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년 7월 28일 맑음 20도~32도



초등학교, 당시로는 국민학교 시절. 학교까지 걸어서 20분 거리. 학교 가는 도중에 길 오른편으로 성당이 있었다. 성당 담벼락에는 봄 늦게부터 나팔꽃이 피었다. 그 반대편으로는 가정집 담벼락을 넘어선 무화과를 볼 수 있었다. 어른이 되어서 다시 그 길을 일부러 찾아 한 번 걸었을 땐 참 좁고도 짧은 거리였다. 하지만 당시엔 넓고도 길었다. 그 길이 삭막하게 느껴지지 않은 것은 나팔꽃 덕분이었다 생각된다. 동요 속 "나팔꽃도 어울리게 피었습니다~ ♬"의 가사를 잘 살펴보면 이렇다.


아빠하고 나하고 만든 꽃밭에

채송화도 봉숭화도 한창입니다

아빠가 매어놓은 새끼줄따라

나팔꽃도 어울리게 피었습니다



꽃밭을 만들고 일부러 나팔꽃을 심고 넝쿨을 유인하기 위해 새끼줄을 묶어둔 것이다. 즉 나팔꽃은 관상용 꽃 역할을 톡톡히 한 것이다. 하지만 농사를 짓는 농부에게 나팔꽃은 잡초와 다름없다. 아니, 잡초임에 틀림없다. 작물을 칭칭 감고 올라가 작물의 성장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예쁜 꽃을 피우기는 하나, 그 꽃을 감상할 여유는 없다. 꽃이 필 정도라면 주위 작물을 온통 감싸고 있다는 뜻이니 말이다. 어렸을 적에도 성당 담벼락 나팔꽃이 아니라 밭에서 난 나팔꽃은 분명 잡초라 여겨졌을 터이다. 똑같은 나팔꽃이지만 한쪽에서는 일부러 잘 자라도록 돌보면서 키우고, 한쪽에서는 혹시나 더 번질까 얼른 얼른 뿌리 채 뽑아내는 것이다. 


나팔꽃은 그냥 나팔꽃이지만, 어디에서 피었느냐에 따라 그 대접이 다르다. 사람도 저마다 대접받는 자리에 있어야 할 일이다. 그렇지 못하면 잡초 신세가 된다. 물론 친환경농업에서 잡초는 지긋지긋한 대상이기도 하지만, 반대로 멀칭과 공생의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말이다. 잡초도 분명 그 나름의 값어치를 지니고 있지만, 기왕이면 잘 자라도록 대접받는 자리에 있으면 더 좋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꽃밭 속의 나팔꽃처럼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2년 7월 27일 맑음 21도~31도



하늘에 난 데 없는 화살표가? 어제 쨍한 하늘에 구름이 다양한 형상을 띠고 나타났다. 문득 <-- 화살표처럼 보이는 구름이 보여 신기했다. 마치 누군가에게 길을 가르쳐 주는 듯이 말이다. 구름이야 화살표를 그리려고 한 것은 아닐 것이다. 그것을 바라보는 이가 자신이 기존에 알고 있던 이미지를 연상시킨 것에 불과한 일일텐데, 우리가 타인을 이런 관점으로 바라보는 경우도 허다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체리나무밭에 개망초와 망초가 한가득이었다. 어느 세월에 다 정리를 할까 심란했지만, 하루 하루 조금씩 시간을 내서 풀을 베다보니 결국 다 해냈다. ^^



낫으로 풀을 베다보니 올해 유독 선녀벌레가 극성이다. 선녀벌레만큼은 아니더라도 갈색날개매미충도 꽤 많다. 풀 사이 사이 숨어 있던 이 벌레들이 낫질에 놀라 튀어나오면서 옷이며 얼굴이며 달라붙어서 풀을 베는 것이 쉽지 않았다. 이 벌레들을 방제하기 위해선 5월에 작물이 아니라 주위 풀과 나무를 약제로 살포해야 한다는 것이 이해가 간다. 작물보다도 주위 풀과 나무에 훨씬 많이 붙어 있으니 말이다. 


올해 이렇게 극성인 것은 실제 지난해 방제작업을 소홀히 한 탓이다. 지난해 낳았던 알들이 올해 깨어나 활동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올해도 방제를 잘 하지 못한다면 내년엔 더욱 더 극성일 것이다. 화학농약을 쓰지 않고 있기에 일단 물리적 방법, 즉 손바닥^^으로 때려잡고 있지만, 10%도 잡지 못하는 듯하다. 올 겨울 초입이나 내년 초 봄이 오기 전에 황 등으로 방제를 해서 월동 전 또는 월동 후 알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는 것이 어떨까 싶다. 



