엄마를 찾았는데 알고 보니 엄마는 죽었고 배다른 여동생만 남아 있다는 설정이다. 평범하지 않은 창의적인 이야기들인데 너무 황당한 건 오히려 거부반응이 일어난다.

<오직 두사람>도 약간 이상했다. 딸과 유독 돈독한 아버지라. 40이 넘도록 아버지의 그늘을 벗어나지 못하는 딸.  그리고 아빠가 죽고서야 새로운 삶을 시작하려고 한다.

<아이를 찾습니다>도 새로운 시각이다. 실종된 아이를 찾아 다니는 이야기들은 많은데 찾고 나서의 처참한 상황은 생각해보지 못했다. 마치 왕자와 공주는 결혼해서 행복하게 살았습니다. 뒤에 벌어질 일들을 구체적으로 떠올리지 않은 것처럼 말이다. 10여년동안 찾아 헤맨 아들을 찾았는데 아들은 유괴한 사람을 친엄마로 생각한다. 집에 돌아와 적응을 못한다. 그 뺴앗긴 세월을 어찌할 것인가. 돌아갈 수도 지울 수도 없는 세월을 말이다. 결말이 너무 슬퍼서 너무 아파서 보고 싶지 않다. 아버지라는 존재에 대해 생각한다. 자식을 두고 버릴 수도 죽을 수도 거부할 수도 없다.

아버지의 거칠거칠한 사랑을 근원을 생각해보게 하는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백마 탄 왕자들은 왜 그렇게 떠돌아다닐까 - 명작 동화에 숨은 역사 찾기
박신영 지음 / 페이퍼로드 / 2013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다양한 동화에서 역사적 사실을 탐구하는 책이다. 현직 고등학교 사회 선생님의 글이다.

먼저 질문을 한다. 왜? 왜 그런데, 그리고 그 답을 찾는다.

질문의 크기가 내 삶의 크기를 결정한다는 명언도 있다.

"이 우주가 우리에게 준 두 가지 선물, 사랑하는 힘과 질문하는 능력"이라는 말도 있다.

기계는 답을 위해 존재하고 인간은 질문에 위해 존재한다.

다양한 질문을 만들고 거기에 맞는 해답을 고찰한다.

 

피리부틑 사나이는 어디로 갔을까?

금발은 미녀, 빨간머리는 마녀?

왜 마녀가 등장하는가? 못된 왕비를 위한 변명

돈키호테는 머리가 돈 기사인가?

세계사를 재미있게 공부하고 싶다면 읽어보기를 추천한다.

 

금발이 푸른 눈이 다수인 서북부유럽에서는 빨간 머리가 마녀로 여겨지지만 흑발에 갈색 눈이 다수인 남부유럽에서는 오히려 푸른눈이 마녀로 불렸다. 이는 소수에 대한 박해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이다.

고대 여신의 이미지는 순결한 처녀, 자애로운 어머니, 지혜로운 노파라는 여성의 세 인생 단계가 고루 담겨 있었다. 그러나 늙어서 외모가 추해진 노파는 가톨릭교의 성녀 이미지에거 적당하지 않았다. 가톨릭교에서 성녀는 늘 젊고 아름다운 이미지로만 그려졌다. 그러나 가톨릭 사회는 누구에게 악역을 맡겼을까? 바로 늙고 추한 마녀다.

 

 

 

겉으로는 낭만적 사랑과 결혼담, 끈끈한 우정이란 이야기를 놀라운 반전이 일어나느 재판 과정을 통해 보여주고 있지만 뚜껑을 열고 깊숙이 담겨 있는 내용물을 보면 추악한 기독교도들의 이중성에 대한 고발들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계단의 집 창비청소년문학 34
윌리엄 슬레이터 지음, 최세진 옮김 / 창비 / 201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파블로프의 동물 실험이 생각나는 작품이다. 개에게 먹이를 줄때마다 종을 쳤다. 그런데 어느 날 먹이를 주지 않고 종만 쳤는데도 개가 침을 흘린다. 이런 일을 인간에게 한다면~ 끔찍한 일이다. 마치 고문기사가 인간을 괴롭히려고 고문하는 것처럼 처참하기 그지없다. 밑도 끝도 없이 어떤 일을 하면 음식이 나오고 금방 방법을 달리한다. 이에 저항하기 시작한다. 아무것도 먹을 수 없지만 자신의 의지를 굽히지 않는다. 그 사이에 일어나는 인간끼리의 갈등, 고민, 원인에 대한 탐구 등을 소재로 한다.

마치 미로를 헤매는 사람처럼 답을 알 수 없다. 고민하고 고민하고 스스로 답을 찾아 나간다.

 

조건화란 모든 유기체가 기본적으로 고통을 피하고 쾌락을 얻기 위해 가장 효과적으로 세계와 상호작용하는 방법을 배울 때 사용하는 수단이다.

나도 같은 느낌이야. 속에서 뭔가가 나를 죽게 놔두지 않을거야. 기계는 기계는 아무것도 아냐.

