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년 3월 21일 맑음 0도~23도


집 안에 들여놓았던 블루베리 묘목 중 일부는 잎을 활짝 내민 것들이 있다. 지난 주말에 모두 밖으로 내놓았는데, 주중 새벽 기온이 여전히 영하에 머물면서 냉해를 입었다. 



햐~, 이게 바로 온실 속의 화초라는 것인가. 물론 이 말 뜻과는 조금 다르긴 하지만, 집안 따듯한 곳에서 일찍 잎을 내놓은 통에 피해를 입은 것이다. 



묘목 일부는 꽃눈을 틔운 것도 있다. 꽃눈이 냉해를 입은 것은 아니지만, 어린 묘목이 열매를 맺는 것은 나무의 노화를 불러온다. 그래서 꽃눈이 나온 묘목들은 꽃눈을 떼어 주었다. 



보리수 나무도 어느새 새 잎을 내놓았다. 요즘은 잠깐만 한눈을 팔아도 변화가 눈에 띌 정도로 발생한다. 



벚나무도 꽃봉오리를 만들기 시작했다. 아직 꽃을 피우기엔 이르지만, 다음달엔 꽃을 볼 수 있으리라. 



2주 전 쯤 가지치기를 했던 뽕나무의 잘린 가지를 잘게 자르는 작업을 했다. 굵기별로 전지가위와 톱, 전기톱을 모두 이용해서 ^^ 자르다 보니 힘이 들어 조금만 시험 삼아 자른 후 햇볕에 말리고 있다. 새싹이 나기 전 뽕나무 가지 말린 것을 끓인 물이 당뇨를 비롯해 건강에 도움을 준다고 해서 차로 마실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주위에 당뇨로 고생하는 사람도 있어, 선물로도 보낼 생각이다. 크게 기대는 하지 않지만, 아무튼 요리에도 끓인 물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 조금 만들어 보는 것이다. 가지를 잘게 자르는 것도 힘이 들다보니..... 많이 만들지는 못하겠다.ㅜㅜ; 짬이 날 때 조금씩 조금씩 가지를 자르는 게 괜찮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3년 3월 19일 맑음 영하2도~16도


이른 아침에 체리나무에 유황소독을 하고, 소독이 끝난 후에 퇴비를 뿌렸다. 



블루베리 1주당 뿌린 퇴비의 1.5배 정도를 주었다. 조금 부족한 것은 아닐까 생각되기도 하지만, 중간에 추비를 한 번 준다는 마음으로 퇴비를 뿌렸다. 



그런데 체리 나무 10그루 중 절반 정도에서 나무 줄기에 버섯이 피어나 있었다. 혹시 나무가 죽어 고목이 되면서 버섯이 자란 건 아닌지 의심이 든다. 일부 나무는 가지를 꺾어보니 툭! 하고 부러진다. 이 나무는 분명 고사한 것이 틀림없다. 하지만 다른 나무들은 아직 가지가 탱탱하다. 2~3주 지나 잎눈이 트는 지를 확인해 봐야 알 수 있을 것 같다. 일단은 버섯이 핀 것이 체리가 자라는데 도움을 줄 것 같지는 않아 모두 제거했다.  



체리나무 옆에 심겨져 있는 구기자 나무 한 그루는 그야말로 봉두난발(蓬頭亂髮), '쑥대머리'이다. 봉두난발의 봉이 쑥을 뜻하는데, 얼른 정리를 해 주어야 할 성 싶다. 물론 우선순위에서 조금 뒤처지지만, 꼭 해야 할 일로 접수!^^;



'쑥'이란 단어가 나와서 하는 말이지만, 블루베리밭에는 벌써 쑥이 쑥쑥 자라고 있다. 지난해 뿌리까지 뽑아낸 곳은 다행히 번지지 않았지만, 미처 뿌리를 뽑아내지 못한 곳은 쑥 천지가 되어가고 있다. 올해는 예초기를 하나 장만해서 부지런히 풀을 베어볼까 고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3년 3월 18일 맑음 2도~16도


지난해 심었던 양파, 마늘에 추비를 주었다. 퇴비 말고는 아무 것도 주지 않아서 양분이 부족하지 않을까 싶어서다. 잎끝이 노란 것이 혹시 양분 부족이지 않을까 판단한 것이다. 