개망초와 망초 사이 달맞이꽃 하나가 외로이 자라고 있어서, 차마 베지 못하고 놔 두었다. 풀이란 이렇게 애정을 갖게 되면 화원을 구성하는 요소가 되었다가, 미움을 갖게 되면 제거해야 할 대상이 되는 가 보다. 사물 또는 상대를 어떤 마음으로 대하는가가 그 사물 또는 상대의 가치를 결정하는 것은 아닐까 생각을 확대해 본다. 애정은 아니더라도 미움은 갖지 않고 상대를 바라볼 수 있다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2년 7월 23일 21도~28도 흐림


풀 정리를 하다 보니 풀에 감추어졌다 것들이 드러난다. 



맥문동은 보라색 꽃대가 올라왔다. 낫으로 풀을 베다 보면 자칫 맥문동도 함께 베 버리는 경우가 많은데, 이즘에는 맥문동이 꽃을 피워 구별이 쉽다.보라색 꽃대에 꽃은 아직 활짝 피지는 않은 상태다. 반짝반짝 윤이 나는 것이 특별해 보인다. 맥문동은 백합과 식물로 덩이뿌리는 한방에서 소염, 강장, 진해, 거담제, 강심제 등의 약재로 쓴다. 백합 또한 뿌리를 약재로 활용하며, 간혹 음식 재료로도 쓰일 수 있다고 한다. 체리 나무 주위에 백합을 심었지만, 멧돼지가 다 먹어 치운 이후에는 심지 않고 있다. 같은 백합과 이지만 맥문동 뿌리는 다행히 캐 먹지 않았다. 같은 과이지만 멧돼지 입장에서도 백합과 맥문동은 엄연히 다른 개체인 모양이다. 



올해 묘목을 얻어 옮겨 심었던 수국도 꽃을 활짝 폈다. 키가 다 크지도 않은 듯한데도 꽃을 피웠다. 군데군데 노랗게 바랜 부분이 있는데, 병흔인지는 모르겠다. 보통 수국은 땅이 알카리인지 산성인지에 따라서 꽃색이 달라진다고들 하는데, 요즘은 꽃색을 개량한 품종들이 많아 꽃색에 따라 흙의 산성을 판단하는 것은 틀릴 가능성이 높다.


봄에는 사과와 배, 블루베리가 꽃을 피고 여름에는 원추리, 맥문동, 수국이 꽃을 피워 좋다. 가을에 꽃을 보려고 심었던 감국은 아버지가 풀로 알고 없애버린 통에 한 송이도 구경을 못하게 된 게 아쉽다. 


계절 따라 꽃을 피는 것이 다르듯, 아이들도 각자 꽃을 피우는 시기가 서로 다를 것이다. 오매불망하지 말고 믿고 기다리면 자신의 꽃을 활짝 필 것이라 믿는다. 어떤 색의 어떤 모양일지 모르겠지만, 분명 아름다울 것이다. 그나저나 나는 이미 꽃을 피운 것인가, 아직 피우지 못한 것인가. 홀로 생각해보니 조금 더 기다려보는 것도 좋을 듯싶다. 느지막이 피는 꽃들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2년 7월 25일 맑음 23도~32도


연일 풀뽑기 작업이다. 뽑고 뒤돌아서면 다시 풀이 자라 있으니 끝이 없는 일일게다. 추석이 지나고 나면 풀이 자라는 속도가 좀 더뎌지곤 하는데, 그때까지는 별 수 없는 노릇인 것이다.


예전엔 풀을 베기만 했지 뽑지를 않았는데, 올해는 풀 뽑기를 하다보니 새롭게 마주치는 것이 있다. 바로 개미다. 어떤 풀을 뽑으면 뿌리가 뽑히면서 흙이 함께 묻어나오고, 그와 함께 개미들이 쏟아진다.



