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연합과 정보공유연대(IPLeft)가 WHO에 보낸 의견서입니다.

Submission by KFHR and IPLeft for WHO Public Hearing on PHI

November 15, 2006

IPRs Systme, Questionable Incentives to Medical Development and Innovation

When medicines are developed and distributed primarily based on the market needs not on the health needs, the medicines are no longer public goods: they are just commodity traded and sold in the market. We believe that the global strategy and plan of actions, which will be discussed in the proposed intergovernmental working group, should be focused on recovering and preserving the nature of public goods of medicines.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PRs) systems that were globalized by trade-related aspect of intellectual property (TRIPS) agreement and forced to be much higher protection regimes by US-driven FTAs are one of the key factors to turn the public goods into commodities. Further, as put by the Report of the Commission on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novation and Public Health, there is no evidence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e TRIPS agreement in developing countries will significantly boost R&D in pharmaceuticals.
Rather, the incentive mechanism of IPRs to promote the medical development and innovation is questionable in our experiences. In Korea, product patent on pharmaceuticals were introduced in 1987 by the threat of trade retaliation from the United States. What the product patent system promotes is the sharp increase of patent applications of foreign pharmaceutical companies and drug expenditures. From 1983 to 1999, among 8,477 drug patent applications, 1,698 (about 80%) applications were filed by foreign pharmaceutical companies. This tendency continues even now. The increase of foreign patent applications was prominent from 1987 to 1990 just after the introduction of product patent system.
The ratio of drug expenditure in total treatment cost of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increased 23.5% in 2001 to 29.2% in 2005. The total drug expenditures have increased by 14% every year since 2001. This is much higher than OECD average of 6.1%.
The number of local pharmaceutical manufacturers in Korea was 725 firms for 2004, and Korea is ranked in the world’s top 15 pharmaceutical markets. Recently, Korean pharmaceutical industry association announced that they opposed the stronger protection of IPRs on medicines demanded by the US in the FTA negotiation.
These facts clearly tell that the incentive system based on IPRs fails to promote the local development and innovation even in a country having some level of domestic market and R&D capacity, and simply leads to the increase of pharmaceutical prices.

Independent Review of Patent Validity

The premises that most patents are issued through perfect examination processes and well-defined legal rights are on incorrect assumption. Vast majority of patents are never litigated, and roughly half of those patents that are fully litigated are found to be invalid. Actually in the US, patent infringement lawsuits under the Hatch-Waxman Act, generic applicants prevailed in 73% of the cases. Of the decisions favoring the generic applicant, roughly half of drug patents of brand-name companies were decided to be invalid (See Federal Trade Commission, Generic Drug Entry Prior to Patent Expiration, 2002). In Korea, 48% of drug patents issued from 1980 to 2005 through the examination in the Patent Office were found to be invalid in the first stage of invalidation trial.
Some scholars call this unreliability of the validity of issued patents “Patents as Lottery Tickets” (See Mark A Lemley & Carl Shapiro, Probabilistic Patents,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 July 2004). According to them, “most patents represent highly uncertain or probabilistic property rights” and “patents are a mixture of a property right and a lottery. When a patent holder asserts its patent against an alleged infringer, the patent holder is rolling the dice. If the patent is found valid, the patent will indeed give its owner the right to prevent the infringer, and others, from practicing the patented invention. However, if the patent is found invalid, the property right will have evaporated entirely.”
In any actions and strategies to enhance innov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to address diseases disproportionately affect developing countries,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patent holders from “rolling the dice”. For doing so, we may consider establishing a review center for evaluating the issued patents that are the subject of benefit of WHO’s actions. If we view that the examination of national patent office is preliminary filtering of problematic patents, the evaluation of the review center may be the secondary filtering. The review center’s main role may be the evaluation of novelty and inventive step of inventions, independently from the WIPO or national patent offices. The determination of novelty and inventive step are not mere legal issues but they largely depend on the evaluation of invention in terms of technical advancement.

