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면창 탐정
나카야마 시치리 지음, 문지원 옮김 / 블루홀식스(블루홀6)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이 아니고 사람에 기생하는 인면창이 말을 하다니. 믿고 싶은데, 그것보다 미쓰기 롯페이가 만들어 낸 인격 같은 느낌이 든다. 인면창은 동양 기담이나 소설에 요괴로 나온다고 하지만. 미쓰기 롯페이는 후루하타 상속 감정에서 감정사로 일한다. 상속 감정사라 한다. 그런 일도 있구나. 실제 있을지도 모르겠다. 이 소설 《인명창 탐정》에서도 많이 알려진 일은 아닌 듯하다. 미쓰기는 다섯살 때 산에서 굴러 떨어지면서 어깨를 다쳤다. 어깨 상처가 쉽게 아물지 않고 나중에 그 자리 흉터가 사람 눈 코 입처럼 남았다. 미쓰기가 그걸로 놀다 보니 갑자기 인면창이 말을 했단다. 그건 아무래도 미쓰기밖에 못 듣는 것 같다. 이러니 미쓰기가 만들어 낸 다른 인격 같다는 생각을 하지.


 외진 사쿠마 마을에서 부자인 혼조 구라노스케가 갑자기 죽어서 미쓰기는 유산을 감정하러 간다. 혼조 집안은 사쿠마 마을 경제를 쥔 집안이다. 거기 사는 사람은 혼조 기업에서 많이 일했다. 구라노스케는 아들이 셋에 딸이 하나였다. 사쿠마 마을은 가부장제가 남아 있고 시대에 뒤떨어진 곳이었다. 여성이 제대로 살기 어려운 곳이었다. 외진 마을 유지에 가부장제라는 게 나오니까 요코미조 세이시가 떠올랐는데. 이 소설 《인면창 탐정》은 요코미조 세이시 소설 《이누가미 일족》과 《악마의 공놀이 노래》에서 영감을 받고 썼다고 한다. 요코미조 세이시 소설 많이 보지는 못했지만, 몇 권 본 게 있어서 떠올리기도 했구나. 그런 소설 못 봤다 해도 이 소설 보는 데 문제는 없다.


 혼조 기업이라 하지만 여기에서 하는 혼조 제재는 잘 안 되고 산은 별로 돈이 되지 않았다. 그런데 미쓰기가 산을 돌아보다 산에 몰리브덴이 묻혔을지도 모른다는 걸 알게 되고 형제들이 조금 이상해졌다. 돈을 나눠 가지려고 하던 게 회사 경영권 싸움이 됐다고 할까. 첫째 아들 부부가 죽는다. 창고에 불이 났는데 그 안에서 나온 시체가 첫째 아들 부부였다. 둘은 불에 타 죽지 않고 먼저 목이 졸려 죽임 당했다. 그 뒤로 사람이 더 죽고 하나는 미수에 그쳤다. 책 목차를 보면 그런 일이 일어나리라는 걸 짐작하게 한다. 연쇄살인이라니. 이건 유산 상속 때문에 일어난 일이구나 생각하게 한다. 그러면 유산을 받을 사람에 용의자가 있는 거겠다.


 용의자가 집안 사람이라는 건 짐작이 가도 누군지 알기 어려웠다. 그 사람 마음을 깊이 생각하지 못했던 건지도 모르겠다. 그저 그럴지도 모른다고만 생각했다. 가부장제로 사람을 꼼짝 못하게 하고 다른 사람도 거기에 거역하지 않다니. 그런 일이 소설에서만 일어나지 않을 것 같기도 하다. 어딘가 폐쇄된 마을에서는 지금도 일어날지도. 사람 욕심은 무섭구나. 죽으면 다 끝인데, 왜 근거없는 믿음을 갖는 건지. 그 믿음으로 상처받는 건 여성이다.


 미쓰기가 산을 둘러 보는 모습을 보면서 왜 산을 팔고 거기에 무언가를 지어야 하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거기에 사는 나무나 풀이 살 곳을 없애려 하다니. 땅속에 묻힌 몰리브덴을 채취해도 둘레 자연은 죽겠다. 자연을 그대로 두면 좋을 텐데, 산 주인이 있다니. 얼마전에도 생각한 건데 그 주인이라는 건 정말일까. 자연은 사람이 주인일 수 없는데. 땅이구나. 소설 보면서 이런 생각을 한 건 얼마전에 본 《나의 초록목록》(허태임) 때문이구나. 이 소설은 분명하게 풀리지는 않았다. 인면창이 말한 게 맞기는 할 거다. 이건 나카야마 시치리 새로운 시리즈다. 인면창과 미쓰기가 이야기하는 거 재미있게 보인다. 미쓰기가 혼자 상상하는 것 같은 느낌도 지울 수 없지만. 나도 그런 친구 있으면 좋겠다.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해 첫달 일월엔

무언가 새로 시작하고

잘 지내야 할 것 같아요


일월은

새해가 오고

늘어난 다력 장수가

기분 좋게 해주지요


일월은

무엇보다 함박눈이 와야죠

일월이 아닌

언제 함박눈을 실컷 보겠어요


아쉽지 않은

일월이길 바라요




희선





댓글(2)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감은빛 2024-01-23 18:5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벌써 1월 말이예요.
시간은 왜 이렇게 빨리 가는 걸까요?

