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네트워크, 한겨레신문사, 2003

   '테러리스트' '강경파 이슬람근본주의자' 나는 내 이름 앞뒤에 늘 따라붙는 이 단골 용어들을 이스라엘이나 미국과 그 동맹국들이 붙여 준 거룩한 '존칭'쯤이라 여기며 별로 마음에 둔 적이 없었다. 여기서 분명히 짚고 넘어갈 일이 하나 있다. 불행하게도 이스라엘과 미국은 적합하지 않은 용어로 나를 불러왔다는 사실이다.

   세상에 태어나서 지금까지 내 삶을 지배해온 가장 중요한 화두는 중용이었다. 다시 말해, 나는 일생 동안 '엄격'과 '관용' 한가운데 지점을 따라 걸어온 사람이었다는 뜻이다. 따라서 이스라엘과 미국이 나를 '극단주의자'니 '근본주의자'니 '테러리스트'라고 부르는 건 어리석은 장난에 지나지 않는다. 이스라엘도 미국도 모두, 불법 침략자에 대항하는 일은 한 사회와 그 구성원이 지닌 가장 기초적인 권리이자 의무라고 가르쳐 오지 않았을까?

   자, 여기 나라는 개인을 놓고 보아도, 나는 법적 권리를 지닌 주체일 뿐만 아니라 이스라엘이 침략해서 강점하고 있는 팔레스타인 땅의 한 주인이다. 만약 외국 군대가 한국을 침범해서 당신과 가족들을 쫓아냈고, 그래서 조국을 찾고자 투쟁해 온 당신에게 누가 극단주의자니 테러리스트라고 부른다면 어떨까? 마찬가지로, 조국 팔레스타인 땅을 되돌려 달라고 요구해 온  나를 극단주의자니 테러리스트라 불러도 좋을까? 만약 그 대답이 "예스"라면, 나는 그 칭호들을 세상에서 가장 아름답고 명예로운 이름으로 간직할 것이다.

-263쪽

* 얼마 전에 이스라엘의 '테러'공격을 받아 죽은 팔레스타인 무장저항단체 하마스의 정신적 지도자, 아흐메드 야신의 글이다. 그의 글 속에서 '중용'이라는 단어가 마음에 꽂힌다. 그는 아름답고 명예로운 이름을 간직한 채로 죽었다. 사람들은 테러가 나쁜 짓이라고 말하지만, 그렇게 말할 때 그가 '테러리스트'가 될 수 밖에 없었던 원인을 함께 말해야 한다.

   사람은 누구나 다 자기가 가는 길이 '중용'이라고 생각한다. 아무리 나쁜 사람도 더 나쁜 사람과 견주어 보며 '그래도 나는...'이라며 스스로를 합리화한다. 자신이 중용을 지키며 산다고 생각하지 않으면 아마 괴로워서 세상을 살아갈 수 없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 서재 브리핑 최소!

 

   일요일이라 그런가, 휴가기간(?)이라 그런가 즐겨찾는 서재 브리핑(24시간)에 가장 적게 글이 올라와 있다. 달랑 6건.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진/우맘 2004-07-18 21: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러게요. 브리핑도 짧고, 방문객도 얼마 없는...한산한 밤이군요.^^
 

   항상 공부하는 모습으로 살아가는 선생님이나, 아이들과의 행복한 관계를 만들기 위해 고민하는 선생님들, 그리고 더욱 치열하게 자기 삶을 가다듬고자 하는 선생님께 권합니다. (2004년 4월)
  

