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의 포로 3
히노 마츠리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01년 8월
평점 :
절판


개인적으로 제목이 좀 낯간지럽다고 생각합니다. 사랑의 포로라니...읽어보니 사랑의 노예더구만...(예전에 나왔던 젤리 이름이 메구미였던 것 같은데요...그래서 이 만화의 메구미를 볼때마다 젤리가 생각나는군요. 후후...)어떤 집안의 용신의 저주에 걸려(?) 대대로 하인으로 살아야만 하는 숙명을 지닌 집안의 메구미...주인가족들을 몽땅 죽어 그 재산을 물려받아 뭔가 고상한 생활을 꿈꾸는 20살의 청년이죠.그런데 어느날 그 주인님의 유일한 생존자인 16살인 스즈카를 만나게되고..용신의 저주때문에 스즈카와 눈이 마주치면 완벽한 하인으로서 변신합니다.

그리고 그녀를 여자로서 좋아하게 되죠.(근데 왜 스즈카한테 공주님이라고 부를까요? 주인을 부르는 호칭도 여러가지일텐데...) 그들의 사랑이야기가 중심이야긴데요. 스즈카가 계속 중국에서 살아와서 보수적인 편이라고 되어 있어서 아직까지 특별히 야한 장면은 없지만...메구미...계속 그녀를 노리더군요. 하여튼 저주에서 풀어줄려고 스즈카는 다분히 노력하는데 뭐 마지막는 저주가 풀리면서 끝날 것 같은데요. 개인적인 생각에 스즈카와 메구미가 결혼하면서 풀리지 않을까 합니다.

하여튼 스즈카가 너무 착하고 귀여운 것 같습니다....그에 반해 메구미는 완전히 늑대......3권에서는 드디어 용신의 저주가 걸리게 된 상황에 대한 부분이 나옵니다. 그 스즈카의 선조 여자애를 보면서 역시 소원은 구체적으로 빌어야 한다는 생각을 해봅니다.(멋진 남자를 나타나게 해주세요가 아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엑스 X 15
CLAMP 지음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01년 3월
평점 :
품절


이 책을 처음 본 것은 모 잡지 뒤에 실린 만화책 광고였습니다. 고도리가 천사날개달고 주위에 깃털을 흩뿌리며 앉아있는 그림이 칼라로 나와있었는데요. 당시 동경바빌론을 본 이후 clamp의 만화책을 못 보고 있을 때였습니다. 솔직히 그 그림만보고는 좀 가벼운 순정만화계통인가 했는데..

하지만 '역시' 동경바빌론과 성전의 작가들답게 그 그림이랑 아무 상관없는 내용의 SF만화더군요. 특히 여자 히로인처럼 생각되던 그 깃털뿌리던 고도리...너무 일찍 죽더군요. 것도 허무하게...병있는 것도 억울할텐데 그렇게 이유없이 죽어갔어야 하다니...즉 고도리는 조연...그 후로 거의 만화책상에 안 나오고 있습니다. 죽었어도 자주 나오면 좋을텐데..

음..이 만화를 보면서 천룡과 지룡에 대해 생각해봤습니다. 천룡은 파괴를 통한 지구를 살리는 쪽을 지룡은 지금 그대로의 현상을 유지해가는 쪽이죠. 엄밀히 말하면 둘다 결국 지구를 살리자는 그 목적은 같다고 할 수 있는데요.(솔직히 좀 극단적이죠. 이것 아니면 저거다...다른 방법도 많을텐데..하지만 만화니까 이해하구요...) 만약 제가 카무이 같은 상황에 놓인다면 저도 카무이같은 입장을 취했을 것 같네요. 뭐 천룡의 입장도 이해는 하지만 살아있는 생명을 죽이는 것은 좀 그렇지 않나요? 지구한테는 쬐금 미안하지만...

1분중 0분께서 이 리뷰를 추천하셨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OMIC 1
하시현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199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만화가를 소재로 한 것은 김나경님의 사각사각과 이 만화가 기억이 나는군요. 김나경님의 사각사각의 만화가 제리가 만화를, 만화를 위해,만화를 의한 생활을 한다면 이 만화의 주인공 남자애는 그 와중에 학교도 다니고 연애도 하고 만화도 그립니다.(그나마 약간 인간적이군요. 제리는 너무 불쌍해서요...)

(이건 별개지만요. 4권인가 5권에 해원이가 살금살금 걷기위해 코밑으로 두건 묶는 장면...마음에 안 들더군요. 일본만화에 도둑을 표현할때 많이 쓰는 표현이잖아요. 우리 나라 만화책에서는 보기 힘든데.....)