희선 2024-01-24 02:15   좋아요 0 | URL
새해가 오고 일월은 천천히 가는 듯한데, 두 주 지나면 빨리 가는 것 같기도 합니다 아직 일월입니다 감은빛 님 남은 일월 즐겁게 보내세요


희선
 




잘 있어

이제 난 떠나

인사하고 떠나서 다행이야


아무 말도 못하고

어느 날 갑자기 떠났을지도 모르잖아


내가 인사해도

못 듣고 못 보는 사람도 있겠어

그건 어쩔 수 없지


그동안 고마웠어

나 같은 사람과 알고 지내줘서


친구가 되고 싶었지만

그러지 못한 것 같아 아쉬워


건강하게

즐겁게

잘 지내




희선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24-01-22 02:2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4-01-22 02:3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39 좋아하는 화가가 있어?




​ 이런 거 대답하기 참 어렵다. 화가가 아니고 그림을 좋아하는 건데. 화가도 좋아해야 할까. 작가도 작가는 그렇게 좋아하지 않고 소설이나 글만 좋아한다. 그림을 좋아하면 화가도 좋아하는 건가. 나도 모르겠다.


 이런저런 그림 보는 거 좋아한다. 그렇다고 전시회 가 본 적은 없다. 그림 잘 모른다. 그냥 책에 실린 그림 보는 게 좋을 뿐이다. 그림을 실제 보는 느낌 다를지도 모르겠지만, 어쩐지 난 실제로 봐도 책으로 봐도 괜찮네 할 것 같다. 내가 이렇다.


 아무래도 난 좀 이상한 듯하다. 잘 모르겠다.


20240115








240 내가 생각하는 내 성격은 어때?




​ 제 성격 별로 안 좋아요. 어두워요. 가끔 좋게 생각해야지 하지만, 그런 건 길게 가지 않고 다시 어두워져요. 쓸데없는 데 마음을 많이 씁니다.


 다른 사람이 말하지 않은 거 혼자 생각합니다. 말하지 않는다고 그걸 모르지 않기도 하죠. 마음대로 생각하는 거 그렇게 좋은 게 아닐지 모르겠지만, 그런 게 거의 맞는 것 같아요.


20140116








241 가슴에 깊이 새겨진 특별한 장면이 있어?




 예전에 그런 거 있었던 것 같은데, 다 잊어버렸어. 오래 기억하는 특별한 장면이 없다니 조금 아쉽네.


 요새 <원피스>를 봐서 그런지, 루피와 동료가 첫번째 배인 메리호와 헤어질 때가 생각나기도 해. 그러고 보니 몇 해 전에 그거 보고 만화책도 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어. 그때는 한국말로 한 열 권쯤 본 것 같기도 해. 그 뒤로는 일본말로 봤어.


 이 만화영화가 2024년에 스물다섯해가 되는가 봐. 시간이 그렇게 흘렀다니. 일본에서 시작한 1999년엔 몰랐지만, 몇 해 지난 다음에 알았어. <원피스>에는 괜찮은 장면 많은데, 예전엔 그런 거 참 좋아했는데. 지나간 걸 더 좋아하다니. 사람이 지난 시절을 더 좋게 여기는 것과 비슷한 것 같군.


20140117








242 나에게 성공은 무엇일까?




​ 성공, 나도 잘 모르겠다. 그냥 자신이 하고 싶은 거 하면서 즐겁게 살면 괜찮은 거 아닐까. 하고 싶은 게 돈으로 이어지지 않기도 한다. 내가 그렇구나. 돈 버는 재주는 하나도 없다. 어쩔 수 없지.


 마음 편하게 사는 게 좋다. 그렇기는 한데 마음이 편한 것만은 아니기도 하구나. 이렇게 살아도 괜찮을까 생각하기도 하니. 그런 시간은 조금 지났던가.


 모르겠다. 성공이 꼭 뭔가 큰 걸 해내고 돈을 많이 버는 것만은 아니다 생각한다. 내가 그런 걸 못해서 이렇게 생각하는 걸지도.


