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24장 본문입니다.  

 

至誠之道 可以前知. 國家將興 必有禎祥 國家將亡 必有妖孼 見乎芪龜 動乎四體 禍復將至 善  必先知之 不善 必先知之. 故 至誠 如神.  

 

지극히 성실한 사람은 앞일을 먼저 알 수 있다. 국가가 장차 흥하려 하면 반드시 상서로운 징조가 있으며 국가가 장차 망하려 하면 반드시 흉한 징조가 있어서 시초(주역점)와 거북(거북점)에서 나타나고 몸에서 움직여진다. 화와 복이 장차 이를 경우 좋은 것도 반드시 먼저 알며 좋지 않은 것도 반드시 먼저 안다. 그러므로 지극한 성실함은 신과 같다.    

 

2. 온전히 적확한, 흐트러지지 않은 실천의 길을 가노라면 모름지기 예지력을 지니게 됩니다. 이 예지력은 무슨 신비주의를 말하는 게 아닙니다. 참된 소통을 통해 사람의 마음을 얻으면 그 흐름을 공감하고 알아차릴 수 있는 것입니다. 늘 백성과 더불어 호흡함으로써 그들의 일상을 꿰뚫고 있다면 오늘의 마음 씀, 몸놀림을 보고 내일을 아는 일 또한 일상적 수준에서 가능할 것입니다.   

 

백성의 선한 말, 바른 행동, 즐거운 노래, 행복한 웃음소리가 들리는데 어찌 나라가 망하겠습니까? 백성의 악한 말, 슬픈 노래, 고통스런 울음소리가 들리는데 어찌 나라가 망하지 않겠습니까?  징조란 것도 신비한 무엇이 결코 아닙니다. 하얀 구렁이가 나타났네, 돌부처가 눈물을 흘렸네...흥미롭기는 하나 그런 현상을 징조라 한다면 군자의 至誠으로 얻어지는  통찰력과는 실로 무관한 것이 아닐 수 없습니다.    

 

고대인의 복서(卜筮) 행위는 자기 성찰이라는 정갈한 바탕에서 이해해야 합니다. 자기 탐욕을 내려놓고 천지 이치에 귀 기울이는 행위를 다만 앞날을 예견하는 기술쯤으로 여겨서는 안 될 것입니다. 자기 탐욕을 내려놓는다는 의미에서는 백성을 위해 마음을 비운다는 것이요, 천지 이치에 귀 기울인다는 의미에서는 사태를 통합적으로 알아차리기 위해 마음을 챙긴다는 것입니다.  마음 비움과 마음 챙김의 역설적 일치에서 군자의 중용은 시대를 밝히는 빛이 됩니다.  

 

3. 이렇게 至誠은 신과 같습니다. 중용 명상을 통해 신통력을 얻게 된다는 말이 결코 아닙니다. 치열한 실천에서 증득(證得)되는 통찰력, 예지력은 자신을 자랑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그것으로 권력, 재물, 명예를 취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중용으로 이룬 大同 세상에서는 평등한 쌍방향 소통이 있을 뿐이거늘 무슨 억압과 차별과 소외가 있을 것입니까? 혁명의 기득권과 전리품을 내려놓고 밀림으로 돌아간 체 게바라가 바로 至誠의 화현이요 신입니다.   

 

4. 일전 주역의 최고봉으로 일컬어지는 대산 선생과 인터뷰한 기사를 어느 일간지에서 읽었습니다. 그 어른께서 2012년에 어진 지도자가 난다고 하시더군요. 주역을 풀어 말씀하신 것을 중용적 실천에 따른 통찰력과 그대로 일치시키는 것이 가당한지 잘 모르겠지만 일단 그 예언을 믿고 싶은 마음 간절합니다. 지금 세월이 너무나 신산하기 때문이지요.    

 

그러나 사실 거꾸로 된 생각이 더 큽니다. 왜 저 어르신은 그런 일이 일어나도록 역사의 한가운데서 백성의 각성을 이끄시지 않을까, 주역에 기대어 예언하는 게 주역을 배운 이들의 최상의 실천은 아닐 텐데, 한 걸음 더 나아가 과연 그 어진 지도자가 누굴 말하는지, 아니 어떤 이를 세워야 할지, 말해야 하지 않을까.......이런 생각 말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제23장 본문입니다.  

 

其次 致曲. 曲能有誠. 誠則形 形則著 著則明 明則動 動則變 變則化 唯天下至誠 爲能化.  

 

그 다음은 한 부분을 이루는 것이다. 한 부분에 지극하면 誠이 있을 수 있다. 정성스러우면 나타나고 나타나면 드러나며 드러나면 밝아지고 밝아지면 움직이고 움직이면 변하고 변하면 화(化)한다. 오직 천하의 정성스러움만이 化할 수 있다.  

