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년 3월 19일 맑음 영하2도~16도


이른 아침에 체리나무에 유황소독을 하고, 소독이 끝난 후에 퇴비를 뿌렸다. 



블루베리 1주당 뿌린 퇴비의 1.5배 정도를 주었다. 조금 부족한 것은 아닐까 생각되기도 하지만, 중간에 추비를 한 번 준다는 마음으로 퇴비를 뿌렸다. 



그런데 체리 나무 10그루 중 절반 정도에서 나무 줄기에 버섯이 피어나 있었다. 혹시 나무가 죽어 고목이 되면서 버섯이 자란 건 아닌지 의심이 든다. 일부 나무는 가지를 꺾어보니 툭! 하고 부러진다. 이 나무는 분명 고사한 것이 틀림없다. 하지만 다른 나무들은 아직 가지가 탱탱하다. 2~3주 지나 잎눈이 트는 지를 확인해 봐야 알 수 있을 것 같다. 일단은 버섯이 핀 것이 체리가 자라는데 도움을 줄 것 같지는 않아 모두 제거했다.  



체리나무 옆에 심겨져 있는 구기자 나무 한 그루는 그야말로 봉두난발(蓬頭亂髮), '쑥대머리'이다. 봉두난발의 봉이 쑥을 뜻하는데, 얼른 정리를 해 주어야 할 성 싶다. 물론 우선순위에서 조금 뒤처지지만, 꼭 해야 할 일로 접수!^^;



'쑥'이란 단어가 나와서 하는 말이지만, 블루베리밭에는 벌써 쑥이 쑥쑥 자라고 있다. 지난해 뿌리까지 뽑아낸 곳은 다행히 번지지 않았지만, 미처 뿌리를 뽑아내지 못한 곳은 쑥 천지가 되어가고 있다. 올해는 예초기를 하나 장만해서 부지런히 풀을 베어볼까 고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3년 3월 18일 맑음 2도~16도


지난해 심었던 양파, 마늘에 추비를 주었다. 퇴비 말고는 아무 것도 주지 않아서 양분이 부족하지 않을까 싶어서다. 잎끝이 노란 것이 혹시 양분 부족이지 않을까 판단한 것이다. 



물 조리개에 액비를 넣고 물로 희석해서 살살 뿌려주었다. 과유불급! 뭐든지 과하면 좋지 않으니, 연하게 자주 주는 것이 좋을 것이다. 



아참, 액비를 주기 전에 먼저 제초작업부터 했다. 양분을 풀들이 모두 뺏어가면 안될테니까. 



액비를 주고 나서는 양파와 마늘 위로 한랭사를 쳤다. 벌레 피해를 막기 위해서다. 땅 속에서 활동하는 병충해야 어쩔 수 없다할 지라도 날아드는 충과 균은 막을 수 있다면 최대한 막아보자는 심산이다. 양상추와 상추를 심은 곳에 싹이 나면 이곳에도 한랭사를 칠 생각이다. 애당초 벌레가 들어오지 못하게 한다면 화학농약이든 친환경농약이든 치지 않고 버틸 수 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3년 3월 18일 맑음 2도~18도


지난주 퇴비를 뿌려둔 곳에 도라지와 양상추 씨앗을 뿌렸다. 




지난해 받아두었던 백도라지 씨앗이다. 흙에 골을 살짝 파고 줄뿌림했다. 흙을 살짝 덮어두는 대신 그냥 물을 뿌렸다. 물을 뿌리면서 주위 흙이 쓸려내려가 자연스레 씨앗을 덮는 방식이다. 워낙 씨앗이 작아서 시도해본 것이다. 제대로 심겨져 싹을 틔울 지는 시간이 흐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양상추 또한 마찬가지다. 밭에 씨앗을 흩뿌려 놓고 냅다 물을 주었다. 씨앗의 생명력을 믿는 셈이다. 지난해 월동했던 상추는 가문 탓에 좀처럼 고개를 내밀지 못하고 있다. 아무래도 다 죽은 것일까. 조금 지켜보다 상추가 올라오지 않으면 상추도 더 심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3년 3월 18일 맑음 2도~16도


지난 겨울 초에 집안으로 들여놓았던 블루베리 묘목을 모두 밖으로 내놓았다. 



