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년 6월 1일 비 16도~25도


날이 뜨거워지고 있다. 풀들의 자라는 속도도 빨라지고, 벌레들의 활동도 많아졌다. 과실나무에는 어김없이 벌레들이 찾아들었다. 



사과에만 유독 달려있는 벌레도 보인다. 이 벌레가 어떤 해를 끼치는지는 잘 모르겠다. 하지만 열매에만 매달려 있는 것이 결코 좋아 보이진 않는다.



흙 바닥엔 벌레 피해를 입은 사과가 떨어져 있다. 많이 달리지도 않았는데 벌레 피해까지 입고 보니, 정작 나무에 매달린 것은 손으로 셀 수 있을 정도다. 



땅에 떨어지진 않았지만 흠집이 난 배들도 보인다. 이것도 벌레들의 짓이다. 



매실은 나무에 잔뜩 열리기도 했지만, 잔뜩 떨어지기도 한다. 지난해 미처 처리하지 못한 씨살이좀벌들이 피해를 입혔으리라 추측된다. 올해는 피해를 입은 매실을 확실히 처리해서 내년엔 피해 규모를 줄였으면 좋겠다. 땅에 떨어진 것만 10키로그램은 족히 될 듯 싶다. 



벌레 피해를 입은 과실들을 정리하고, 해가 저물 쯤 데크에 오일스테인을 발랐다. 2년에 한 번 바르다가 2년 전부터 매년 바르고 있다. 2년에 한 번 바르다보니 방수 기능이 많이 떨어져서다. 1년에 한 번, 바를 때 두 번씩 발랐는데, 지난해 남은 오일스테인을 보니 양이 많지 않았다. 한 번 겨우 바를 정도다. 새로 주문하기도 번거로워서 올해는 그냥 덧칠 없이 한 번만 바르기로 했다. 매년 바르다 보니 제법 손에 익었는지 바르는 속도가 빨라졌다. 처음엔 3시간 걸리던 것이 이젠 2시간이 체 걸리지 않는다. 덧칠을 하지 못한 것이 아쉽긴 하지만, 올해는 이걸로 잘 넘어가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4년 5월 30일 흐림 15도~26도


보리수 나무의 열매도 선홍빛으로 익었다. 



보리수 열매는 딱딱하지 않고 물렁물렁해서 힘을 주어 따기 보다는 가볍게 손에 쥐고 따야 한다. 



익은 것을 모아보니 제법 양이 된다. 생으로 먹어보았는데 신맛이 강하다. 그냥 먹기에는 살짝 부담스럽다. 



잼을 만들기로 작정하고 체에 문질러서 과육만 따로 모았다. 보리수 씨앗이 제법 크다. 이걸 심으면 보리수 나무로 잘 자랄 것 같은 예감. ^^ 하지만 지금의 한 그루만으로도 즐기기에는 충분해 그냥 버리기로 했다. 



모여진 과육에 설탕을 같은 양보다 조금 적게 붓고 끓이기 시작했다. 보글보글 끓어오르기 시작하고도 10여 분 이상 눌어붙지 않도록 저어 주었다. 



제법 잼 모양을 띠어 간다. 불을 끄고 식힌 후에 소독을 한 병에 옮겨 담았다. 그리고 후라이팬에 남은 잼을 식빵에 발라 먹었다. 오호라! 열매의 신맛이 설탕의 단맛과 어우러지면서 새콤달콤 꽤 맛있다. 보리수잼! 별미로 좋구나 ^^ 색도 예쁘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4년 5월 26일 18도~28도 오후 늦게부터 비


6월이 가까워져 오니 점차 열매도 익어가는 것들이 생긴다. 오디는 검붉게 익은 것들이 땅에 떨어지고 있다. 



오디를 따는 것은 꼭 블루베리 열매를 따는 듯하다. 한 무리의 열매가 동시에 익지를 않고 따로따로 익어가다 보니 하나하나 손으로 일일이 따야 한다. 그 크기가 크지도 않아 한참을 따도 생각만큼 양이 많이 모이지 않는다. 



햇볕이 따가워지기 전에 잠깐 시간을 내어 익은 것을 추려서 따보니 한 소쿠리의 절반 정도가 담겼다. 올해는 뽕나무잎이 나올 시기에 어린 잎들을 따서 나물을 무쳐 먹었는데, 그 덕분인지 잎들이 촘촘하지 않고 통풍이 잘 되어 뽕나무이의  활동이 뜸해 보인다. 그래서 안심하고 익은 열매는 주저없이 딸 수 있었다. 간혹 노린재가 눈에 띄긴 했지만, 작년에 비하면 그 숫자도 적어 보인다. 



물에 씻은 후 물기를 털어내고 믹서기에 갈았다. 대략 1.5키로그램 정도 수확한 듯한데, 믹서기로 가니 500미리 정도가 나온다. 잼을 만들 생각인데, 설탕에 절여 물을 낸 후 끓이면서 뭉개기 보다는 이렇게 믹서기로 갈아서 설탕과 섞어서 가열하는 것을 좋아한다. 오디의 경우엔 입에서 씹히는 것이 그다지 좋은 기분이 아니어서 깔끔하게 갈아서 잼을 만드는 것이 개인적으론 식감이 더 좋아서다.



프라이팬에 오디 간 것을 넣고 설탕을 부었다. 보통 잼을 만들 때 1대 1로 섞어주는데, 나는 5대 4 정도 섞는 것을 선호한다. 대신 잘 섞어서 가열한 후에 상하지 말라고 레몬즙을 서너 방울 첨가한다.



잼을 담을 병을 끓는 물로 소독했다. 병 소독을 하지 않으면 곰팡이가 피는 경우가 많아서다. 잼을 담을 때 꼭 거치는 일이다. 