그리고 꽤 깔끔한 모습 유지..(꽃미남이고 주인공이라 그런가?) 하여튼 망가지는 모습은 없더군요. 후후.... 개인적으로 이 작가의 프리티보다는 코믹이 훨씬 나은 것 같은데요. 좀 어떤 확실한 설정을 했으면 좋겠습니다. 학교도 아니고 그렇다고 화실도 아니고...뭔가 어정쩡한 것 같거든요.(또 해원이를 문하생으로 한 부분이 후부터 만화가라는 설정이 많이 죽는 듯한 느낌입니다.)

스토리는 뻔하지만 개인적으로 재밌게 보고 있으므로 특별한 불만은 없는데요. 그림도 이쁘구요.. 제발 갑작스런 줄거리전환이나 복잡한 어떤 문제만 넣지 않았으면 좋겠네요. 그리고 이왕 만화가르 소재로 한것...그분야로 가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지금처럼 진행하면 일반적인 학원물과의 다른 점을 구별할 수가 없을 것 같거든요. 그쪽 분야를 특화시키면 그래도 일반학원물과의 구별이 가능하지 않을까요? 후후...(프리티..갑자기 요상한 방향전환으로 별로 안 보고 싶거든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리티 Pretty 1
하시현 지음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00년 6월
평점 :
절판


신기린이라는 평범한 중딩(만화속에서만 평범...하지만 실제로 이런 애가 있다면 범상치 않은 아이겠죠?.) 별보는 것을 좋아하는 신기린이 삼촌 덕에 tv mc로 나오면서 연예계 생활 시작하는 내용인데요. 이런 만화에 삼각관계는 빠질 수 없는 법...실제로는 피 한방울 안 섞인 천재 사촌오빠 은제영과 유치원때부터 악연이며 최고 잘나가는 모델이자 가수겸업중인 기린이를 좋아하는 천요한의 이야기입니다.

제목답게 분위기답게 계속 귀여운 내용으로 나갔으면 정말 좋았을 것 같은데요.(하시현님도 옷이나 소품같은 것에 대한 감각이 대단하신 것 같습니다.) 3권 이후부터 좀 갈피를 못 잡는 느낌입니다. 애들은 중딩인데 노는 것은 꼭 대학생 뺨치더군요...그냥 귀여운 애들 나오는 만화로 보자니 너무 어른스러운 경향이 있고 어른스러운 순정만화로 보자니 뭔가 어정쩡하고...

밍크인가 하는 초, 중딩 대상 만화지에 연재하는 것 같던데..뭔가 타깃이 제대로 안 맞춰진 느낌입니다. 스토리도 약간 혼란스럽구요...현재로서는 가장 궁금한 점이 아무리 미국에서 자랐고 실제로 피한방울 안 섞였다지만 사촌간인 은제영과 신기린이 맺어질 수 있느냐입니다. 브라더 컴플렉스라기에는 뭔가 약간 더 진한 애정이 담겨있고(?) 애정이라하기엔 좀 그렇고...개인적으로 신기린이 빨리 방향을 정했으면 합니다. 중간에서 갈팡질팡하는 것 버리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계 7대 불가사의 - 신화와 역사로 읽는
이종호 지음 / 뜨인돌 / 2001년 1월
평점 :
절판


7대 불가사의 말은 많이 들어보았고 이책을 읽었지만 막상 지금 기억이 나는 것은 피라미드와 어디의 공중정원과 알렉산드리아에 있었다는 파로스등대 3가지 밖에 없군요.(이 것들이 불가사의가 된 이유는 당시 인간의 힘이나 기술로는 그런 건축물들을 지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약간 아쉬운 점은 모두 서양의 이야기인데 왜 '세계 7개 불가사의' 인지하는 부분입니다. 서양의 7대 불가사의라고 하던지...

원래 좀 가볍고 어렵지 않게 쓰여진 역사책이나 고고학책을 무척이나 좋아하는 편인데요. 이 책도 그런 저의 관심사항이라서 읽게 됬습니다. 역시 파라오의 저주에 관한 부분이 기억이 나는데요. 투탕카멘있죠. 그 어린나이에 죽었다는 황금마스크의 주인공...근데 그 관에는 일반적으로 파라오의 관에 새겨져 있다는 '사자의 안녕을 방해하는 자에게 저주가 있으라'가 없었다고 하더군요. 무슨 백작인가 한 사람이 말한것이 와전된 거라고 하던데요. 무척 신기했습니다. 한 사람의 말이 그렇게 까지 커지다니...그 사람 엄청난 거짓말쟁이인가 봅니다. 전 세계 사람이 다 믿게 되었으니...

사실 그에 대해서 예전에 어느 다큐를 본적이 있는데요. 오랜 세월동안 피라미드안에 자라나고 있던 곰팡이나 균들이 사람들 몸속에 들어가 병을 일으킨것이 아니냐 하는 주장도 있습니다.(약한 사람은 병이 걸리고 건강한 사람은 당연히 병에 안 걸린다는 거죠.)
하여튼 흥미있는 분야라 그런지 몰라도 재밌게 읽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