Public Funding on R&D, Manufacturing and Distribution on Medicines

The role of government or intergovernmental organization should be expanded beyond the financing R&D for public or private sectors. For priority setting for innovation in public health needs, supply and distribution of medicines as well as financing R&D are handled by the public.
We think that public support for R&D should be based not only on the budget of the administration, but also should be related to the finance of public health insurance. In many countries that provide public health insurance, major expenses are paid for medicine, and it is rising faster than any other items. For example, in South Korea, 29.2% of the budget of all social health insurance is paid for medicine, and it is rising 14% each year. Some part of the rise may be due to inevitable natural course such as aging of the population, but most of the rise comes from elevation of drug price and the shift of prescription to expensive substitute or composite medicines. If essential medicines are not developed, we would have to pay more to treat diseases by buying more expensive drugs, and the medical cost would rise unnecessarily.
In case of South Korea, public health insurance gives incentive to the doctors who prescribe cheap and essential medicines. The civil societies of South Korea have been requesting to expand the incentives for prescribing essential medicines.
We also suggest that the cost for public R&D to be funded by a certain proportion of the total budget of social health insurance, or a certain proportion of its expenditure on medicine (for example, 1-2%). We also claim that it is essential for the public to pay attention to the process of approval, production, distribution as well, for these are the bases for the stabilization of public R&D. Most of the study of innovative medicines are made by national or non-profit institutes. At present, support from private sector is inevitable, partly because public support is insufficient. However, supports by private sector on small institutes can result in biased outcome of the research. The private corporation can influence the direction of research in various ways. South Korean civil society has asked for the foundation of public enterprise to produce essential medicines and vaccines, and also to organize public distributing centers of these essential medicines and vaccines.
We are also putting our ey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Considering the relation between the two sectors, merely increasing public funding on R&D cannot reach its full effect if it is not supported with public control on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medicine.
We conclude that enforcing public interest on the whole system, which includes R&D,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medicine is needed. This will ensure public access to medicine, and this will stabilize the relationship between R&D and public interest. We should look carefully on the R&D of public institutes, which might be influenced by private corporations, and we should study more on how to reform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medicines to ensure the effect of public funding on R&D.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한바탕 바람이... 

지난 주 15~17일은 B군이 청주 상당산성에서 촬영하는 관계로,
국내외의 팬들이 그곳으로 몰렸다. 
몇 초간, 분장차에서 촬영장으로, 촬영장에서 분장차로 걸어서 오가는 B군을 보기 위해서
몇시간이고 추운 곳에서 기다리고 있는 사람들. 
100미터 밖에서 촬영하는 모습을 - 둘러싼 스탭들에 가려서 보이지도 않는데 - 몇 시간이고 망원경을 통해 바라 보는 사람.  
B군이 지나갈 것으로 예상되는 길목에 몇 시간이고 서서 기다리는 사람.
하루 종일, 밤새도록 변변한 식당도, 몸 녹일 곳도 없는 그 곳에서 견딘다.

일본인들 뿐 아니라,  우리 나라 팬들,  미국서 날아온 교포들....    말로만 듣던 것을 직접 보니 참 신기했다.
나로서는 장시간 다른 팬들과 이런 저런 이야기를 하는 것이 처음이었다.
게시판을 통한 글만으로는 알 수 없었을, 다양한 모습과 개개인의 특성을 대충 감 잡을 수 있었다. 
인간들 많이 모인 곳이면 어디건 '정치'라는 것이 빠지지 않는다는 것을 다시 확인.  이곳에서 마저.

참, 사람들이, 나를 보더니, 게시판의 '딱딱하고 논리적인 글' 과는 전혀 다른 인상이라고 한다.
나는 그쪽에서 나름대로 딱딱하지 않게 쓰려고 무지 애 쓰는데 말이다. 
실은 내가 글 쓰는 곳 중에서 B군 관련 게시판들이 글 쓰기가 가장 어렵다! 그런데도 그랬다니.. ㅡㅡa


2. 아자!  희망 진료 네트워크! 

공동모금회에서 공모한 '지역 네트워크 사업'에 희망진료센터에서 프로그램을 신청한 결과,
상당히 높은 경쟁률을 뚫고 진료센터의 프로그램이 채택되었다. 
대전역 근처의 쪽방촌과 노숙자들에 대해 이루어지고 있는 여러 기관의 여러 가지 의료, 복지, 및 재활 서비스에 대해서, 중복되는 사업은 조정하고, 필요한 이에게 있는 자원을 효율적으로 연계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3년 동안 만들어보자는 내용의 프로그램이었다.

채택이 되기는 했는데, 구체적인 실행 방향에 대한 고민은 이제부터인 듯. 


3.  아직도 FTA에 목매냐고요?

