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년 7월 15일 맑음 21도~31도



오늘 새벽의 수확. 양배추 잎 몇 장은 샌드위치에 쓸 것. 복분자는 씻어서 냉동실로. 블루베리는..... 아~ 정말! 오늘 딴 블루베리는 중생종으로 보인다. 6월 집중적으로 수확했던, 그리고 새에게 절반을 바쳤던 듀크라는 품종은 조생종이다. 중생종 블루베리는 듀크와 다른 곳에 5그루 심겨져 있는데, 봄에 가지치기 이후 거의 방치상태였다. 그런데 오히려 이 블루베리가 알도 굵고 잘 익었다. 게다가 새 피해도 없다. 물론 이 품종이 듀크보다는 당도가 떨어진다. 나이도 많이 먹어 수확 가능한 연도가 얼마 남지 않았다. 


지금은 새들이 잘 보이지 않는다. 아마도 콩이나 다른 먹을거리를 찾아 이동한 모양이다. 그리고 사과가 익을 때 쯤이면 또다시 찾아올 것이다. 새들도 철 따라 먹을 것이 있는 곳을 찾아 지도를 그려놓은 듯 이동하는 것 같다. 이곳 블루베리 밭은 6월의 제철 식당이라고 소문이라도 난 모양인가. ^^;



요즘은 2주 가까이 블루베리밭 풀을 제거하고 있다. 한여름 계속해서 풀과 싸우기 싫어 올해는 낫으로 베지 않고 호미를 이용해 뿌리까지 뽑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풀이 완전히 제거되는 것은 아니다. 소위 잡초라고 부르는 것들은 맨 땅, 즉 흙이 드러난 곳엔 어김없이 나타난다. 마치 그들의 사명인 양. 하지만 줄기를 베인 풀들이 다시 자라는 속도보다는 아무래도 떨어진다. 씨앗이 떨어져 다시 싹을 내며 자라야 하기 때문이다. 


어찌됐든 풀을 뽑고 또 뽑다 보니 손이 엉망이 되어버렸다. 주먹을 쥐는 것이 힘들 정도로 통증이 있다. 오른쪽 약지는 어떤 풀에 베었는지 모르겠지만, 안에서 곪기 시작한 모양이다. 약간 부어오르면서 꽤나 아프다. 왼손 새끼손가락은 풀의 가시에 찔렸는가 보다. 빨간 점이 보이고 누르면 아프다. 


새도 벌레도 이런 풀 속에 숨어서 왔다 갔다 한다. 그 와중에 작물이 피해를 입는다. 생태계의 순환이 어느 정도 갖추어졌다면 이들의 천적이 등장해 균형을 잡아줄 터이지만, 아직 순환은 미완성인 모양이다. 그래서 피해만 점점 커진다. 순환의 완성을 위해 풀을 뽑지 않고 계속 베어줬지만, 인내의 한계에 다다랐다. 풀을 통째로 뽑는 것을 주저하다 결국 뽑기로 마음먹었고, 그 통에 몸이 특히 손이 울부짖고 있다. 


풀과의 싸움은 결코 이길 수 없는 싸움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공존을 모색해야 한다. 결코 패하지 않는 적을 두고 계속 싸움을 걸어봤자 그 결과는 뻔하다. 올해 블루베리 피해를 입으며, 풀과의 공존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 그 고민이 깊어진다. 해답에 가까이 다가갈 수 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2년 7월 14일 흐린 후 갬 23도~31도


요즘은 과일도 말리고 근채류도 말리고, 잎도 말리고, 다 말린다. 건조기 덕분이다. 태양초 고추라고 말하지만, 실제 100% 태양초는 찾기 어렵다. 일부 건조기를 이용해서 말린 후 햇볕에 말리는 경우가 허다하다. 다 에너지 소비다. 태양의 힘만으로 말리려면 날씨에 따라 자주 옮겨야 하고, 시간도 오래 걸린다. 더디면서도 힘이 많이 드는 것이다. 하지만 (전기)에너지를 쓰면 시간을 단축시키고, 편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야외에 오래 두지 않아 먼지를 뒤집어 쓸 필요도 없다. 