20240118








243 최근에 누구한테 (톡이나 문자 말고) 편지나 메모를 보냈어?




 새해가 오면 하는 게 있어요. 언제부터 했는지 잘 모르겠지만, 새해가 오면 연하장을 씁니다. 연하장은 11월이나 12월에 먼저 사두고 새해가 오면 쓸 수 있기를 바라기도 합니다. 저한테 무슨 일이 생기면 못 쓸 수도 있잖아요. 다행하게도 연하장 쓸 때까지 큰 일은 없었네요. 이번에도. 저는 여러 사람한테 편지 보냈다고 해야겠네요. 저는 편지 자주 쓰는 편이네요. 아니 가끔이라고 해야 할지도.


 편지지 편지봉투 그리고 우표는 늘 있기에 쓰는 거 그렇게 어렵지 않습니다. 별로 재미가 없어서 받는 사람한테 미안하기도 하네요. 쓰다 보면 예전에 쓴 말 또 쓰기도 하고, 그런 말 쓰면서도 예전에 쓴 적 있을지도 모르는데 합니다. 그래도 일기보다 좀 나을지도 모르겠네요. 일기는 쓴 말 더 쓰니.


 지난해에는 편지 별로 못 썼어요. 백통은 넘었지만, 다른 해보다 덜 썼더라고요. 지난해에는 엽서를 별로 안 써서. 누군가 태어난 달이 오면 엽서를 쓰기도 했는데, 2023년에는 못 썼어요. 며칠 동안 날마다 엽서나 편지 받는 거 기분 좋을까요. 엽서는 읽는 데 1분도 안 걸릴지도. 짧아서. 짧은 순간이라도 엽서나 편지 받아서 기쁘다면 좋겠습니다.


 제가 편지를 쓰는 건 편지를 받아주는 사람이 있어서네요. 편지 받아줘서 고맙습니다.


20240119






 이번 것보다 다음에 써야 하는 게 걱정이다. 물음을 보니 쓸 게 없다. 난 왜 이렇게 쓸 게 없지. 물음에도 할 말이 없으니. 별로 말하고 싶지 않은 걸 물어봐서 그렇구나.




희선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24-01-21 07:1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4-01-22 01:10   URL
비밀 댓글입니다.
 
애쓰지 않아도 마음산책 짧은 소설
최은영 지음, 김세희 그림 / 마음산책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신이 겪은 일이나 생각을 누군가한테 다 말하는 사람 있겠지. 난 아니다. 말하고 싶지 않다. 말할 것이 없기도 하구나. 그것보다 내가 나를 이상하게 생각해설지도. 내가 나를 이해 못하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지 못하는가 보다. 어쩌다가 난 이렇게 됐을까. 나도 모르겠다. 그저 살다 보니 이렇게 흘러 온 거겠지. 난 부모, 엄마가 아이를 미워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누군가도 자식을 미워하는 부모는 없다고 말하던데, 그건 자신이 그래서 그렇게 생각하는 거 아니었을까. 마지막 이야기 <유급휴가>에 나오는 미리 마음을 다는 아니어도 알 것 같다. 가까운 친구인 현주는 그러지 못했지만. 자신을 온전히 이해하는 사람은 자신과 가까운 사람이 아닐 때도 있다. 처음 만난 사람한테 자기 이야기 하는 사람도 있지 않나. 그것도 소설에서 봤구나.


 짧은 소설이 담긴 《애쓰지 않아도》(최은영)에는 이야기가 열네편 담겼다. 친구 이야기가 많아 보이는 느낌이다. <애쓰지 않아도>에서 ‘나’는 엄마가 사이비 공동체에 간 걸 친하게 지내고 싶은 친구 유나한테만 말했는데, 유나는 그걸 다른 아이한테 말했다. 유나는 왜 그랬을까. ‘나’가 생각한 것처럼 언제나 ‘나’보다 유나가 먼저 다가왔을지. 사람 사이는 참 어렵다. <데비 챙>은 다른 나라에서 만난 친구 이야기구나. 최은영 소설엔 이런 이야기가 보이기도 하는구나. 이 이야기에서 인상 깊었던 건 남희가 장만옥을 처음 영화에서 보고 좋아하게 됐다는 말이다. 그걸 보면서 이건 최은영이 경험한 걸까 하는 생각을 잠깐 했다. 난 그런 일이 한번도 없어서. 누군가를 보고 바로 좋다고 느낀 적이 없다고 할까. 작가는 그런 감정도 잘 느껴야 하나 하는 생각을 했다.