게다가 지금이 산란철인지 알들이 가득하다. 마치 쌀처럼 보이는 알들이 보이고 주위로 개미들이 쏟아져 나와 경계를 하듯 돌아다닌다. 자칫 모르고 지나치다보면 이 개미들이 발을 타고 올라오거나 풀을 뽑는 손을 타고 올라와 이곳저곳을 물기 시작한다. 따끔거리는 느낌이 오면 어김없이 개미가 있다. 개미들이 너무 많아서 이대로 놔두면 안되지 않을까 싶은데,,, 달리 대책이 없다. 붕산과 설탕을 섞어서 놔두면 개미 퇴치에 좋다고 하는데, 어떨 때는 개미들이 먹는 것 같고, 어떤 곳에서는 전혀 다가오지도 않는다. 개미 퇴치가 쉽지 않다. 


베트남에서는 개미알을 요리 재료로 쓴다고 한다. 물론 아무 개미알이 아니라 검은뿔개미의 알을 주로 쓴다고 하는데, 튀김이나 볶음밥 재료 등으로 사용된다고 한다. 만약 우리나라도 개미알 요리가 발달했다면, 그야말로 요리 재료가 사방에 깔려있는 셈이니 ^^; 이렇게 걱정할 일이 아니라, 즐거워할 일일 것이다. ㅋ 


개미를 볼 때면 항상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소설 <개미>가 떠오른다. 마지막 결말의 반전이 주는 충격은 아직까지 잊혀지지 않을 정도로 강렬했다. 그리고 개미의 생명력 또한 그렇게 강렬한 듯 보인다. 작물에 피해만 끼치지 않는다면 좋겠는데.... 이런 동물들이 사람을 위해 존재하는 것은 아닐지니, 사람의 뜻대로 움직이지도 않을테고. 아무튼 너무 퍼지지 않고 적절하게 개체를 유지할 수 있도록 붕산+설탕+빵가루 라는 대책을 계속 써보아야 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부자아빠 2022-07-26 14:0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올려 주시는 내용들 잘 보고 있습니다.

하루살이 2022-07-26 15:09   좋아요 1 | URL
관심을 가질 만한 내용이 있다면 다행입니다. ^^
 

22년 7월 24일 22도~28도 비온 후 흐림


금화규 모종을 키워서 심은 것과 지난해 금화규를 심었던 곳에 씨앗이 떨어져 자연적으로 발아가 되어서 자란 금화규 간에는 성장의 차이가 보인다. 



모종을 키워서 밭에 옮겨심는 것은 공간의 활용 측면에서 효율이 높다. 밭에 작물이 남아 있을 때 다른 곳에서 모종을 키운 후 밭이 비워졌을 때 옮겨 심음으로써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다. 또 하나는 시기의 조절이다. 적당히 자란 모종을 밭에 바로 옮겨심음으로써 수확시기도 앞당길 수 있는 것이다. 수확 시기를 앞당기는 것은 아무래도 수확물이 쏟아지는 시기를 피해 값을 더 잘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자연발생적으로 자란 금화규는 일종의 직파라고 할 수 있다. 즉 작물이 자랄 곳에 애당초 씨앗을 뿌려 싹을 틔워 자라게 하는 것이다. 하지만 모종을 키운 것 만큼의 시간에서 차이가 나 성장 속도가 뒤처진다. 올해 금화규의 경우엔 현재 키의 차이가 두 배 가량 나고 있다. 모종으로 키운 것은 허리께까지 자랐는데, 직파된 곳은 겨우 무릎을 넘어서고 있다. 그러다보니 꽃의 수도 차이가 난다. 모종을 심은 곳은 꽃이 한 창 피어나고 있지만, 직파된 곳은 가끔 꽃을 피워내고 있다. 더군다나 아직 키가 덜 자랐음에도 꽃을 피워내다보니, 성장이 더 더디게 되는 것 같다. 물론 직파의 장점도 있을 것이다. 옮겨심는 과정이 없어서 스트레스를 덜 받고 씨앗이 나고 자랄  때까지 한 곳에 있다보니 적응이 잘 되어 보다 건강하게 자랄 것이라 생각된다. 물론 이건 추론일 뿐이다. 실제 더 건강하게 자라고 있는지는 관찰해보아야 한다. 



모종과 직파 간의 차이는 그렇다치고, 저절로 자란 금화규는 실제 도라지 씨앗을 심은 곳이었다. 풀은 물론이거니와 금화규에 묻혀서 어디서 자라고 있는지 조차 알 수 없게 된 도라지를 위해 풀을 제거해 주었다. 도라지도 키를 잘 키우면서 자라기 때문에 조금만 풀을 제거해줘도 풀을 이겨낼 힘을 갖게 된다. 도라지가 쑥쑥 자라면 풀 뽑을 일이 줄어드니, 얼른 얼른 자랐으면 좋겠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