하지만 그렇기에 오히려 태양 밑에서 건조된 것은 시간의 맛과 정성의 맛을 지닌다. 마치 자동연필깍이로 연필을 깎는 편안함 대신 칼을 이용해 한 번 한 번 옮겨가며 연필을 깎는 수제의 맛, 또는 장인의 맛이라고나 할까. 



금화규꽃을 응달에 말리고 있는데 반나절도 되지 않아 꽃이 움츠려든다. 금화규꽃이 달랑 하루 피는 성질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듯하다. 



꽃모양 그대로 말리기 위해선 움츠려 들지 않도록 조금 묵직한 것으로 덮어두어야 할 모양이다. 오늘 따낸 금화규꽃은 종이를 두 장 덮어두었다. 반나절이 지난 후 잎이 오그라들지 지켜볼 일이다. 


어제 말린 것은 아직도 꽃잎이 축축하다. 이 추세라면 다 마르기 위해선 1주일 가량 시간이 필요할지 아니면 더 많은 시간을 들여야 할지 모르겠다. 건조기 없이 말리기 위해선 시간과 정성이 필요하다. 문제는 우리가 이런 시간과 정성을 들일 여유가 있느냐다. 금화규꽃이 따낸 후에도 자신의 성정을 유지하듯, 빨리 빨리 서둘러 살아온 우리 삶이 과연 느긋한 걸 견딜 수 있을까. 


금화규꽃을 말리며 시간이 차곡차곡 쌓이는 것을 지켜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2년 7월 13일 흐린 뒤 비(장마) 21도~25도


요즘 일기예보는 거의 일기 중계도 제대로 안 될 정도. 수시로 예보가 바뀐다. 날씨가 그야말로 예측불가라는 이야기. 슈퍼컴퓨터로도 계산이 안된다는 소리. 점점 더 날씨의 변동 폭은 커질 것이고, 예보는 더욱 어려워질 듯하다. 다만 위성과 컴퓨터의 계속되는 발달이 이런 변동성까지 잡아낼 지는 두고 볼 일이지만.



올해 도라지를 심은 곳에 금화규가 몇 개 싹을 터서 자라고 있다. 지난해 금화규를 심었던 자리라는 것을 알려주는 셈이다. 도라지보다 키가 빨리 크니, 경쟁에서 유리하다. 도라지 사이에서 키를 키우던 금화규가 불과 무릎 높이에서 꽃을 피우기 시작했다. 씨앗을 뿌려 키워낸 금화규는 자연스레 싹을 틔운 것보다 2배 정도 빨리 자라고 있다. 



금화규는 골든 히비스커스로 불리는데, 뿌리와 줄기, 꽃, 잎을 모두 약재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꽃과 잎은 밥을 할 때 함께 넣어서 밥물로 활용할 수도 있고, 차로도 먹을 수 있다. 금화규 꽃은 아침 일찍 피어서 오후가 되면 시들어버리는데, 다음날 다시 꽃을 피우지 않고 바로 떨어져버리기 때문에 꽃이 핀 날 오전에 수확하는 것이 좋다. 



꽃을 건조시킬 때는 수술과 꽃받침을 제거해야 한다. 이 두 가지에 알러지를 일으킬 수 있는 성분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자연 상태로 건조하기는 쉽지 않다. 보통 건조기를 사용한다. 집에 건조기가 없어서 그늘진 곳에 놔두기로 했다. 햇빛을 직접 쬐면 꽃잎이 제 형태를 유지하지 못해서다. 콜라겐 성분이 많아 건조하는데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하는 듯하다. 지난해에는 꽃을 따서 밥을 할 때마다 넣어 먹곤 했다. 거의 무색, 무취인지라 요리시 재료 본연의 맛을 해치는 경우는 거의 없다 할 수 있겠다. 올해는 상황을 봐서 시간이 된다면 잎차도 한 번 만들어 볼 생각이다. 지난해 만들었던 청과 술은 추출이 잘 되지 않아서 양이 거의 없다. 올해 또 한번 시도해볼지는 고민이다. 


놔두면 절로 자라는 것. 자연이란 그렇게 스스로 그러하게 나서 자라고 죽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2년 7월 11일 비온 후 갬 21도~28도


한달 여 전쯤 싹을 틔웠던 커피싹은 정말 더디게 자란다. 