 우연히 만나고 친구가 되고 헤어지는 이야기가 여러 편인 것 같구나. 친구로 보였는데 서로 좋아한 사이도 있는 것 같다. 서로 좋아하면 안 될 것 같아서 멀어진 <꿈결>. 다른 나라에서 만난 친구와 헤어지고 다시 만나지 못한 <숲의 꿈>. 사람 사이가 멀어지거나 끊기는 건 어쩔 수 없을지도. <우리가 배울 수 없는 것들>과 <한남동 옥상 수영장>은 편안해 보이는 사이다. <저녁 산책>에서 해주는 딸인 유리가 자신과 다르게 자유롭게 자신이 하고 싶은 걸 하고 살았으면 했는데, 세상이 그걸 막는 느낌이 든다. 왜 신부는 남자밖에 못 되지. 짧은 이야기도 여러 편이다. <우리가 그네를 타고 나눴던 말>은 이곳이 아닌 평행우주를 말하는구나. 사는 게 좀 더 나은 곳, 죽지 않은 곳. <운동>은 선생님과 중국사람 학생.


 옛날엔 사람과 마음을 나누고 살았는데 하는구나. 이웃과, <호시절>에서 한별은 부모와는 다르게 어린시절이 좋지는 않았다. 오히려 두려웠다. 그 마음 알 것 같기도 하구나. 전라도 사람이어서 멀리 하기도 하다니. 한별은 어른이 되고 영국 사람과 결혼하고 그곳에서 살았는데 은근히 인종차별을 받았다. 한별은 그때서야 어린시절 전라도 사람이어서 이웃들이 멀리하던 사람을 떠올렸다. <손편지>에서는 그땐 왜 몰랐을까 하는 마음이 보이는구나. 관심을 갖고 알려고 해도 몰랐을 것 같다. 상대가 말하지 않았을지도 모를 테니. <임보 일기>에선 고양이 이야기를 한다. 고양이가 나온 이야기는 이것만이 아니기는 하다. <안녕, 꾸꾸>는 병아리를 기르다 자라서 농장에 보내고는 닭고기를 먹지 않게 된 사람 이야기다. ‘나’가 닭을 좋아하고 그리워하는 걸 부모는 놀렸다. 그게 놀릴 일인가.


 여기 담긴 이야기를 보면서 자신을 이해하는 사람은 없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갑자기 사람이라는 게 슬펐다. 모두 이해받지 못해도 있는 그대로 봐주기는 하겠지. 그러기를 바란다.




희선





☆―


 일어나서 살아갈 하루에 대한 기대가 없어서, 일어나는 일이 그렇게 어려운 것일지도 몰랐다.  (<꿈결>에서, 58쪽)



 미리는 현주를 만나고 나서야 사랑은 엄연히 드러나는 것이라는 사실을 알았다. 사랑은 애써 증거를 찾아내야 하는 고통스러운 노동이 아니었다. 누군가의 심연 깊은 곳으로 내려가 네발로 기면서 어둠속에서 두려워하는 일도, 자신의 가치를 증명해야만 어렵게 받을 수 있는 보상도 아니었다. 사랑은 자연스럽고 부드러운 것이었다. 그 모든 사실을 알려준 건 현주였다. 현주와 함께 있을 때면 미리는 안전함을 느꼈다. 현주는 미리에게 미리의 존재 이외의 것들을 요구하지 않았다.  (<무급휴가)에서, 220쪽~221쪽)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넬로페 2024-01-19 10:2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 책의 내용도 궁금하지만
제목인 <애쓰지 않아도>가 일단 좋네요.
희선 님 뿐만 아니라 누구나 나를 드러내는 일이 힘들어요.
최은영 작가의 문장을 좋아해서 이 책도 읽어 보겠습니다^^

희선 2024-01-21 03:28   좋아요 1 | URL
애쓰지 않아도 될지 모르겠지만, 애써야 하는 것이 있기도 하네요 어쩌면 그렇게 해야 한다 생각하는 건지도...

자기 이야기 남한테 쉽게 하기 어렵겠지요 아주 친한 사이가 아니라면... 말해도 괜찮은 사람, 아예 모르는 사람한테 할지도...


희선

새파랑 2024-01-20 12:5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전 이 책 너무 좋았어서 책상 책꽂이에 꺼내놨습니다. 다시 읽으려고 ^^

자신이 겪은 일을 말하기도 쉽지 않지만 말할 상대가 있다는 것도 쉽지 않은거 같아요~~~!!

희선 2024-01-21 03:19   좋아요 1 | URL
정말 그러네요 들어줄 사람이 있어야 자기 일을 말하겠습니다 그런 사람 있는 사람 부럽네요 어떤 때는 모르는 사람한테 말할지도... 다시 읽으시려는군요

새파랑 님 남은 주말 편안하게 보내세요


희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