이번 주에 미국에서 5차 협상이 있답니다.
여기 저기 뉴스에서 FTA 이야기 나오면 관심 가져 주셨음 감사하겠습니다.

참, 지난 주 금요일 MBC 의 "W"라는 프로그램에서 스위사가 농업을 지키기 위해서 미국과의 FTA 협상을 중단한 것에 관한 것을 다루었습니다.  유료이기는 하지만, 500원 밖에 안되니까,  못 보신 분들은 보아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해적오리 2006-11-20 15: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가을산님은 언제 뵈어도(?) 존경스럽네요..

Mephistopheles 2006-11-20 16: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활동적이신 가을산님이십니다..^^

sooninara 2006-11-20 17: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가을밤에 고생하셨네요^^ 망원경 가지고 가셨나요?
직접 팬들 만나면 그것도 재미있죠?
FTA는 국내문제때문에 밀리는 느낌이예요. 집값폭등이며 정치줄서기등으로..

가을산 2006-11-20 18: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해적님/ 오오, 늦바람도 존경받을 수 있는 것이로군요. ^^;;

메피님/ 지난 주는 B군 때문에 그다지 활동적이지 못했어요.
2번 3번은 미안해서 구색 맞추기로 적은 것 뿐이에요.... ㅡㅡ;;

수니님/ 엉엉~~~ 망원경을 안 가지고 갔어요~~~ ㅜㅡ

마태우스 2006-11-20 21: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여전히 훌륭한 일 하시며 사시는군요. 게다가 멋진 취미까지...

가을산 2006-11-21 03: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마태님/ 제가 지난 주에 한 훌륭한 일은 싸인 받은 것을 말씀하시는 거지요?
강수연은 요즘 무얼 하고 지낸답니까? 혹시 지나다 보면 마태님 위해 싸인 받아둘게요.
 

딴 말 필요 없습니다.  이 사진을 자세히 봐 주세요.



수능 추위 속에 기다린 보람이 있었습니다.

내 말은 눈 먼 사람 말이니 필요 없을테고.... 
여동생의 반응만 적겠습니다.  
제가 B군 팬이라는 거, 몇 년째 '초보' 라며 놀리는게 취미인 동생이지만,
그래도 깊은 산속에 혼자 있을 언니를 염려해서 먼 길을 와주는 착한 동생입니다.

반응 1.
보기 전:  배용준 키가 180이라고?   연예인들은 다들 그렇게 말하지. 진짜인지는 알 수 없다구. 
       그렇게 안돼 보이는데?

본 후: 내가 그런 말을 했던가?  180 더 돼 보이던데?

반응 2.
보기 전: (나를 약올리려는 목적으로 자난삼아 하는 말) 그사람 성격 까칠하다던데, 과연 싸인을 해 줄까?  
           성격 좋은 우리 S군이라면 몰라도 말이야.

본 후: 언니, 그 사람 성격 참 좋은 것 같더라.  다시 봤어. 

그러면서, 왜 따뜻한 차와 맛있는 케익 같은거 준비 안했냐고 코치하더라구요.  ^^


댓글(1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날개 2006-11-16 21: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가을산님 덕에 저도 자꾸 세뇌되어가고 있습니다..
B군이 세상에서 젤 잘난걸로...^^;;;;;

라주미힌 2006-11-16 21: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승환??? 콘서트???

마노아 2006-11-16 22: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머리 스타일 근사해요. 쉽게 소화하기 어려운데...
라주미힌님, 이름 다시 돌아왔네요. 헌데 여기서 왜 이승환이???

울보 2006-11-17 00: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인받으신건가요,,,

코코죠 2006-11-17 03: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중얼중얼) 김종서인줄 알았다눈..............

Mephistopheles 2006-11-17 09: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순간..김종서인가..했지만..가을산님 서재이므로 무조건 배용준이라는
판단이 섰습니다..^^

반딧불,, 2006-11-17 10: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헉..저렇게 멋져도 되는건가요?
순간 놀랐습니다..!

가을산 2006-11-17 10: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날개님/ ㅎㅎ 적당히 감안해 주세요. 저도 제가 편향되어 있다는 거 알아요.
그래도 세뇌되어 주신다니 고마워요.

