웃음과 망각의 책 문학사상 세계문학 13
밀란 쿤데라 지음 / 문학사상사 / 199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 앤, 다른 세상에 살고 있어' 나와 전혀 다른 생각을 가진 사람들과 마주치는 경우가 있다. 마치 외계에서 온 것처럼 엉뚱한 사람들. 물론 그들이 나를 보는 눈길도 마찬가지일련지도 모른다.

그들과 내가 살아가고 있는 공간엔 뚜렷한 경계선이 그어져 있는 것이다. 하지만 그 경계선이라는 것이 손바닥만한 것이라 어느새 반대편에 서 있는 나 자신을 발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쿤데라는 이 경계선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도축장에서 송아지를 죽인다고 법석을 떠는 사람은 없다. 송아지가 인간의 법테두리 밖에 있듯이 타미나도 아이들의 법 테두리 밖에 있었다.(P246)

이 테두리, 경계선의 증가는 점차 소통의 부재를 가져온다. 그 소통의 부재는 자신의 이야기를 하고싶어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게 됨을 의미하고 급기야 모든 사람들이 작가를 꿈꾸게 되는 것이다. 개인의 삶이 중요하게 다가오는 것. 그렇기에 국경을 넘어 들어온 탱크는 모기같을 수밖에 없고 옆집의 사과가 더 중요한 것이다.

이것은 다시 나의 경계를 넘어선 것에 대한 망각을 가져온다. 잊고 살아간다는 것처럼 정체성을 흐리게 하는 것은 없다. 나의 정체성은 실로 나의 기억들이 아니던가? 또, 세상의 웃음이란 경계가 서로 충돌할 때의 어색함을 극복하는 도구가 된다. 웃음과 망각이라고 하는 것은 서로 다른 경계속에 사는 이들이 숨겨진 의도를 가지고 행하는 것을 그 경계의 차이로 인해 오해를 갖게 됨으로써 그들의 역할을 해내고 있는 것은 아닐까?

잊어야 할 것은 잊어야 하겠지만 잊지 말아야 할 것들은 기억하자. 웃음으로 어색함을 달래지 말고 이야기함으로써 그 경계선을 인식하자.

왜 사냐면 웃지요

그 경계선을 마음대로 넘나들 수 있기를 바라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름다운 파괴 - 깨달음과 사유의 인도 이상의 도서관 50
이거룡 지음 / 거름 / 200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인도의 철학, 사상에 대한 깊이 있는 내용을 기대했던 나로서는 조금 실망할 수밖에 없었다. 하기야 그 많은 인도의 사유들을 깊이 파헤칠려면 어디 한권의 책으로 가능하겠는가?

쉽게 읽힐 수 있는 다이제스트를 원한 나 자신을 되돌아보고 반성하게 된다. 인도철학사라는 4권의 두꺼운 책을 감히 들춰보지 못하고 그저 수박 겉핥기에 만족하려는 나의 마음가짐에 어찌보면 이 책은 적합한 것이었는지도 모른다.

어찌됐든 책은 인도의 종교중 힌두교에 대해서 불교와 비교하며 많은 부분을 이야기하고 있다. 업과 윤회, 그리고 속세에 대한 생각등에서 어떻게 불교와 다른지 비교하다보면 어느새 힌두교란 이런 것이었구나 조금은 이해하게 된다.

욕망의 긍정, 그리고 그에 따른 속세간의 인정을 통해 비로소 욕망과 속세를 벗어나 해탈의 길을 갈 수 있다는 생각, 따라서 몸을 근본적으로 부정적, 긍정적으로 바라보지 않는다는 그들의 생각은 삼매의 경지가 하늘 저편에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이 곳에 있구나 하고 깨닫게 만든다.

모든 것은 바로 나에게 달려있다는 것을 새삼 느끼며 과연 욕망을 인정하면서도 그 고리를 끊을 수 있는 것인지 야금야금 깨물어보아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두막 편지
법정 지음 / 이레 / 1999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혼자 산다는 것의 의미는 무엇인가? 수행에 돌입해 삼매의 경지에 오른다는 것은 개인적 문제이지 사회적 문제일 순 없을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전적으로 자신 혼자만의 힘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식물의 생명을 빌어 몸을 지키고 부처의 설법을 빌어 마음을 지키니 어찌 깨달음이 혼자만의 것이겠는가? 다만 번잡한 인간사에서 벗어나 수행을 하는 이유는 욕정으로부터 벗어남이요, 갈등으로부터 벗어남을 의미하는 것이리라.

나도 그러한 삶을 꿈꾼 것이 몇번이었던가? 세상사가 힘들고 괴로울 때 훌쩍 산으로 들어가 모든 것으로부터의 해방을 꿈꾼 것이 어디 하루이틀이었던가 그런 꿈을 꾼 것은 산사의 삶이 어찌보면 순박하고 단조로워 삶을 꾸려가는 게 쉬울 것이라는 짐작에서 비롯된 것일 수도 있겠다.

<오두막 편지>를 읽다보니 산사의 삶도 고단하기는 마찬가지라는 것을 알게됐다. 다만 자신과의 철저한 대면을 행할 수 있다는 것이 괴롭지만 위안거리가 될 수도 있을 터... 아마도 난 산사의 삶을 쉽고 가볍게 생각하고 그것을 꿈꿔 왔던 모양이다.

