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나미, 책세상, 2001년

   보수주의는 존재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그냥 존재하는 것이다. 보수주의는, 어는 문인에 의해 아주 적절히 지적된 바와 같이, '이념'이 아니라 '욕망'이다. 즉 사회를 굳건히 떠받치기 위해 '존재해야 하는' 필수적인 신념이 아니라 '그냥 존재하는' 욕망이다. 자신을 보수주의자라고 자처하는 많은 정치가들이 이 당, 저 당, 자신이 내세우는 신념과 관계 없이 집권당이라는 이유로, 또 자신의 이익에 부합하는 당이라는 이유로 쉽게 야합하는 경우를 많이 본다. 그 정치가들은 자신들을 주로 보수주의자라고 부르는데 매우 정확한 표현이라고 생각한다. 보수주의자의 신념 아닌 신념은 단지 자신의 기득권과 안락함을 잃고 싶지 않은 욕망이 내용의 전부라고 할 수 있다.

   보수주의는 욕망이므로 우리 모두는 그것을 갖고 있다. 우리 모두 아침에 잠자리에서 일어나기 싫다. 그냥 이대로 누워 있고 싶다. 그것이 편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우리의 욕망이다. 그러나 우리는 일어나야 하고 공부하고 일해야 한다. 즉 변화해야 한다. 보수가 욕망이라면 변화는 고통이다. 어린 새는 별로 날고 싶지 않을 것이다. 그냥 어미 새가 물어다주는 먹이만 받아 먹으며 한평생 지내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어린 새는 어미 새에 떠밀려 날게 된다. 보수주의는 날고 싶지 않은 어린 새의 마음이다. 날개는 변화와 진보를 이루기 위한 힘이다. 어린 새가 날지 않으면 날개가 퇴보하듯이 보수는 정체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곧 퇴보로 이어진다. 그러므로 보수는 존재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싫든 좋든 존재하는 것이며 따라서 극복되어야만 하는 것이다.

(중략)

    그러므로 보수주의는 결코 날개가 아니다. 그렇다면 균형을 위해 진보라는 날개와 함께 어떤 날개가 필요한가? 아마도 그것은 '성찰'이라는 날개가 아닐까? 성찰은 진보를 막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완성되도록 돕는다. 성찰은 진보가 지금보다 더 나은 현실을 가져오도록 과거를 반성하고 현재에 대해 숙고하며 미래의 부작용을 대비하게 한다. 그런데 보수주의와 자유주의는 성찰하지 않는다. 그래서 나는 이 글이 자유주의에 대한 하나의 성찰이 되길 바란다.

11-13쪽, '들어가는 말'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김창기 작사, 곡. 동물원 노래

시청앞 지하철 역에서 너를 다시 만났었지
신문을 사려 돌아섰을 때 너의 모습을 보았지
발 디딜 틈 없는 그 곳에서 너의 이름을 부를 때
넌 놀란 모습으로 음~~

너에게 다가가려 할 때에 난 누군가의 발을 밟았기에
커다란 웃음으로 미안하다 말해야 했었지
살아가는 얘기 변한 이야기 지루했던 날씨 이야기
밀려오는 추억으로 우린 쉽게 지쳐 갔지
그렇듯 더디던 시간이 우리를 스쳐 지난 지금
너는 두 아이의 엄마라며 엷은 미소를 지었지
나의 생활을 물었을 때 나는 허탈한 어깨 짓으로
어딘가 있을 무언가를 아직 찾고 있다 했지
언젠가 우리 다시 만나는 날엔
빛나는 열매를 보여준다 했지
우리의 영혼에 깊이 새겨진
그날의 노래는 우리 귀에 아직 아련한데

가끔씩 너를 생각한다고 들려주고 싶었지만
짧은 인사만을 남겨둔채 너는 내려야 했었지
바삐 움직이는 사람들 속에 너의 모습이 사라질 때
오래 전 그 날처럼 내 마음엔

언젠가 우리 다시 만나는 날엔
빛나는 열매를 보여준다 했지
우리의 영혼에 깊이 새겨진
그날의 노래는 우리 귀에 아직 아련한데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메시지 2004-07-03 12: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동물원, 이름도 정겨운 음악가예요^^*

느티나무 2004-07-03 12: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렇죠.. 편안하고 꾸밈 없는 그런 음악이 좋아요.
 

   어제 아주 잘 놀았고, 오늘(7월 2일) 학교에서 황당무계한 일도 있었고-이제는 야만적인 행동이 일상으로 벌어지고 있기 때문에 무감각하다. 그렇지만 정신적으로 무척 피곤하다- 집에 오자마자 8시부터 -11시까지 3시간을 꼬박 잤다. 그래서 잠이 안 오는데... 이젠 자야할 시간인 것 같다.