라주미힌님/ 이승환니 누구셔요? ^^a

마노아님/ 요즘 드라마 때문에 기르고 있대요. 저도 저 사진은 좋아하는 사진은 아니지만, 저게 표지라서 저기에 받게 되었어요.

울보님/ 네~! *^^*

오즈마님/ 헉 ! 김종서! 하긴 요즘은 거의 김종서 얼굴 만큼 말랐어요.

메피님/ 아, 네... 현명하신 판단이십니다.

반딧불님/ 멋지지요? 더 멋진 사진들도 있어요. =3=3=3


sooninara 2006-11-17 12: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요즘 s군 보면 가을산님 동생분이 떠올라서 저도 관심을 갖고 봐주게 됩니다.ㅎㅎ
정말 사인 받으신건가요? b군이야 항상 멋지죠. ^^

마태우스 2006-11-17 15: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가을산님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대부분 B군을 좋아하죠. 근데 절 좋아하는 사람은 왜 강수연을 좋아하지 않는 걸까요. 제 애정이 부족한 거겠죠?^^

가을산 2006-11-17 16: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수니님/ 수니님의 S군 요즘 아주 잘 지내는 것 같던데, 저도 수니님 S군 볼 때마다 수니님 생각해요.

마태님/ 하하, 저요, 제가 이제부터 강수연 좋아할게요. 혹시 바뀌시면 알려주세요.
 

1.  미련한 짓

지난 주, 생강을 마저 처치했다.
목, 금, 토 3일 밤 늦게까지 오디오북을 들으며 생강 껍질을 깠다.
일요일 아침부터 오후까지 생강을 녹즙기에 갈아 즙을 뺐다.
녹즙기에 걸러져 나온 건더기는 다시 물을 조금부어 저어서 녹즙기에 짜고,
또한번 물을 부어 녹즙기에 짰다.
생강물을 다시한번 체에 걸러서 커다란 들통에 부었다.
설탕 3 kg  부어넣고 음성 파일을 들으면서 두시간 반 동안 센 불에 올려놓고 저으면서 졸였다.

생강액이 다 되자, 산더미 만큼 쌓인 그릇들 설거지 하고,
생강 담아 놓을 병들을 씻고,  점심, 저녁 먹은 거 설거지 하고, 
생강액을 씻어놓은 병에 담았다.
생강액이 병 15개에 담기고도 김치통 하나만큼 남았다.

그런데 가만 보니, 생강 건더기가 버리기가 아까웠다.
그래서 그중 일부를 집에 있는 버터, 설탕, 소다, 바닐라가루, 해바라기씨, 호박씨랑 버무려서
과자를 만들었다.
엄청난 고칼로리 과자라 살이 찌는게 걱정이지, 맛은 그런대로 괜찮은 것 같다. 
나머지 생강 건더기는 비닐 봉지에 나누어 담아 냉동고에 들어갔다.

내년에는 이짓 하지 말아야지. 
참!  아침에 보니, 병에 담은 생강액이 굳어서 '생강 묵'이 되었다! ㅎㅎ

2. 또 늦은 아이디어


한 10년 전부터 생각했었다.
물건을 잘 잃어버리는지라,
핸드폰이나 열쇠, 리모콘 같은 것에 단추만한 장치를 센서를 부착해 두고, 본체에 번호를 등록해 둔다.

물건을 잃어버리면 본체의 번호 버튼을 누른다. 
잃어버린 리모콘에 붙은 장치에서 소리가 나서 있는 곳을 알려준다.

공학을 전공한 사람을 만나면 혹시 이런 건 만들 수 없냐고 물었었는데,
모두들 별 관심 없거나 농담으로 여겼다.
그런데 비슷한 원리의 기계가 타임지 올해의 발명에 선정 되었다.

아이디어를 묵히는 것은 미덕이 아닌 것 같다.

 

3. 이명에 대한 관찰

한 두 주 전서부터 이명이 들린다.
난 이명이 소리가 높은 톤인 줄 알았다.  간혹 어지러울 때 들리는 '찡~~~' 소리 같이.
그런데, 내게 들리는 이명은 좀 낮은 소리이다.  마치 엠프를 틀어놓은 것 같은 낮은 울림. 
피아노로 확인해 보니 베이스 음의 '솔'이다.

그런데,  실재로 겪어보니, 교과서에는 나오지 않는 특징들이 있다.
이명은 주위가 시끄러울 때는 들리지 않는다.
내가 고개를 돌리거나 몸을 움직일 때에도 들리지 않는다.