자신을 찾고 깨달음을 얻기 위한 것이 아니라 마음 속 깊은 곳으로부터의 욕망에 이끌려 자연을 벗하려 했던 것은 아니였는지 반성하게 된다. 진정 자신을 찾는 깨달음은 산사에서든 속세에서든 마음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임을 이제야 다시 절감하게 된다.

산 속 깊은 곳 오두막에서 보낸 편지가 아파트 단지로 둘러싼 회색도시속의 현대인에게 따뜻한 온정을 전해주고 있어 책을 덮는 순간 온몸이 푸근해짐을 느낀다. 마치 오랜만에 만난 다정한 친구와 껴안고 말없이 그간의 사정을 주고 받듯이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가바드 기타 샴발라 총서 2
정창영 엮어옮김 / 시공사 / 2000년 1월
평점 :
절판


간디가 죽을 때까지 곁에 두고 읽었다는 책. 고대 인도의 종교서라고 할 수 있는 바가바드 기타는 왕자인 아르주나와 신인 크리슈나와의 질문과 답으로 이루어진 책이다. 신과의 합일을 뜻하는 요가의 길의 세가지 방편을 제시하고 그중에서도 일반인들이 행할 수 있는 분야인 행위의 길을 강조하고 있다.

그 행위의 길이란 바로 결과에 대해 집착하지 않고 행하는 것. 그러한 행위가 이루어졌을 때만이 업으로부터 벗어나 진정한 자유의 길을 갈 수 있다는 것이다. 원인과 결과마저도 사라져버린 행위란 바로 이러한 결과에 상관없이 최선을 다하는 행위라는 것이다. 이것은 중국과 한국에서는 진인사 대천명으로 표현할 수 있겠다. 행위는 인간이 행하는 것이지만 그 결과는 하늘에 맡긴다는 것은 어찌보면 그 결과에 상관없이 매 순간 최선을 다하겠다는 의지의 다른 표현일 수 있겠다.

일반인들이 행할 수 있는 요가의 방편으로서 제시된 길이기는 하지만 경쟁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에게 이 길 또한 그리 쉽지만은 않다. 경쟁이라는 것이 항상 그 결과에 집착할 수밖에 없는 성질을 가지고 있고 현재의 자본주의라는 것은 무한 경쟁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사실이 더욱 진정한 자신을 찾는 과정을 어렵게 만든다. 무엇하나 아무 사심없이 어떤 행위를 할 수 없는 것. 어떤 기대치를 가지지 않고 행위를 한다는 것은 정말 도인이나 가능한 일일지도 모른다.

책에서 제시하는 길을 따라갈 자신은 없지만 그나마 이 책을 읽는 동안 마음이 평안해진 것 만으로도 위안을 삼아야 할 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간디처럼 곁에 두고 마음을 열어 경전을 받아들인다면 언젠가 집착되지 않는 삶이 나에게로 다가올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는 희망아래(이런 생각마저도 버려야 하는 것인지도 모르지만) 일희일비하지 않는 삶을 살도록 최선을 다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숨은 그림 찾기 1 - 1998년 제29회 동인문학상 수상작품집
이윤기 외 / 조선일보사 / 1998년 6월
평점 :
절판


세상은 나 혼자 살아갈 수 없는 법. 관계라는 그물망 속에서 허우적 대는 모습이 사회적 동물이라는 말로 표현되어지는 것인지도 모른다.

톱니바퀴속의 한 이빨이 되어 다른 이빨들과 함께 다른 톱니바퀴와 엇물려 있을 때만이 자신의 자리에 제대로 서 있음을 자각할 수 있는 것인가? 아닐 것이다. 톱니바퀴가 제대로 돌고 있을 때엔 자신이 그 속에 속해 있음을 알지 못한다. 톱니바퀴중 한 이빨이 빠져 삐걱거릴 때에서야 비로소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그리고 자신과 함께 있었던 그 이빨의 소중함을 깨우치게 된다.

함정임의 <내 마음의 석양>과 전경린의 <밤의 나선형 계단>에서는 남편이 죽거나 직장을 잃음으로써 발생하는 생활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잘 맞물려 돌아가던 톱니바퀴가 덜덜 거릴 때 우리가 느낄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 든 사람은 몰라도 난 사람은 안다고 했던가? 나의 마음속의 한 공간을 차지했던 것이 사라진 자리에 무엇인가가 대신 채워지겠지만 그 변화는 결코 쉽게 적응되어지지는 않으리라.

어렸을 적 몇년을 키웠던 개가 사라지던 날 혼란을 겪어본 사람이라면 자신을 지탱해주던 그 무엇이 사라져버린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게 될 것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런 경험이 꼭 혼란만을 가져오는 것은 아니다. 그 빔으로 인하여 자신을 되돌아보게 되고 그 과정에서 나를 찾아갈 수도 있을테니까.

각기 다른 소설은 이런 혼란과 자아찾기를 보여주고 있다. 가슴 저미게 다가오는 이들의 방황이 어떻게 끝날 것인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