   내일이 시험 마지막 날! 두 시간 시험 감독하고 한 시간은 자습감독이다. 음... 오늘 시험감독은 무척 재미있게 시간을 잘 보냈는데... 뭐냐면 학생들이 번호순서로 앉아 있기 때문에 혼자서 학생 이름 외우기 놀이를 하는 것이다. 평소엔 잘 몰랐던 이름들을 하나 하나 얼굴과 연결시키면서 외우니까 재미도 있고, 다음 수업에 내가 이름을 부르면 '어떻게 알았냐'는 듯이 신기해 하겠지? 내일도 세 반이나 들었으니 열심히 이름과 얼굴을 연결시키며 외워야겠다.

   이젠 진짜 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nrim님 서재에 갔다가 사주풀이 하는 곳을 소개해 뒀기에 내 사주를 넣었더니,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의 기본적인 성격이라고 나와 있다. 내가 보기엔 맞는 것 같기도 하고, 아닌 것 같기도 하고... 나와 가까운 사람들은 이걸 보면 어떻게 말해 줄까? ㅋㅋ

 

   느티나무님은 여간해서는 감정에 휩쓸리지 않고 논리적이며 비판적인 말과 행동을 선호하지만, 지나치면 남들에게는 따지기를 좋아하는 것으로 비쳐질수도 있습니다. 표면적으로는 차갑게 보이지만 느티나무님의 마음속에는 다정 다감한 면이 있습니다. 가족을 생각하는 마음도 각별하고 남에게도 해를 끼칠 수 없는 성격이지만, 반대로 쉽게 남에게 자기의 마음을 열어주지도 않습니다.

   의외로 보수적인 면이 강하게 나타나는 성격입니다. 강해 보이지는 않지만 뚜렷한 자기 주장을 가지고 꾸준히 노력하는 스타일이며, 남보다 뒤처지는것을 아주 싫어합니다. 의젓하고 고독을 즐기는 성향도 가지고 있으며 남들에게 인정받고 싶어하는 마음이 강합니다.

   또 한편으로 느티나무님은 사교적인 면이 잠재되어 있습니다 외면적으로는 부드럽게 보이지만 내면은 단단해서 분명한 자기 주장이 있으나 쉽게 표현하지 않으며 주위와 교류하는 것을 좋아하고 남을 설득하는 능력도 탁월합니다.

이제까지 이야기한 것은 느티나무님의 기본적인 성격입니다.

* 그 아래로도 몇 가지 숨겨진 성격적인 특성이라고 하면서 제시되어 있으나 지면(紙面) 관계상 생략하기로 한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2004-07-03 08:43   URL
비밀 댓글입니다.

비로그인 2004-07-03 19: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비슷해요..ㅋㅋ 근데 다정 다감....-_-;; ㅎㅎㅎ..

느티나무 2004-07-03 21: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마음 속에는' 이라고 되어 있죠, 아마! 후후~!~ 알고 보면 내가 얼마나 다정다감한 사람인데.. ^^;;

비로그인 2004-07-04 12: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웩!

느티나무 2004-07-04 13: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 ^^++ ^^;;
 

화암사 깨끗한 개 두 마리

-안도현

화암사 안마당에는
스님 모시고 노는 개 두 마리가 있습니다
그 귀가 하도 맑고 깨끗해서
뒷산 다람쥐 도토리 굴리는 소리까지
훤히 다 듣습니다.
간혹 귀 쫑긋 세우고 쌩 하니 달려갔다가는
소득 없이 터덜터덜 돌아올 때가 있는데
귓전에 닿는 소리에
덕지덕지 욕심 있어서가 아닙니다
그저 그냥 한번 그래 본 것입니다
바람이, 일없이 풍경소리를 내는 물고기 꼬리를
그저 그냥 한번 툭 치고 가듯이

 

* 전북 완주에 있는 화암사를 3년 전 겨울에 다녀온 적이 있다. 물론 그 때는 대둔산과 논산의 쌍계사를 거쳐 전주로 넘어가는 여정을 잡았다. 애초에 화암사는 예정된 곳은 아니었지만, 우연히 책에서 읽고 들른 곳이다.

* 점심을 어디서 먹을까 망설이다가 마땅한 곳을 찾을 수 없어서 화암사를 들러본 후에 적당한 곳을 찾기로 했으나, 우리 일행은 점심도 잊은 채 화암사에서 오후를 다 보내버렸다. 안도현 시인의 시처럼 마당에 내리쬐는 햇볕이 너무 좋았기 때문이었다.

* 화암사 툇마루에 앉아 한나절을 그렇게 보내고 싶다. 그 때 본 욕심 없는 개들은 또 어찌 되었는지 궁금하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