아, 물론 더디다는 감정은 주관적이다. 빨리 빨리 컸으면 좋겠다는 마음을 기준으로 삼았기에 더딜 뿐이다. 만약 사람이라면 한 달 새 5센터미터 정도 자랐다면 엄청나게 빨리 자란 것일 터다. 



커피나무가 어서 자라 열매를 맺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싹을 바라보니 더디게 느껴지는 것이다. 이 싹이 자라서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으려면 적어도 3년, 길게는 5년 정도 걸릴 것이다.(대부분의 과수들도 이 정도의 시간을 필요로 한다) 느긋하게 기다리면서, 커피나무가 잘 자랄 수 있도록 신경을 써 주어야 할 것이다. 

커피가 잘 자라는 온도는 예상 외로 21~25도라고 한다. 열대의 뜨거운 온도 속에서 자랄 것이라 생각했는데..... 오히려 30도를 넘기지 않는 게 좋다고 한다. 커피나무가 고도가 높은 곳에서 자라는 이유일 게다. 반면 겨울엔 최저 7도 밑으로 내려가지 않도록 해주어야 한다. 



커피싹이 한 개만 났다면 조마조마 했을 것이다. 싹이 자라다 죽는다면 더 이상의 기회가 없을테니 말이다. 다행히 10개 넘게 심은 커피열매 중 싹이 하나 더 났다. 비슷한 시기에 심었지만, 환경이 거의 같음에도 불구하고 싹이 트는 속도가 이렇게 차이가 많이 나는 것은 종자의 차이 때문일 것이라 생각된다. 어쨌든 싹이 또 난 것이 얼마나 다행인지 모르겠다. 


하나에 올인 하는 것의 긴장감. 한 번의 실패로 모든 것을 잃을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이 마음을 움츠리게 만든다. 실패해도 다시 일어설 수 있는 기회, 우리에게 여분이 필요한 이유이다. 경제적으로도 심리적으로도. 최고의 복지란 이런 여분을 마련하는 것이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2년 7월 2~8일 장마기간인데 가끔 소나기만


연일 이어지고 있는 무더위. 장맛비가 내린다는 일기예보는 다음날이면 언제 그랬냐는듯 바뀌어 있다. 혹시나 비가 올지 모른다는 생각에 작물에 물을 주지 않고 있다. 불안하다. 날이 습해 공기는 메마른 느낌이 없지만, 여전히 가뭄의 영향 아래 있는 듯하다. 물을 줄까 고민되지만, 어김없이 일기예보는 다음날 비가 온다고 하니 선뜻 물을 주기가 어렵다. 


이런 땡볕에도, 또는 이런 땡볕 덕분에 꽃들이 피어나고 있다. 



백도라지의 하얀 꽃들은 하나 둘 피어나는가 싶더니 하룻새 무더기로 피었다. 



참깨와 검은깨는 아직 키가 다 크지도 않았는데 벌써 꽃을 피웠다. 아무래도 양분이 부족해서 얼른 꽃을 피운 듯하다. 시험삼아 몇 개 씨를 뿌려둔 것인데 일단 발아와 성장은 그럭저럭 잘 된다. 하지만 양분을 충분히 주지 않아서인지 빨리 성장하지는 못했다. 올해 깨를 거두는 것을 보고, 괜찮게 수확이 된다면 내년엔 좀더 많이 씨를 뿌리고 양분도 충분히 주어야 할 성싶다. 



올 봄에 옮겨 심었던 원추리도 꽃을 피우기 시작했다. 풀더미 속에서도 잘 자라주었다. 주위 풀을 정리하고 꽃을 보니 훨씬 예쁘다. 실제 꽃을 심었다고 해서 꽃을 자주 보게 되는 것은 아니다. 길을 지나치다 예쁜 꽃을 보면 눈길이 간다. 꽃을 심는 마음은 내가 혼자서 실컫 꽃구경을 하겠다는 것이 아니라, 지나가는 사람들의 마음을 화사하게 해주는 데 더 큰 의미가 있는 것 같다. 


우리들 일상에 <꽃을 심는 마음>이 심겨졌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