푹 끓인 잼을 조금 식힌 후에 병에 담았다. 두 병 가득 나온다. 프라이팬에 남은 것은 모닝빵으로 훔쳐서 맛을 본다. 설탕을 조금 적게 넣은 덕분에 아주 달지가 않아 오히려 좋다. 약 한 번 치지 않은 오디를 잼으로 만들어 놓으니 마음이 풍족해진다. 운과 시간이 따른다면 앞으로 두어 번 정도 더 잼이나 청을 만들 수 있지않을까 기대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4년 5월 4일 맑음 10도~29도


풀이 무성해지고 있다. 블루베리밭에도 각종 풀들이 키를 키우더니, 어떤 것은 블루베리보다 더 크게 자라는 것도 있다. 지난해보다 일주일 정도 풀베기를 늦게 시작했다. 기후 탓인지, 아니면 일주일 늦은 탓인지는 모르겠지만, 작년보다 훨씬 많이 자라는 듯하다. 



풀을 베면서 아까운 마음이 많다. 개망초잎과 민들레, 쑥 등을 따고 캐서 야생초발효액을 담가보면 좋을 성 싶어서다. 마음이 한갓지면 해볼 터인데, 어쩐지 시간에 쫓기는 기분이다. 늦어도 괜찮아, 할 수 있지만, 그래도 블루베리가 주 목적이다 보니 다른 것에 집중하는 것은 한눈을 파는 것 같은 기분이다. 이래도 저래도 괜찮아야 어슬렁 농부의 어슬렁거림에 어울릴텐데 말이다.ㅋ ^^;;;


충전식 예초기로 2시간씩 풀을 벤다. 1시간 당 두 줄 정도 베는 듯하다. 충전기 2개로 4 두둑을 베고 있다. 대략 블루베리 밭의 풀을 베는 데는 하루 두 시간씩 3~4일 걸릴 성 싶다. 한 두둑 한 두둑 시원해지는 걸 보면 마음도 상쾌해진다. 



풀을 베고 다른 곳도 둘러본다. 브로콜리에는 잎벌레들이 신나게 잎을 뜯어먹고 있다. 배나무 열매에도 벌레가 구멍을 뚫고 터를 잡은 것도 있다. 



이러니 벌레 잡는라 야생초 발효액 담그기 같은 일은 뒤로 미뤄질 수 밖에....

뭐, 이렇게 벌레를 잡아봐야 한여름이 되면 쫓아가는 일도 벅차 결국 포기하게 되지만... 그래도 올해는 뭔가 달라진 모습을 보이고 싶다. 충전용 무선 동력 분무기도 구입해서 사용해보고 있으니, 최대한 노~오력을 해 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4년 5월 1일 맑음 11도~23도


풀들이 부쩍 자랐다. 풀을 베어야 할 시간이 찾아왔다. 



그런데 풀을 꼭 베어야만 할까. 챗GPT에 그 이유를 한 번 물어봤다. 그랬더니 다음과 같이 답변이 나온다.


1. **작물 성장 장애**: 잡초나 다른 잔디들이 작물과 경쟁하여 영양분과 공간을 차지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작물의 성장에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풀을 베어서 작물에게 충분한 공간과 자원을 확보합니다. 2. **해충과 질병 예방**: 잡초는 해충과 질병의 서식지가 될 수 있습니다. 풀을 깎아 제거하면 해충이나 질병이 번식하는 환경을 줄일 수 있어 작물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3. **물 관리**: 풀이 너무 높으면 물이 잘 증발되지 않고 작물에 적절한 양의 물이 공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풀을 깎아 작물이 필요로 하는 물의 양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4. **농경지 관리**: 잔디를 깨끗하게 유지하면 농경지나 농장을 더 깔끔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도 더 매력적인 농경지를 만들어 줍니다.

 

일단은 나무나 풀이 아닌 상추와 같은 쌈채소와 같은 채소류나 토마토, 수박과 같은 과채류의 경우엔 풀과의 경쟁에서 이기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위의 4가지 이유가 다 타당해 보인다. 


하지만 과수를 키우는 과수원에서도 궂이 풀을 베어야만 하는 것일까. 숲에서는 풀을 베지 않고도 나무나 관목들이 잘 자라지 않는가. 그런 측면에서는 위 네 가지 이유 중 4번이 가장 큰 이유이지 않을까 싶다. 풀을 그대로 키우면 이동의 불편함과 어디서 나올지 모를 뱀과 같은 위험 동물을 피하기 어렵다는 측면이 분명 있다. 또 3번의 경우도 가뭄이 찾아올 때 잘 맞을 것 같다. 하지만 1번과 2번은 다소 깊게 생각해보아야 할 문제이지 않을까 싶다. 생태계의 먹이그물이 잘 짜여져 있다면 2번의 문제가 자연스레 해결이 될 수도 있을 테니까 말이다. 하지만 3번과 4번을 위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접점이 필요해 보인다. 그래서 적절하게 풀 키우기라는 방법으로 접근해야 하지 않을까. 


아무튼 위 이유로 풀을 베는 작업은 올해도 시작되었다. 풀을 덜 베고 농장을 꾸미기 위한 디자인도 계속할 생각이다. 지난해 장만해서 잘 써먹었던 충전용 무선 예초기를 꺼내 돌려보았는데 올해도 문제없이 잘 돌아간다. 1시간 충전기를 돌리고, 예비 충전기 한 개를 꺼내 다시 1시간. 하루에 이렇게 두 시간씩 풀을 천천히 베어 나간다. 


   

풀을 베고 나면 풀을 베는 이유 4번의 매력에 듬뿍 빠지게 된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