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제성장이 안되면 우리는 풍요롭지 못할 것인가
C. 더글러스 러미스 지음, 이반.김종철 옮김 / 녹색평론사 / 2002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생태주의자 예수>를 읽으면서 느꼈던 왜?라는 질문, 즉 우리가 지금 나아가고 있는 방향이 자연을 망치고 결국 인간 자체도 망칠 것을 알면서도 그만두지 못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에 대한 답변을 이 책에서 차곡차곡 들을 수 있다. 작가는 이러한 인간의 모습을 마치 타이타닉호가 빙산을 향해 나아가고 있는 것으로 비유했다. 타이타닉호가 침몰할 것을 알고 있으면서도 배안에 타고 있는 사람들은 자신이 맡은 임무만을 그저 열심히 해나간다. 오직 세상은 타이타닉호밖에 없다는 생각에서 말이다. 그러나 세상은 타이타닉 바깥의 바다에 여러가지 양태로 이루어져 있을 것이다. 그러니 당장 엔진을 멈추고 다른 일을 찾아야 한다.
책은 우리의 모습이 어째서 타이타닉이 됐는지부터 설명한다. 노동자와 소비자로 명명되어진 순간 이미 우리는 인간으로부터 소외되어 있음을 알게된다. 필요한 것 이상의 것이 필수적인 것으로 작용되는 소비사회, 그리고 그것을 얻기 위해 필요한 돈, 그리고 그 돈을 위한 노동, 노동은 이미 즐거움으로부터 벗어나 있게 된다. 서구사회가 세상으로 발을 내딛을때 이해하지 못했던 원주민들의 삶, 그리고 원주민들이 이해하지 못했던 서구적 마인드. 왜 내가 돈을 벌어야하는지, 그리고 왜 하루종일 일해야 하는지, 그리고 새롭다는 그 물건이 왜 필요한지를 모르기 때문에 서구는 자신들의 이데올로기를 확장하는데 애를 먹는다. 그 애를 먹인것 만큼 소외의 깊이도 커졌다.
최근 우리의 경제도 성장이냐 분배냐의 문제가 정말 잠깐 논쟁거리로 나왔었다. 하지만 어느 순간 대부분의 사람들의 잠재의식 속에선 성장을 이루어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사로잡혀 분배의 시기가 아직 아님을 일상을 적극적으로 살아가면서 증명한다. 그러나 제로성장을 통해서, 즉 성장보다는 분배를 통해서만이 인간으로서의 소외를 극복하고 참다운 행복을 만끽할 수 있음을 이 책은 논리적으로 설득한다. 파이를 먼저 키우자는 것은 지금 위기에 빠져있는 생태계의 밑바닥까지 다 파헤치자는 것이요, 저개발(개발에 대한 용어자체의 근본적인 문제, 즉 자동사의 타동사화의 문제를 이책은 다루면서 공동사를 새롭게 주장한다. 즉 개발은 누군가가 누구를 지도해서 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가 함께 이루어야 한다는 것.) 국의 파이를 줄여서 자국의 파이를 키우는 것일뿐임을 깨우쳐야 한다. 지금까지 개발이 절대빈곤의 숫자를 결코 줄이지 못했음은 이것에 대한 증거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우리가 깨우쳐야 할 것은 평등한 사회보다는 권력이나 부의 집중화를 은근히 사람들은 바라고 있는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즉 내가 어떤 기회를 얻어 권력이나 부를 얻었을때 그들만이 누릴 수 있는 특권을 누려보겠다는 욕망, 그 욕망이 지금과 같은 체제를 굳건히 유지하게 만드는 것일지도 모른다.
평화적으로 평등하게 누릴 수 있는 풍요란 절대 불가능한 유토피아적 망상이 아님을, 조금 늦었다고 생각될지 모르지만 방사능이 있는 유토피아라도 건설해야 함을 이성적 감성적으로 동감하게 만드는 책이다. 그것은 우리의 사고와 함께 제도적 변화도 요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