  □ 희망의 교육학,  파울로 프레이리, 아침이슬, 2002년
 
  □ 작은 학교가 아름답다, 보리 편집부, 보리, 1997년
 
  □ 김은형의 교육일기 1, 김은형, 나라말, 1999년
 
  □ 마지막 한 번을 더 용서하는 마음, 도종환, 사계절, 2000년
 
  □ 에스메이의 일기, 에스메이 코델, 세종서적, 1999년

  □ 내 안의 빛나는 1%를 믿어준 사람, 제인 블루스틴, 푸른숲, 2003년
 
  □ 슈타이너 학교의 참교육 이야기, 고야스 미치코, 밝은누리, 2003년
 
  □ 학교를 거부하는 아이 아이를 거부하는 사회, 조혜정, 또하나의문화, 1996년
 
  □ 가르칠 수 있는 용기, 파커 J. 파머, 한문화, 2000년
 
  □ 페다고지, 파울루 프레이리, 그린비, 2002년
 
  □ 프레이리의 교사론, 파울로 프레이리, 아침이슬, 2000년
 
  □ 영혼의 성장과 자유를 위한 교사론, 송순재,고병헌,황덕명, 내일을여는책, 2002년

  □ 학생들의 심리게임, 이도영·이수연·김남옥·이동길·김규식, 중앙적성출판사, 1997년

  □ 교사와 학생 사이, 하임 G. 기너트, 양철북, 2003년
 
  □ 교사 역할 훈련, 토머스 고든, 양철북,  2003년

  □ 교육신화, 아더 W. 콤즈, 양서원, 1986년
 
  □ 빛깔이 있는 학급문집 만들기-중등, 우리교육 편집부, 우리교육, 2002년

  □ 빛깔이 있는 학급운영 1,2,3 우리교육 편집부, 우리교육, 1999년

  □ 학급활동으로 이어가는 집단상담, 배경숙, 우리교육, 2001년
 
  □ 학급 혁명-아이들에게서 배우는 교사의 기록, 고니시 겐지로, 사계절, 1999년
 
  □ 땅콩 선생, 드디어 인권교육하다, 전국사회교사모임 인권교육분과, 우리교육, 2003년
 
  □ 인권은 교문 앞에서 멈춘다, 배경내, 우리교육, 2000년

  □ 가끔 아이들은 억울하다, 김대유, 우리교육, 2003년

  □ 학교를 바꿉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출판국,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출판국, 2002년

  □ 꽃으로도 아이를 때리지 말라, 박홍규, 우물이있는집, 2002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들풀

- 안준철, 내일을여는책, 2001

 

들풀을 보면 생각난다
이름으로 불러 준 적 없는 아이들

마음으로 읽고
눈빛으로 알고
따스히 흘러
빗장을 열게 하는 사랑
나눠 준 적 없는 아이들

그런 사랑 받아 본 적 없어
더 가슴 태웠을 것을
더 다가오고 싶었을 것을

들풀을 보니 생각난다
화사하지 못하여
키에 가리워
먼발치로만 서성이던 아이들

한 번 더 다가섰으면
꽃이 되었을 우리 아이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글샘 2004-07-28 00: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안녕하세요. 선생님이신 모양이네요. 저도 지금 고3 담임이라 방학은 물건너 가고 있습니다.
이 시가 좋아서 분필통 뒤에 붙여놓고 다닌 지가 4년 쯤 됐는데, 닳아서 요즘 보이질 않아서 안타까워하고 있었거든요.
이분의 시였네요. 몇 편 읽어보았는데, 고민이 많으신 좋은 선생님이시군요.
저는 많은 고민을 많은 할일 밑에 깔아뭉개버린 지 오래 되었거든요...
저도 이제 슬슬 고민을 할일 위에 올려봐야겠습니다.
만나서 반가워요.

느티나무 2004-07-28 13: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샘님 반갑습니다. 예전부터 글샘님의 리뷰를 읽어 온 사람인데, 한 번도 글은 남기지 않았답니다. 안준철선생님의 시가 참 마음에 와 닿습니다. 아마도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이 많아서 그렇겠지요? 고 3담임 하시면 방학도 없으실테고... 아이들과 함께 뜨겁게 여름 나시겠네요? 건강부터 챙기시고 아이들과 더불어 행복하게 생활하시기를 바랍니다. 해운대쪽에서 근무하시죠?
 

하얀 장미

- 안준철, 세상 조촐한 것들이, 내일을여는책, 2001

 

주번 교사 하던 날이었지
흰 종이 쓰레기 한 점
장맛비에 젖어
측백나무 울타리에 걸려 있었어
누군가 손에 쥐었다가
무심코 버렸으리라
생각하며 허리를 굽히는데
세상에, 그게 흰 장미인 거야
이슬 같은 물기를 머금고
생글 웃고 있지 않겠어
자세히 보니 제 몸에 가시를 박은
한 줄기 초록빛 가녀린 선이
측백나무 울타리 속에 비집고 올라와
흰 장미 한 송이를 후끈 피워 놓은 거야
나는 생각했지
처음에는 그 흰 장미가
정말 종이 쓰레기였을지도 모른다고
장맛비에 젖어 측백나무 울타리에 걸린
찢겨진 한 영혼이었을지도 모른다고
누군가 허리를 굽혀
다가가기 전까지는 말이지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느티나무 2004-07-18 00: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교사란 누구인가? 예쁘고, 착하고, 잘 하는 걸 '좋다', '잘 한다'고 칭찬하는 것은 누구나 할 수 있는 것이다. 교사란 아이들 속에 잠재되어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고, 아이들이 '예쁘고, 착하고, 잘 하도록' 칭찬으로 이끌어 낼 수 있는 사람이다. 그런 점에서 나는 얼마나 부족한 사람인지... 아니, 학교라는 공간은 얼마나 무감각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