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건망증이 심해 머리도 굴려볼겸 오랜만에 숨은그림찾기를 해봤다. 그런데, 어라! 왜 이리 어려운거야. 숨은그림 1개 찾는데 한참이 걸린다. 오랜만이라 그런 걸거야 생각에 다른 그림을 또 시도했지만 여전히 만만치 않았다. 예전엔 분명 쉽게 찾았는데... 

곰곰히 생각해봤다. 시력이 급격히 나빠졌다고 하기에는 말도 안되는 변명같고, 그렇다면... 

숨은그림찾는 방법을 바꿔봤다. 처음엔 무엇이 숨겨져 있는지 낱말을 먼저 보고 그림을 찾았다. 하지만 이번엔 숨은그림 갯수만 확인하고 그림을 먼저 찾았다. 그랬더니 훨씬 쉽게 찾아졌다. 

아하, 그거였구나.  

낱말을 먼저 본 후에 그림을 찾는 게 어려웠던 것은 낱말이 주는 이미지 때문이었다. 예를 들어 망치라고 했을때 내가 생각하는 망치라는 이미지가 먼저 그려진다. 그런데 숨은그림 속의 망치가 그 이미지와 전혀 다르다면 망치를 찾는게 쉬운 일이 아니다. 물론 숨은그림 속의 이미지가 낱말이 주는 이미지와 전혀 다를 정도로 차이가 나는 건 많지 않겠지만 말이다.  

선입견이었다. 숨은그림 속에서도 선입견은 문제였다. 때론 숨은 그림을 찾는게 훨씬 빨라지도록 도움을 주기도 하지만, 그 반대의 경우도 많다. 일상 속에서의 선입견도 그렇다. 무조건 나쁜 것만은 아니다. 즉각적 판단을 내려 행동하는데 도움을 주기도 한다. 하지만 여전히 대상을 온전히 이해하는데는 걸림돌이 된다.  

있는 그대로 바라보기. 문제는 때론 그렇게 풀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나의 맥박은 평상시 1분에 69~70번 뛴다. 어떤 마라토너는 1분에 40번대만 뛴다고 한다. 갓난아이는 130번대를 육박한다.  

내 발걸음은 무척 빠르다. 시속 6km 정도는 가뿐하다. 10분이면 갈 거리를 어떤 이는 15분 정도 걸려서야 도달한다. 물론 나보다 더 빨리 걷는 사람도 간혹 보인다. 

어떤 사람의 말을 듣다보면 답답할 때가 있다. 어서 빨리 다음 말을 건넸으면 하는 바람이다. 하지만 다른 이는 너무 말이 빨라 절반도 제대로 알아듣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누구에게나 자신만의 템포를 갖고 있다. 등산을 할 땐 이 템포가 매우 중요하다. 힘들고 지칠 때 자신의 템포마저 잃어버리면 더이상 걷는 것은 힘들어진다. 자신의 템포를 지키는 것은 생명과도 같은 것이다.  

여행은 많은 교훈을 준다. 견문을 넓혀주고 생각의 폭도 커진다. 특히 혼자서 하는 여행은 많은 어려움을 혼자서 극복해야 하기에 성장의 밑거름이 된다. 그렇다면 둘이서 하는 여행은... 

둘이서 하는 여행은 상대방에 대한 배려를 키워준다. 그 배려심은 바로 템포의 차이 때문에 발생한다. 산을 오를때 자신의 템포를 놓치지 않아야 하듯 수없이 걸어야 하는 여행길도 템포를 놓치면 힘들어진다. 그래서 자연스레 자신의 템포로 길을 걷게 되는데 동반자의 템포와 차이가 크다면 낭패다. 걷는 것만이 아니다. 무엇을 보아야 하고, 언제 쉬어야 하며 언제 먹어야 하는지 등등 모든 것이 템포의 차이다. 내가 빠르다면 조금 늦춰야 하고, 느리다면 조금 서둘러야 한다. 내 몸에 여유가 있다면, 즉 힘이 남아 있다면 그 조절이 자유자재이겠지만, 지치고 힘들때면 나의 템포를 고집하고 싶어진다. 바로 그때, 자신의 템포를 조금 양보하는 것. 그것이 배려다. 여행은 이 배려심을 가르친다.  

아내와 떠난 2주간의 유럽여행은 템포를 발견하게 해줬다. 아니, 템포의 차이를 발견하게 해줬다. 그것은 다른 문명과 삶.자연이 주는 충격보다도 더 큰 가르침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킬링필드로 알려진 캄보디아 내전 중엔 많은 희생자가 발생했다. 사진은 작은 킬링필드로 알려진 곳에서 발굴된 진짜 해골들이다. 참혹한 시련을 겪어낸 이 나라는 과연 어디로 발걸음을 옮겨갈 것인지 궁금하다.  

아무튼 이 해골들을 자세히 보면 색깔이 다른게 눈에 띈다. 흰색과 황토색의 해골. 사람의 뼈 색깔이 각자 다른 것일까.  

황토색의 해골은 아이를 낳은 여자들의 것이라고 한다. 아이를 낳으면서 몸에서 철분이나 인분이 빠져나갔고 시체가 황토에 묻힘으로써 뼈의 빈 공간들을 황토성분이 메우게 된다. 그래서 여자라 하더라도 아이를 낳은 여자들만이 이렇게 누런색을 띄게 되는 것이다. 어머니라는 이름은 고통 속에서 피어난 것임을 깨닫게 된다. 



