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 MBC 느낌표 선정도서 소설로 그린 자화상 2
박완서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1995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어쩌면 책을 읽는데 있어서 편식을 하는지 모르겠다
이것저것 주는대로 아무거나 집어먹는 스타일은 아니고 내가
좋아하는거 딱! 내 스타일인거..뭐 그런책만을 고집하면서 읽는것
같다. 그래서 내가 산 책은 나혼자만의책이 되어 책꽂이에 꼽아져서
내가 다시 만져주기만을 기다리고 있다.
나의 남편은 내가 좋아하는 책은 절대로 보지 않는다...재미가 없단다 음냘..
그럼에도 불구하고 식구 누구다! 라고 할것없이 온 가족이 좋아하고
재미있어하고 하루만에 다~  읽느라고 밥도 못챙겨먹은책이 바로
이책 [그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이다.

나뿐 아니라 가족이 모두 함께 즐거어하고 행복해 했던  책을 꼽아보자면
 [마당깊은집] [새의 선물][개미][제임스 해리엇의 작품들]등이 있다.
이 느낌을 고스란히 간직한 책이 바로 이 책이다. ^^

일제 말기에 초등학교시절을 보내면서 어린아이가 세상을 바라보는
눈높이로 책을 써내려가고 또 6.25를 겪으면 이 어린아이도 소녀에서
아가씨로 성장해 나간다 어찌보면 이 책은 그냥 한 개인의 인간사를
다뤘기보다는 한 나라의 사회사를 다루었다 해도 과언이 아닐듯하다
추상적인 개념이나 또는 사진들을 통해 보여지는 역사자료에 비해서
좀더 구체적이면서도 내가 마치 그 역사 현장의 일부분에 쏙~ 들어간
듯한 느낌마저 주기 때문이다.

간혹 작가의 우월감이랄지...다른책들과 겹쳐지는 부분이 있다지만
작가의 상상력이란게..다른 그런것 아니겠는가.
또한 소중히 간직하고 싶은 추억은 계속 계속..자신의 책에 써도 써도
소모되어진다는 생각보다는 더 단단히 소중해지는 느낌이 들지 않을까
만일 내가 작가가 된다해도 내가 가장 소중하게 여기는 추억을 책에쓰고싶어질것 같다. ^^

책을 읽다보면 어머니를 향한 냉소적인 말과 글이 많이 나오는데 
작가의 어머니는 이 책을 어떻게 받아들이셨을까 하는 생각이 들곤한다.
나도 가끔은 내 어린시절을 어둡게 장식했던 우리 엄마의 이야기를
저렇게 고약하게 글로 남기고 싶은 날이있는데 말이다..
그러나 울엄마는 심약해서 쓰러지실까봐 절대로..글로 남기지 않고
내 마음의 일기장에만 쓰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대 아직도 꿈꾸고 있는가 / 한 말씀만 하소서 박완서 소설전집 15
박완서 지음 / 세계사 / 2005년 11월
평점 :
품절


가난이 사무치게 싫었던 그시절의 내꿈은 자선사업가였다 내가 배우지도 못한거 갖지 못했던거 가난한 이웃들에게 나누며 그들에게는 그것때문에 겪어야할 아픔과 희망의 꺽임이 없도록 그러고  싶었다 그러나 살만해지면서 나는 잊어갔다..내꿈을 잊었고..불쌍한 이웃을 봐도 고개돌려 다시 봐주는법도 없었다. 부모가 이혼을 했을 때 마음이 너무 아파 나는 결혼따위는 하지 않을꺼라고 결심 또 결심을 했다. 그러나 사랑하는 남자의 헌신앞에 그 지난날의 결심따위는 잊은지 오래였다...

이 책은 나에게 뭐랄까..오래된 이야기를 다시금 꺼내놓는 것같았다. 나는 다 잊어버렸고 지금은 지금의 행복에 겨워 기억조차 나지 않는 그런 오래 된이야기를 먼지 폭...쌓인 일기장의 먼지를 털어내듯 그렇게 들고나와 나에게 조곤 조곤 이야기해주고 있는 듯 하였다.