당시 상태가 별로였던 것들은 밖에 방치해두었는데, 그것들과 비교해보니 확연한 차이가 난다. 밖에 놔두었던 것 중 절반 이상이 얼어죽지 않고 살아남긴 했지만, 몸집을 키우진 못했다.(사진 왼쪽) 반면 집 안에 들여놓았던 블루베리 묘목은 키도 더 자랐고, 벌써 꽃잎을 내놓은 것들도 있다.(사진 오른쪽) 



이렇게 자라는 속도가 비교가 되다보니, 정말 자그마한 비닐하우스라도 하나 갖고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이 묘목들은 블루베리용 상토를 구입한 후 다음 주말쯤 본밭에 옮겨 심을 계획이다. 중간 중간 죽은 나무들이 스무그루 정도 되는데, 죽은 나무를 캐내고 그 자리에 묘목을 심을 생각이다. 



또 블루베리를 전지한 가지 중 일부는 삽목을 시도했다. 죽은 나무를 대체하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수를 늘리기 위해서다. 가시오가피도 전지를 하면서 나온 나뭇가지를 삽목했다. 성공할지는 모르겠지만 시도해본다. 블루베리는 삽목한 수가 적어, 굵고 좋은 새 가지를 잘라서 삽목할 수를 늘려볼 생각이다.

그리고 겨울과 봄 사이 가뭄이 심해 물을 조금 주었다. 지하수량이 적어 충분히 줄 수가 없어서, 일단 전체적으로 한 주 당 3~4리터 정도의 물을 주었다. 줄 때 충분히 적셔주면 좋겠지만, 현 상황에서는 이게 최선일듯 싶다. 올해는 새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수확의 기쁨을 만끽할 수 있기를 희망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자동차 계기판에 경고등이 떴다. 타이어 공기압에 대한 경고다. 외관상 바람이 빠진 타이어는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계기판은 오른쪽 뒤바퀴 공기압이 현저히 적다고 알려주고 있다. 신호가 잘못된 것일까? 


타이어에 바람을 집어넣었다. 경고등이 사라졌다. 그럼 바람이 빠진 게 맞은 걸까? 하지만 하루가 지나고 다시 경고등이 떴다. 아무래도 어딘가 바람이 조금씩 새는 모양이다. 타이어를 이리저리 살펴봐도 무엇이 박힌 자국을 찾지 못하겠다. 눈으로는 괜찮아 보이는데.... 때론 기계를 믿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기계도 오작동이나 고장 등이 발생하니까. 반대로 인간의 감각 또한 100% 믿을 수는 없다. 착각이나 오류를 달고 사는 것이 인간의 감각 아니던가. 이번엔 어떤 경우일까?


아무튼 경고등을 무시할 수 없어 공업사를 찾았다. 사장님은 자키로 자동차 뒷부분을 살짝 올리고 바퀴를 살펴본다. 그러더니 못이 박힌 자리를 찾아냈다. 비누거품으을 살짝 뿌려보니 공기방울이 생긴다. 역시 기술자는 기술자다. ^^



자동차에 박힌 못을 뽑아냈다. 생각보다 꽤 크다. 길이가 5센티미터나 되는 못이다. 어디서 박힌 걸까? 아무튼 못을 빼낸 자리의 구멍을 조금 더 넓히고 소위 '지렁이'라고 부르는 타이어 펑크 씰을 꽂아 넣었다. 고무처럼 보이는 소재인데 타이어 펑크 난 곳을 메워주는 용도다. 이게 어떻게 바람이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주는 것인지 언뜻 이해가 가지 않는다. 정말로 바람을 막는 과학적 원리가 궁금하다. 아무튼 '지렁이'로 펑크를 메우고 바람을 다시 집어 넣었다. '지렁이' 값은 천 원 안팎이라고 하는데, 용임 비용은 만 원. 경고등이 사라진 값이다. ^^



그런데 '지렁이'는 임시 방편용일까, 타이어 교체 때까지 쓸 수 있는 것일까. 이리 저리 검색을 해보니, 다행히 교체 때까지 써도 될 성 싶다. 다만 중간 중간 혹시나 바람이 빠지는지 공기압을 체크하는 것은 필수. 

타이어 전체를 바꾸지 않고 이렇게 펑크를 메꾸는 간단한 방법이 있다는 것이 놀랍다. 이를 가능케 한 '지렁이'를 만들어 낸 이에게 박수를 보낸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