이 풍경은 너무나도 익숙하다. 대한민국 방방곡곡 시골을 바라볼 때면 눈에 걸쳐오는 모습이다. 자식들과 손주들을 위해 정성껏 음식을 햇볕에 말리는 할머니의 사랑스러운 눈길과 손길은 국가를 달리해도 똑같다. 등굽은 할머니와 땅에 널린 음식들, 따사로운 햇볕이 외갓집을 떠올리게 만든다. 이곳도 누군가의 외갓집, 또는 할머니집이겠지.  

어머니, 할머니로 산다는 것은 이렇게 희생과 사랑임을 이국 땅에서 느껴본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프레이야 2009-07-09 18: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해골, 그렇군요.
뼛속을 파먹고 우리가 태어나고 자란 것이군요.
아래 사진은 우리네 시골풍경, 사람풍경과 정말 다르지 않네요.

2009-07-09 19:48   URL
비밀 댓글입니다.

하루살이 2009-07-10 17: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머니가 여자보다 강하다는 것을...
 



캄보디아 중산층 주택의 일반적 모습이다.  

건기와 우기가 뚜렷하다보니 습기나 폭우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지층을 비워둔다. 이렇게 비워둔 공간은 물건을 보관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그늘이 생기면서 무더위를 피할 수 있는 장소가 된다. 방은 현재 우리네로 따진다면 원룸식 구조다. 이집은 딸이 셋 있는데 이혼한 딸도 들어와 살고 있다고 한다. 딸들은 칸막이를 만들어 부모님과의 생활공간을 조금 구분해놓았다. 1층 뻥뚫린 공간 뒤쪽 왼쪽으로 보이는 곳이 부엌이고 오른쪽이 화장실이다. 아래 공간의 개 두마리가 똑같은 포즈를 취하고 있는 것이 재미있다.  

시골 땅에는 뱀이 많다보니 주변에 바나나 나무를 많이 심는다고 한다. 뱀이 싫어하기 때문이다. 물론 울타리 기능도 겸한다. 집 기둥이 사각인 것도 뱀이 올라오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다. 길거리의 가로등이 모두 원기둥이 아닌 사각이나 팔각형태를 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마당에는 개 뿐만 아니라 싸움닭과 일반 닭, 병아리들이 뛰어놀고 있었다. 이 집 아이는 집을 나설때 네잎 클로버를 선물해줬다. 아이들은 네 잎 클로버를 찾는 것을 놀이로 삼기도 한다.  



 

캄보디아 씨엠립 중심가에는 화려한 집도 많다. 위 사진은 일종의 아파트. 그런데 분양이 하나도 안됐다. 무슨 생각으로 아파트를 지어서 분양하려 했는지 모르겠지만, 아마도 우리나라였다면 부도가 나고 이로 인해 연쇄적인 경제적 문제가 발생했을 것이다. 하지만 이곳은 천하태평이다. 워낙 빈부격차가 심하다 보니 아파트를 지을 정도의 사람들은 돈 걱정을 하지 않는다. 은행 등에서 빌려서 건물을 짓는게 아니고 남는 돈으로 건물을 지었으니, 안 팔려도 그만이라는 생각이란다.  



 

캄보디아 사람들은 울타리를 좋아한다고 한다. 공산권 사회를 겪었지만 집에 대한 경계선만큼은 뚜렷하다. 아무리 돈이 없더라도 울타리는 꼭 지으려 한다니 무엇 때문인지 궁금하다. 소유한 땅 안에 아무것도 없어도 울타리만큼은 화려하게 짓고 싶어하는 모습은 마치 치장에 매달리는 현대인의 몸뚱아리와 닮아있는 듯하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루살이 2009-07-10 17: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 가난 속에서 희망을 볼 수만 있다면 그래도 살만한 세상이겠죠
 

선입견이란 역시 무서운 거다. 캄보디아의 동물들을 바라보는 시선은 나도 모르게 가난이라는 색안경을 통해서였다.  



사원에서 자라는 새끼 고양이가 너무 앙상했다. 먹을 게 충분하지 못해서일까. 아니면 다른 친구들로부터 왕따를 당해서일까. 그래도 힘차게 뛰노는 모습이 다행스럽다. 

 



 앙코르와트 잔디밭에 원숭이가 나타났다. 지나가는 사람들을 아랑곳하지 않고 먹는데 정신이 팔렸다. 관광객이 버리고 간 연밥에 얼굴을 파묻은 모습이 게걸스럽다. 그래도 관광객들은 때 아닌 원숭이 출연에 반갑기만 하다.  

 



 캄보디아에서 자라는 소들은 종류가 다양하다. 그중 물소는 자체 온도 조절 능력이 있어서 괜찮지만 다른 소들은 더위에 지쳐 뼈와 근육만 앙상하다. 이 소는 사원 입구에서 여유로운 모습으로 서 있는게 마치 인도의 소같다. '나를 받들라' 



술집 간판에 게코가 붙었다. 모기나 곤충을 잡아먹는 도마뱀 종류인 게코는 캄보디아에서 흔하다. 손가락만한 것에서 크게는 주먹만한 것까지. 벽에 착착 달라붙어 있는 것이 거미보다 더 실력파 같다. 이젠 스파이더맨이 아니라 게코맨이라고 해야 하지 않을까 ^^ 



새빨깐 벼슬에 화려한 깃털을 자랑하는 이 닭은 싸움닭이다. 일반 가정집에서도 기를 정도니 얼마나 닭싸움이 흔한지 짐작이 간다. 옆에 병아리들은 누구의 새끼인지 궁금하다. 이 병아리들 중 어떤 놈은 앞으로 싸움닭으로 키워지겠지? 한편 캄보디아에서는 예전부터 돼지도 싸움돼지가 있다고 하니... 싸움돼지 모습은 사원의 벽면에 새겨진 부조에도 나온다. 참, 대단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