사랑하는 남편을 위해 헌신했던 여자는 남편에게 버림받았고, 또 새롭게 사랑하게 된 남자에게는 좀더 잘해보겠다는 희망을 걸었으나 또 버림받는 신세가 되었다 사랑하는 아들은 돈 앞에서 엄마를 떠나는것에 주저함이 없었다 (이는 어려서 뭘 몰라서였다지만..) 그렇게 버림받은 여자는 아직도 꿈을 꾸고 있다. 억척스럽게 사는 여자다. 어찌보면 사회에 어두우니까 휩싸이지 않고 자기길만을 고집하며 갈수 있는건지도 모르겠다. 그럴때마다 이 여자는 타이밍을 잘 맞추어 잘되기도 하지만 또 별것 아닌일로...실패를 하기도 한다. 이혼녀가 자식을 키우며 혼자 살아가는일..그리 쉬운일은 아닐것이다 그래서 이책은 그 희망을 제시하여주는가 그것도 아닌거 같다 모두 우리의 몫으로 남기고 있는듯하다 그리고 나에게 질문을 던지는듯하다 그대 아직도 꿈꾸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 남자네 집
박완서 지음 / 현대문학 / 2004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최근들어 박완서님의 글을 자주 찾아 보는듯하다  그리고 박완서님의 글에 관한 평론이랄까..그런것들도 자꾸 듣고 들여다보게 되는듯하다 . 아무래도 내가 생각하는 어떤 정형화된 인물이 다 일지도 모른다는 편견을 떨쳐내고 싶은 그런 일련의 노력이 아닐까.. 그 남자네집을 보다가 나는 그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를 집어 들었다..어! 이거..그 사람 얘기 아니야? 하면서 말이다..그러다가 다시 그럼 그렇지..완서님은 늘 자기 주변의 이야기만을 써..라고 단정을 지었답니다. 그러나 한 TV 프로에 완서님의 문학을 연구해서 박사학위를 받으신 분이 나오셨는데 이런말씀을 하더군요! 우리에게 널리 알려진 작품들이 자전적인 것들이 많을뿐이지 결코 완서님 문학의 전반이 자전적이지는 않다....고.. 그 방송을 보면서 이런걸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라고 하는것이 아닐까 생각해 보았습니다. 비슷한 부분도 있고 또 때로는 그 사람이 그사람이네..라는 생각이 들때도 있지만 이것들 모두 문학적 상상력에서 비롯된것이 아닐까 하고 말이죠..

그 남자네집을 읽으면서 나이 지긋하신 분들의 사랑을 만난것이 아니라 지금 이순간의 사랑을 다시금 풋풋하게 느꼈습니다. 신랑과의 연애시절을 떠올리기도 했고 또 앞으로 누군가를 만나 사랑하게 될지도 모르는 미래의 사랑에 대해서도 가슴 두군거림을 맛보았습니다. 때로는 30년전..40년전의 추억 더듬기가 고루해보이기도 하고 너무 추억에 젖는것이 아닌가 하는 느낌도 들지만 그것보다도 그 설레임과 풋풋함이 강해서 잠시 뿐이더군요 올만에 사랑의 감정을 다시금 일으켜준 이 책에게 감사를 해야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황진이 1
전경린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04년 8월
평점 :
절판


 

이틀이나 밤샘을 하고 말았네요!
태양님(신랑)과 함께 누웠다가 태양님의 코고는 소리가 높아지면
슬며시 일어나 쇼파에 기대어 나의 시간을 황진이에게 빼앗기고 말았네요
황진이는 그만큼 매력적이였고 여자된 나를 비롯하여, 소설속 인물이였던 남정네들의 모든 시간들을
꿈결속으로 빼앗아 내었지요! 시간이 가지않기를 간절히 바라는 심정과 함께..

나와 태양님은 <상사몽> 이라는 시조를 무진장 좋아합니다.

相 思 夢 (상사몽)

相 思 相 見 只 憑 夢 상사상견지빙몽
농 訪 歡 時 歡 訪 농 농방환시환방농
願 使 遙 遙 他 夜 夢 원사요요타야몽
一 時 同 作 路 中 逢 일시동작로중봉

아마도 책을 읽는 내내 이 상사몽이 누구를 향한 시였으며 또 어느 부분에서 어떠한 심정으로
노래한것일까에 가장 큰 촛점이 맞추어졌는지도 모르겟습니다.
꿈길위에서라도 만나고싶었던 만큼 사랑했던 그이가 누구일지 궁금했던게지요

책속에서는 황진사가 죽고 이사종이 다년간후 반년이 지나도록 오지 않을 그 시기에..불렀던
노래로 나오는군요..