블라썸에게 있어서 음식은 전부입니다.

피터는 올리버에게 등을 돌리고 기계로부터 도망쳐 나와 그녀와 함께 이제껏 기계의 명령에 저항하면서 대단한 결단력과 힘을 보여주었다.

너희가 견뎌냈기 때문에 이 위대한 과학 실험이 실패하게 된 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즈의 의류 수거함 - 제3회 자음과모음 청소년문학상 수상작 자음과모음 청소년문학 40
유영민 지음 / 자음과모음 / 201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즈의 마법사>라는 영화를 본 적이 있다. 도로시라는 여자 아이가 집으로 돌아오기위해 오즈의 마법사를 찾으로 간다. 가는 길에 뇌가 없는 허수아비, 심장이 없는 양철통, 용기가 없는 사자를 만나 공동체를 형성한다. 서로에게 위로가 되고 힘이 되며 여러 시험을 거쳐 마법사를 찾아가지만 사실 마법사는 대단하지 않았다. 그냥 허수아비에게 학위를 주고, 사자에게 훈장을, 양철통에게는 더 사랑하라고 헌신의 증표를 주었을 뿐이다. 그리고 도로시는 집으로 돌아온다.

이 소설은 <오즈의 마법사>를 모티브로 했다. 제목도 비슷하고 에메랄드 빌리지나 주인공 이름들도 역할도 원작과 유사한 점이 많다.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보는 재미가 있어서 좋았다.

주인공 도로시는 이민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밤에 옷수거함을 훔쳐서 구제 옷가게에 넘긴다. 부유한 동네에 가면 헌옷상자에서도 괜찮은 옷들이 나온다.그 일을 하면서 다양한 사람을 만난다. 새터민 카스 아저씨, 노숙자 숙자씨, 폐지 할머니, 마마 '숲' 식당 아줌마, '마녀의 하우스'의 아줌마 등등 어느날 우연히 헌옷 수거함에서 자살을 암시하는 상자를 줍게 되고 그 사람을 살리기 위한 활동을 한다.  서로를 다독이고 서로를 마음으로 따듯하게 보게 된다.

고3학생이 독서실 간다고 하고 새벽에 거리를 누비며 헌옷을 훔치고, 이상한 사람을 만나 놀러다닌다니, 내가 도로시 엄마였다면 기절초풍할 일이지만 영혼이 성장하는 따뜻한 일이라니 멀리서 보아야 할 일이다. 그 안에서 학교폭력의 폐해, 영혼을 살리는 사랑, 따뜻한 위로를 배운다면 말이다. 인생에서 공부보다 중요한 것들이 많으니 말이다. 일단 생명을 살렸으니 의롭다 하겠다.

이거 헌옷 상자가 아니라 보물상자잖아.

인간이 사는 곳이면 낙원이란 없어. 낙원처럼 보일뿐이지

무언가에 중독되지 않고서 어떻게 이 누더기 같은 세상을 버티겠어. 떄로는 중독도 살아가는 힘이 된다구

디자인이란 데코레이션이 아니라 커뮤니케이션이다. 디자인이란 보는 이에게 강렬한 이미지를 전달해야 해.

지금 내가 있는 이곳을 내가 원하는 세상으로 바꾸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옆집 아이 보고서 - 비루한 청춘의 웃기고 눈물 나는 관찰 일기 스푼북 청소년 문학
최고나 지음 / 스푼북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부터 설정이 이상하다. 남의 집을 24시간 관찰한다는 것이 가능할까? 소설이니까 위급한 상황이니까 이해한다.

무민이는 옆집에 은둔형 외톨이가 자살하지 않도록 지키고 학교 제적당하기 전까지 학교로 복귀시켜야 하는 벌을 받게 된다. 그리 성실한 학생은 아니었는데 순희는 지켜보며 스스로도 성장하고 순희의 아픔에도 공감한다.

"비슷한 또래에 비슷한 옷을 입고 비슷한 것을 배우며 산다고 믿었다. 하지만 우리의 생각은 달랐다. 철저히 달랐다. 모두 한 가지 목표만이 있다고 느꼈다. 지긋지긋한 학교 생활 벗어나기, 선생에게 안 걸리고 주도면밀하게 탈선하기, 가끔은 어른들이 놀랄만한 짓궂은 장난치기, 작은 일탈이 우리에게 주는 소소한 행복이라 여겼다."

무민이는 비행을 너무나 가볍게 즐겁게 행하는 귀여운 학생이었는데, 순희를 보며 생각이 달라진다. 뭔가 무거운, 슬픈 아픔을 가진 그녀를 걱정한다.

청소년들에게 거울 효과는 충분히 의미가 있다. 가만히 관찰해보면 모두 이상하지만 그 안에 아픔이 있다. 부모에게 받은 상처, 친구에게 받은 따돌림, 공부에 대한 자신감 저하, 미래에 대한 불안 등등 원인은 많다. 다른 친구들을 보며 스스로를 바라보게 되는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