재미있는 것은,
내가 그 이명음과 한 옥타브 위, 장5도, 장4도 화음이 되는 음을 낼 때에는 이명이 그대로 들리는데,
장3도나 장6도 등의 음을 낼 때에는 이명이 들리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명도 공명이 잘 되는 음은 알아보나보다. ^^


4. 뒤숭숭한 꿈자리

요즘 뒤숭숭한 꿈을 두 번 꾸었다. 
무슨 정치적 격변이 일어나는 꿈들인데,  이전에는 이런 류의 꿈을 꾼 적이 없어서 어째 꺼림직하다.

지난 주의 꿈에는 보수대연합이 쿠테타를 일으켰다.
득세한 우익은 이명박이나 오세훈 같은 사람들이 아니라,  '월남 전우회'  뭐 이런 류의 사람들이었다.
대대적인 사상 검증 및 메카시즘 광풍이 몰아닥치는 와중에 꿈이 깼다.

오늘 새벽에 꾼 꿈은 좀 다른 상황이었다.
보수와 진보가 내전을 벌였다.  총격전 끝에 진보측이 진군해 들어온다.
나는 가족과 함께 집에 숨어있다가 보수진영에 가담했던 아버지가 총에 맞아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듣는다.
아버지를 찾아서 어수선한 거리를 나섰는데,  시내로 행진해 들어오는 시민군 행렬과 맞닥드렸다.
시민군 중에 나를 알아보는 사람이 있었다.  아버지의 친구분이었다.
"당신 김** 의 딸 아니야? 보수분자의 딸?"  하며 
사람들의 눈길이 쏠리면서, 주위 군인들이 적의를 가지고 나를 둘러쌌다.  
 


댓글(1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파란여우 2006-11-13 12: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내년에는 이짓 안한다==>네, 요즘 저와 같은 생각을 하시는군요 흐
그나저나 아버님이 돌아가시지 않고 시민군이 이겼으면 더 좋으련만요^^

라주미힌 2006-11-13 12: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 스페인 내전 같아요.

반딧불,, 2006-11-13 12: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헉, 생강을 다 즙으로 만드신거예요?? 대단대단.

mannerist 2006-11-13 13: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어폰 많이 쓰신다면 사용을 좀 덜 하시는 건 어떨까요? 저같은 경우 사교육계에서 피 빨던-_-시절, 서울-수원 이동거리때문에 하루 너다섯시간씩 이어폰 끼고 살았더니 이명이 심해져서 한 한달정도 이어폰을 아예 끊은 적이 있거든요. 훨씬 덜하더군요.

청력 조심하세요. =)

기인 2006-11-13 13: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쟁 꿈, 진짜 힘든 것 같아요~

가을산 2006-11-13 13: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여우형님/ 안하신다는 게 무언가요? 저도 미리 알고 피해보게 좀 알켜주세요. ^^

라주미힌님/ 정말 사실적인 꿈이었어요. 아, 무서워.... ㅡ,ㅡ

반딧불님/ 무식한 짓을 했어요.

매너님/ 네, 조심할게요. 고마워요. ^^
이어폰에서 울려나오는 소리가 옆 자리에 있는 자에게까지 크게 들리도록 듣고 있는 젊은이들을 종종 봐요. 정작 본인에게는 얼마나 크게 들리겠어요?
그 사람들 귀는 정말 괜찮을지 걱정돼요.

기인님/ 이제 꿈 이야기 했으니까 잊을래요. 으~~

호랑녀 2006-11-13 14: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요즘 전쟁과 관련된 뭔가를 생각하신 거 아녀요? 책을 읽었거나... (아님, 그냥 개꿈이여요 멍멍 ^^)

이명이, 전반적으로 기력이 떨어졌을 때(이것을 과학적으로 뭐라고 하는줄은 잘 모르겠지만) 생기더군요. 저는 오른쪽 귀가 가끔 그래요.

그런데요, 그걸 솔인지 파인지 따져보고, 화음 내보고...햐, 그런 내공은 어떻게 하믄 쌓으실 수 있답니까?

