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기적성을 빙자한 보충 수업기간이지만, 어제와 오늘 동안은 나만의 휴가기간이다. 이틀을 뺀 덕분에 앞으로는 1월의 끝까지 매일 4시간의 수업을 해야한다. 원래는 어떤 모임에 참가하기 위해서 3일간 휴가가 필요했지만, 학교 사정상 2일 밖에 시간이 안 났다. 그래서 어중간하게 모임도 못 가고, 이왕 시간이 난 거 이렇게 집에서 뒹굴뒹굴거리며 책이나 읽자 싶어서 이렇게 있는 것이다.
보충 수업을 위해 반편성을 새로 했고, 역시 임시 담임을 맡게 되었다. 이번에는 인문 여학생반인데, 이 녀석들이 아침마다 전화통에 불이 날 정도로 통화와 메세지를 보낸다. 이유는 단 하나! 이틀 전 종례시간에 아무런 연락 없이 결석이나 지각하면 샘이랑 '면담'해야 한다고 이야기를 했기 때문이다. 아이들은 학교에 남아서 '면담'하는 건 질색인 것 같다.
아이들은 아침마다(그래봐야 겨우 이틀이지만) "선생님 배가 아파서 못 가겠어요" "선생님, 병원 갔다가 가려고 했는데, 갑자기 더 몸이 아파서 도저히 못 가겠어요" "선생님! 저 오늘 못 갑니다. 감기들었어요." 같은 문자메세지를 너댓통씩 보내고, 집에 있는 나는 어떻게 해야할 지 몰라 "그럼 내일은 꼭 오너라"라는 답메세지만 보낸다. 그러면서 속으로 은근히 불안하기도 하고, 걱정도 된다. 사실은, 아이들의 건강에 대한 걱정보다는 '이러다 내가 맡은 반이 엉망이 되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앞선다.
아이들은 왜 아픈 것일까? 예전에 내 친구(물론 선생이다.)가 남긴 명언 "아이들은 아파서 조퇴하는 것이 아니라 조퇴하고 싶어서 아프다"처럼 아픈 척 하는 것일까? 다른 반에는 별로 결석생이 없는 걸 보면, 유독 우리반에 몸이 약한 학생들이 많거나 우리반 아이들이 학교에 오기 싫어서 몸이 아프다는 핑계를 대는 것이리라. 다른 선생님들도 사석에서는 '나 같아도 오기 싫겠다'고 말씀을 하시지만, 그래도 담임의 입장에서는 그 반에 대한 책임을 맡고 있으니 선뜻 그렇게 말하고 말 일은 아닌 것이다.
그러나 나는 이번에 조심스럽게 아이들에게 '자율'을 이야기하려고 한다. 내가 맡은 한 달-그러나 학교에 오는 날은 15일 정도?-동안만이라도 스스로 선택하고, 결과를 받이들이는 연습을 해 보도록 하고 싶다. 따지고 보면, 보충수업은 '교육 활동'이라기 보다는 '서비스 활동'에 더 가깝다.선생님들은 하기 싫어도 학생들을 위해 방학을 버려야하고(나 같은 사람만 해도 시간만 주어지면 방학 때 내 돈을 써가며 공부하고 싶은 것이 아주 많지만, 매일 학교에 묶여 있어야 하니 아무 것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학생들도 비싼 수업비를 내면서 자유롭지 못한 방학을 보내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내 교실만이라도 즐겁고 씩씩한 분위기가 만들어지는 걸 전제로 해서 아이들 자신에게도 스스로를 통제할 수 있는 힘이 잠재되어 있다는 걸 보여 주고 싶다.
둥둥두둥~! 내일이면 학교에 간다. 기다려라 얘들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