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씨네 집 이야기 1
황미나 지음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00년 5월
평점 :
절판


황미나님은 아무래도 sf물로 유명하신 것 같은데...데뷔 초기에는 순정물을 많이 그리셨고 요 근래에는 가족물을 몇개 그리셨습니다. 이씨네 집 이야기를 보면 예전에 보았던 '왁더글 덕더글'이 생각나더군요.(왁더글 덕더글은 이씨네 집 이야기보다는 더 코믹하지만 전체적인 설정은 비슷하거든요.)

퇴역 군인의 대머리 아저씨에 각기 다른 개성의 자녀들의 이야기인데요. 너무 짧게 끝나서 아쉽네요. 좀더 길게 연재하면서 가족의 사랑이나 가족간의 갈등들을 그리셨으면 더 좋았을텐데... 만화책이다보니 약간 과장된 부분이 있지만 우리나라 가족의 이야기를 따뜻하고 리얼하게 그리면서도 나름대로 문제점을 잘 집어내더군요. 읽으면서 '맞아맞아...'하고 있습니다..

내용중에 첫째 며느리 이야기가 가장 기억납니다. 처녀시절에는 자기도 꿈많고 이쁜 여자였는데 결혼하고 나서 집안 일에 시달리느라고 어느새 뚱뚱하고 나이든 아줌마되어 남편과 싸워도 마땅히 갈곳도 없는 자신의 답답한 심정에 관한 부분요. 아직 학생이라 그 심정을 정확히 이해하지는 못하지만 웬지 남일 같지가 않더군요. 엄마를 보면서요..아마 미래의 제 모습도 그렇지 않을까 싶습니다. 후후..

엄마도 젊었을때는 이쁘고 멋부리고 다녔을텐데 어느새 만화의 첫째 며느리처럼 할머니의 며느리로 남편의 아내로 아이들의 엄마로서의 삶을 살아가고 있잖아요. 여자로서의 자신은 거의 포기한채로..만화의 이 부분을 보면서 좀 서글픔을 느꼈습니다. 그것이 행복일 수도 있지만 그렇게 살면 스트레스가 엄청나지 않겠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르마 - 단편
신일숙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00년 7월
평점 :
품절


카르마는 업이라는 뜻인데요. 업(karma)은 힌두교의 법칙으로, 어떠한 사소한 일을 행하더라도 그 모두는 나중에 행위를 한 사람에게 똑 같이 돌아온다는 것이라고 합니다. 즉 선한 행동은 선한 것으로 돌아오고, 나쁜 행동은 나쁜 것으로 돌아온다는 인과응보같은 거죠.

신일숙님의 카르마는 환생 할때마다 어떤 남자한테 죽임을 당하려 하는 한 여자의 이야기입니다. 당연히 배경은 현세지만 그녀는 점점 자신의 전생을 기억해 나가게 되죠...도대체 전생에 무슨 나쁜 짓을 했길래 계속 그런 생이 계속되는지 모르겠습니다.(기억이 맞다면 남편의 저주로 인한거였던 것 같은데요.) 특히 만화의 마지막부분 정말 섬뜩하더군요.

환생할때마다 같은 전철을 밟아간다면 정말 살기 싫지 않을까요? 또 환생할때마다 전생의 기억을 갖는 것은 그만큼 고통스러울 것 같네요...나의 지구를 지켜줘에서도 링은 전생의 기억에 얽매여 꼬맹이가 무섭게 변하잖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이언의 왕녀 - 상
신일숙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00년 12월
평점 :
품절


이 옛날 작품을 전 늦게 읽어서 그런지 몰라도...(리니지 읽고 아르미안의 네딸들 읽고 에샤리자르 읽고 파라오의 연인까지 읽고 읽었습니다.) 그렇게 재밌게는 보지 못했습니다. 신일숙님 팬들이야 좋아하시겠지만 글쎄요...전 뭔가 내용도 뻔한 것 같구 신일숙 님 나름의 개성이 별루 돋보이지 않는 것 같구 2권 완결이 아닌 더 길게 스토리가 이어졌으면 모르겠지만 개인적으로는 그냥 보통수준의 만화였던 것 같습니다.(어디까지나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거기다 그림체도 옛날 꺼구..(근데요 윗분이 이게 신일숙님의 데뷔작이라고 하셨는데...'사랑의 아테네'라는 소설을 만화로 각색한 신일숙님 만화가 라이언의 왕녀보다 더 앞에 작품 아닌가요? 데뷔작인지는 모르겠지만...그림체가 예전에 80년대쯤에 유행했던 그런 그림체던데...거의 신일숙님의 그림이란 사실을 느낄수가 없었습니다.)