마태우스 2006-11-13 14: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명이 매우 피곤한 증상인데 가을산님은 아주 가볍게 말씀하시는군요 역시 도통하면...................

paviana 2006-11-13 15: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리모콘 찾으면서 저 생각 맨날 했어요.별로 어려운 기술도 아니고 본체와 리모콘 사이에 센서만 있으면 되는데...근데 왜 마루 테레비젼 리모콘이 안방 침대에 가 있고 그러냔 말이지요.ㅜ.ㅜ

가을산 2006-11-13 19: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호랑녀님/ 전 처음에는 난방이 잘못된 소리인 줄 알았어요. ^^;;
그리고 별 뾰족한 수 없다는 걸 아니까 느긋한거죠. 뭐.

마태님/ 덕분에 생각지 않게 '절대음감'이 생겼지 뭡니까! 나아지겠지요.

파비아나님/ 앗! 파비아나님두요? ㅎㅎㅎ 수요가 많군요.

바람구두님/ 어머, 그 험악한 책을 읽고 계시다니....
4번이 되면 저인들 무사할까요?

Mephistopheles 2006-11-13 19: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4번의 상황이 되면..어느쪽이던지 전 살아님기 힘들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출처: 오마이뉴스  http://www.ohmynews.com/articleview/article_view.asp?at_code=372689
듣던 중 반가운 소식이네요.

 

의회 장악한 미 민주당 "제약업계 손 보겠다"
 민경진(jean) 기자   
미국 제약 업계가 떨고 있다. 중간 선거에서 상·하원을 모두 장악한 민주당 핵심 의원들이 이구동성으로 제약 업계를 손 보겠다고 벼르고 있기 때문.

선거 종료 후 100시간 내에 주요 개혁과제를 총 망라해 제시하겠다고 공언한 민주당은, 공화당이 입안한 주요 의료정책을 원점으로 되돌려 놓는 것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고 있다.

연금재단측 로비그룹인 AARP의 존 로더 정책국장은 "제약업계의 유명기업들이 그 동안 공화당 쪽에 줄을 서 왔기 때문에 민주당 지배 하의 의회에서 집중적인 추궁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민주당이 공화당 지배하의 의회가 통과시킨 의료법안 중 대표적인 악법으로 꼽고 있는 것은 의료법 D항.

이 법안은 구매액이 연간 300억달러로 추정되는 약에 대해 연방정부가 제약업체와 구매협상을 직접 하지 못하도록 하는 대신, 민간의 제 3자가 이 역할을 수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민주당은 연방정부가 제약업체와 직접 약값 협상을 할 수 있도록 이 법안을 개정하기를 원하고 있다. <파이내셜 타임즈>는 이런 조치로 일부에서는 향후 10여년에 걸쳐 약 1900억달러에 달하는 약 구매비용을 절약할 수 있을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민주당이 이 법안의 개정안을 내 놓는다 해도 부시 대통령이 최종적으로 거부권을 행사한다면 법안은 결국 무산되고 만다. 부시 행정부는 의료법 D항을 임기 중 이룬 가장 큰 치적 중 하나로 여기고 있다.

<파이낸셜 타임즈>는 그래서 민주당이 당장의 법개정을 추진하는 대신 2009년까지 청문회와 각종 위원회 등의 수단을 동원해 제약업계의 횡포를 대대적으로 까발리는 압박전술을 쓸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제약업계의 이해를 대변하는 로비그룹인 'PhRMA'측은 "의료법 D항이 제약업계의 가격경쟁을 유도하고 연방정부의 약가개입을 방지해 환자의 약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권을 보장한다"며 법안개정에 반발하고 있다.

미국은 연간 약 6000억 달러에 달하는 세계제약시장의 47%를 점하는 최대의 시장이어서 미국 민주당의 의료법안 재개정 움직임은 한국의 약가정책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현재 진행 중인 한미FTA 협상에서 약가에 대한 정부의 강력한 개입을 주장하는 한국 정부의 입장에 힘이 실릴 것으로 보여 향후 협상의 추이가 어떻게 변화할 지 주목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root 2006-11-11 09: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1년에 190억달러라.... 우리랑 단위부터 다르네요. 이렇게 벌어서 나중에 죽을떄 짋어지고 가려는건지... 환자의 약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권을 보장하려면 약에 대한 모든것을 공개하고 환자 전부한테 하나하나 다 알려줘서 정보의 불평등이 없게 한후에 그런 말을 해야된다고 생각함다. 기본적으로 정보의 불평등을 깔고 시작하는데 무슨 말도 안되는 말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