물 조리개에 액비를 넣고 물로 희석해서 살살 뿌려주었다. 과유불급! 뭐든지 과하면 좋지 않으니, 연하게 자주 주는 것이 좋을 것이다. 



아참, 액비를 주기 전에 먼저 제초작업부터 했다. 양분을 풀들이 모두 뺏어가면 안될테니까. 



액비를 주고 나서는 양파와 마늘 위로 한랭사를 쳤다. 벌레 피해를 막기 위해서다. 땅 속에서 활동하는 병충해야 어쩔 수 없다할 지라도 날아드는 충과 균은 막을 수 있다면 최대한 막아보자는 심산이다. 양상추와 상추를 심은 곳에 싹이 나면 이곳에도 한랭사를 칠 생각이다. 애당초 벌레가 들어오지 못하게 한다면 화학농약이든 친환경농약이든 치지 않고 버틸 수 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3년 3월 18일 맑음 2도~18도


지난주 퇴비를 뿌려둔 곳에 도라지와 양상추 씨앗을 뿌렸다. 




지난해 받아두었던 백도라지 씨앗이다. 흙에 골을 살짝 파고 줄뿌림했다. 흙을 살짝 덮어두는 대신 그냥 물을 뿌렸다. 물을 뿌리면서 주위 흙이 쓸려내려가 자연스레 씨앗을 덮는 방식이다. 워낙 씨앗이 작아서 시도해본 것이다. 제대로 심겨져 싹을 틔울 지는 시간이 흐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양상추 또한 마찬가지다. 밭에 씨앗을 흩뿌려 놓고 냅다 물을 주었다. 씨앗의 생명력을 믿는 셈이다. 지난해 월동했던 상추는 가문 탓에 좀처럼 고개를 내밀지 못하고 있다. 아무래도 다 죽은 것일까. 조금 지켜보다 상추가 올라오지 않으면 상추도 더 심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3년 3월 18일 맑음 2도~16도


지난 겨울 초에 집안으로 들여놓았던 블루베리 묘목을 모두 밖으로 내놓았다. 



당시 상태가 별로였던 것들은 밖에 방치해두었는데, 그것들과 비교해보니 확연한 차이가 난다. 밖에 놔두었던 것 중 절반 이상이 얼어죽지 않고 살아남긴 했지만, 몸집을 키우진 못했다.(사진 왼쪽) 반면 집 안에 들여놓았던 블루베리 묘목은 키도 더 자랐고, 벌써 꽃잎을 내놓은 것들도 있다.(사진 오른쪽) 



이렇게 자라는 속도가 비교가 되다보니, 정말 자그마한 비닐하우스라도 하나 갖고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이 묘목들은 블루베리용 상토를 구입한 후 다음 주말쯤 본밭에 옮겨 심을 계획이다. 중간 중간 죽은 나무들이 스무그루 정도 되는데, 죽은 나무를 캐내고 그 자리에 묘목을 심을 생각이다. 



또 블루베리를 전지한 가지 중 일부는 삽목을 시도했다. 죽은 나무를 대체하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수를 늘리기 위해서다. 가시오가피도 전지를 하면서 나온 나뭇가지를 삽목했다. 성공할지는 모르겠지만 시도해본다. 블루베리는 삽목한 수가 적어, 굵고 좋은 새 가지를 잘라서 삽목할 수를 늘려볼 생각이다.

그리고 겨울과 봄 사이 가뭄이 심해 물을 조금 주었다. 지하수량이 적어 충분히 줄 수가 없어서, 일단 전체적으로 한 주 당 3~4리터 정도의 물을 주었다. 줄 때 충분히 적셔주면 좋겠지만, 현 상황에서는 이게 최선일듯 싶다. 올해는 새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수확의 기쁨을 만끽할 수 있기를 희망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