하여튼 이 만화는 공주가 주인공입니다.(다소곳한 공주 아닌 약간 활기찬(?)) 결국은 해피엔딩이 되는.. 예전에 봤으면 재밌었을 지도 모르지만 요즘같이 눈이 높아진 다음에 보려니... 기대한 것보다는 이하의 작품으로 느껴지는군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리니지 10 - 완결
신일숙 지음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1996년 10월
평점 :
품절


아르미안의 네딸들 처럼 얽히고 설킨 내용을 실타래 처럼 줄줄 잘 푸실줄 알았던 스토리가 갑자기 중반 이후부터 급진전이 되면 끝나더군요. 그래서 마지막이 너무 허무했다는..(왜 에스카 플로네의 마지막이 떠오르는지 모르겠네요. 왜 폴켄인가 하는 남자가 부러져 튕겨 나온 칼에 죽잖아요.)

붉은 머리의 왕자 데포로쥬는 어렸을때 자기 아버지의 혈맹에게 길러 집니다. 그리고 어머니는 반왕이라는 검은 머리의 남자랑 결혼을 하죠. 하지만 반왕은 사실 미천한 신분의 남자였는데 여러가지 고비를 겪고 왕까지 되었기 때문에 원래 왕이되어야 할 데포로쥬를 죽이려 하죠. 그리하여 데포로쥬는 자신의 자리인 왕을 찾기 위해 여행을 떠나는 내용입니다. 당연히 환타지 계열이라 소위 파티라는 것도 있구요.(달빛의 기사 오휀, 마법사 조우, 백조의 기사 로엔그린, 또...2명 인가 더 있는데 기억이..)

반왕쪽에는 반왕을 사랑하는 마녀가 있구...사실 스토리는 전형적인 환타지 입니다. 하지만 신일숙님이란 이름에 무언가 특별한 기대를 했는데 사실 좀 실망했습니다. 그림은 이뻤지만....

재밌게 보긴했지만 무척 재밌지는 않았습니다. 하지만 라라라고 시작하는 그 시같은 것은 독특했습니다.(항상 느끼는 건데요. 신일숙님의 만화는 확실히 성인취향인 것 같습니다. 의외로 야한장면 많고 의외로 당시의 어두운 시대상을 잘 보여주고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밀림의 왕자 레오 1
데즈카 오사무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01년 7월
평점 :
절판


데즈카 오사무의 아톰, 정글대제, 리본의 기사, 블랙잭이 모두 만화책으로 나오고 있군요...올해가 데즈카 오사무한테 기념적인 해일까요?(태어난지 50년이라던가 죽은지 30년 같은....)

우리나라에서는 애니제목이 밀림의 왕자 레오로 방영했던 것 같은데..원제는 정글대제라고 하더군요... 정글에 사는 희귀한 흰새끼사자 레오가 정글에 해를 입히려는 인간과 그 외 다른 동물들과 맞서 싸우고 동물들과 친하게 지내면서 살아가는 내용입니다.(요즘 모 케이블 방송에서 다시 해주더군요.) 아물래도 새끼사자라보니 힘들 일이 많지만요.

어리지만 귀엽고 용감하고 똑똑한 레오가 나중에 어른으로 변하니 음...무척이나 안 귀엽더군요.(아톰과 리본의 기사랑 레오랑 얼굴이 모두 똑같은 것 같습니다. 헤어스타일만 다르고...)

그런데 애니는 길게 봤는데 왜 만화책은 한결같이 3,4권 완결일까요? 원래 그런건지 아님 일부만 들여온 건지 궁금하네요. 후후. 하여튼 재밌게 봤습니다. 애니로 먼저 본 작품을 만화책으로 접하니 뭔가 어색한 것 같지만요. 재밌게 잘 봤습니다. (이 애니 보고 어렸을때 엄마한테 엄마 우리도 저런 하얀사자 키우면 안되?했던 기억이 갑자기 나는군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