그리는 이 심정은 꿈에서나 만날뿐
내가 그대 찾아갈때 님이 나를 찾아갔네
바라거니 언제일까 다음날 밤 꿈에는
오가는 길위에서 우리 함께 만나기를

저는 사랑과 황진이라는 인물에 초점을 맞추어 책을 읽었다면 태양님은 황진이의 사상에
초점을 맞추어 읽었나봅니다. 조광조를 이상주의자라며 그닥 좋아하지는 않았지만
그의 정치 뜻에는 찬성론을 펼쳤던 태양님이기에 조광조를 비롯한 사람파를 좋지 않은
시선으로 바라보는 황진이의 시선과 사상이 너무 싫다는 말을 하더군요
읽는 내내 재미도 있고 시간가는줄도 몰랐지만 그것은 싫었다고...

저는 그야말로 황진이의 그 삶만을 바라 보았기에 사상은 별로 중요하지 않았습니다.
매순간 사랑에 최선을 다했으며 현실을 피하는것이 아니라 정면 대결하는 모습
또 자신을 지키기위해 학문이든, 노래든. 가야금 연주든. 한시를 공부하는것이든
어느 하나 소홀하지 않은 그녀를 보면서 탄성을 자아내었고 내자신을 부끄러워지는 걸
느꼈답니다. 좋아하는 싯구절 하나를 제대로 외우지 못하는 저로써는 그 수많은 지식과
한시들이 툭툭 튀어나오는 황진이는 그야말로 멋진 여성이였고 지식인이였지요

글 읽는 내내...마치 [여인천하]와 정면 대결을 하는 듯한 느낌도 받았답니다.
작가 전경린은 2001-2002년 즈음 이 책을 준비하고 썼을지도 모르는데..
어떤 심정으로 그 드라마를 보았을까... 모 이런 생각도 들더군요! ^^

아직은 내가 좋아하는것만 생각하고 할뿐 똑바른 비평도 똑바른 인식도 제대로 하지 못할만큼
많은 책 읽기를 한것이 아니기에 글쓰기가 많이 부끄럽지만 그래도 오랜만에 시간 가는줄 모를만큼
나의 시간을 도둑질해간 황진이에 대한 글을 꼭! 쓰고 싶었습니다.
리뷰를 쓰다보니 오늘밤은 태양님과 마주하고 앉아 상사몽 시 한수를 서로 주고 받으며
외워보고 싶은 생각이 드는군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진주 귀고리 소녀
트레이시 슈발리에 지음, 양선아 옮김 / 강 / 200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소설을 쓴 작가 트레이시 슈발리에도 그림을 먼저 보고 이 화가에 대해 궁금해했고
이그림의 배경을 궁금해 했듯이 나또한 그랬다
베르메르의 작품 몇점을 먼저 보고 난뒤에 이 화가에 대해 궁금해 했고 또 마침
친구에게 [진주귀고를 소녀]dvd를 받게 되었다
원어로 되어있어서 볼 엄두를 못낸 탓도 있었고 또 이 영화에 대해서 자료를 찾다보니
책이 나왔다는것이 아닌가!!
또 책의 리뷰를 읽어보니 영화의 책이내용들이 고스란히 영화에 잘 담겨져 있다고 하지않는가
그리하여 급하게 책을 구하여 읽게 되었다.

책을 읽으면서 소녀 그리트와 주인어른인 베르메르와 관계가..사뭇 궁금해졌다
둘이 불륜을 일으킬까..아니면 띠지에 써있듯 제자로 만들어 대성할까..
이야기는 끝까지 잔잔하게 진전이된다
주인공 격인 두사람의 감정에 대해서는 일언반구가 없다
그저 주위의 시선을 의식하는 행동이나
주위 인물들의 심리표현이 그들의 감정을
대신하여 설명해주고 있다.

몰래 보기의 느낌이랄까..
그런느낌이 재미있다

책을 다 읽고 난 느낌은..4월이야기 였던가..
이와이 슈운지 감독의 그영화를 본것같은 느낌이다.
이제 막..감정이 생겨나는데 끝나버린 듯...
4월이야기는 이제부터 시작이라는 앞으로 어떻게 될지 모른다는
희망이 있지만 이 책은 이대로 끝이다..
사랑할 대상은 죽고...사랑할 사람도 마음을 접었으니..
그래도 그리 불행하거나 무겁지는않다
그녀가 만일 정말 대단한 의지만 가지고 있다면 어디선가...여류화가가 되어있을지도 모르니까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