 

2. 여태까지 기초적 본문 읽기는 이기동 역(譯)을 따랐지만 구체적 내용에서는 명사적 독법을 대부분 따르지 않고 제 나름의 이해를 펼쳐 왔습니다. 이 장에서는 처음부터  아예 번역 자체를 문제 삼아야 할 일이 생겼습니다. 바로 치곡(致曲) 문제입니다. 주희가 曲을 '모퉁이'라고 했다는군요. 자연스럽지 않습니다. 이기동은 '한 부분‘으로 읽어 致曲을 '한 부분을 이루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지극한 誠이 어려울 때는 차선으로 한 부분부터 시작한다는 내용으로 이어집니다.  

 

이 또한 주희 식 명사적 독법입니다. 저는 曲을 '곡진하게 (행) 하다'는 뜻으로 읽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모퉁이든 한 부분이든 그 것을 명사로 읽으면 치곡능유성(致曲能有誠)이 아니고  곡능유성(曲能有誠)이라 한 본문을 설명하기 궁합니다. 그리고 본문 맨 앞에 있는 기차(其次)를 보면 이 장이 바로 앞장인 제22장과 문맥상 연결해서 읽어야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앞 장의 키워드 중 하나인 진(盡)은 여기의 曲이고, 화육(化育)은 여기의 化입니다.   

 

3. 곡진하다는 말은 자세하고 간곡하다는 뜻이므로 자연스럽게 誠과 연속성을 지니게 됩니다. 그래서 曲能有誠인 것이지요. 誠에 진정성을, 간절함, 섬세함을 부여한 또 다른 표현이 바로 曲입니다. 曲으로 표현된 誠은 치밀한 과정을 밟아 至誠으로 나아갑니다.  

곡진하게 誠의 실천을 통해 중용적 삶의 얼개를 그리는(形) 것이 첫 번째 과정입니다. 아마도 자신의 삶을 중용의 도에 정향(定向)하는 일일 것입니다. 선택하고 선언하고 약속하는 순간들이 모여서 그 방향과 테두리를 잡아 갈 것입니다.  

 

그  윤곽에 내용을 채워 확연하게 드러내는(著) 과정이 그 다음입니다. 드러낸다는 말은 자랑한다거나, 무기로 삼는다는 뜻과는 거리가 멉니다. 실천의 열매들이 무르익고 쟁여져서 자연스럽게 밖으로 넘쳐나는 현상을 묘사한 것입니다.   

 

그런 삶을 통해 도리를 명쾌하게 꿰뚫는(明) 과정이 세 번째 과정입니다. 단순한 지적 깨달음이 아니라 실천에서 오는 이른바 증득(證得)입니다. 몸으로 아는 것이지요. 그런 行知로써 세상사는 이치를 밝히는 일은 다만 개인의 삶을 넘어 사회적 차원으로 확대되어야 하는  중용의 위상에 부합하는 것입니다.  

 

네 번째 과정은 거침없이 大同을 향해 움직이는(動) 단계입니다. 밝히는(明) 목적은 일으켜 세우기 위함입니다. 앞으로 나아가게 하기 위함입니다. 중용이 구가하는 사회동원력이 바로 動 한 글자에 실려 있습니다.  중용은 결코 책상머리 놀음이 아닙니다.  

 

그리고 바꾸는(變) 다섯 번째 과정으로 진입합니다. 움직이되, 나아가되 혁파가 없다면 무의미합니다. 승자와 강자가 모든 것을 독식하는 악한 체제를 무너뜨리는 구체적인 힘으로 나타나지 않는 중용은 중용이 아닙니다. 특별하고, 잘난 소수가 백성 위에 군림하는 세상을 뒤흔드는 함성으로 들리지 않는 중용은 중용이 아닙니다.  

 

마침내 大同으로 질적 전환하는 화(化)의 경지에 도달합니다. 저 舜이 이룩한 세상, 온 생명이 평등하게 상호 소통함으로써 함께 자유롭고 더불어 평화로운 누리를 만드는 과정입니다. 이런 세상의 꿈을 간직한 곡진한 발걸음  하나하나가  어둠을 뚫는 촛불이 되어 중용천지를 만들어 갑니다.  

 

4. 우리는 오늘날  반중용적 헤게모니 블록이 대놓고 권력을 사유화함으로써 무참하게 중용천지가 도륙되는 상황을 목도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백성의 손과 발이 되어 반중용의 폭거를저지해야 할 사람들이 곡진한 실천을 통해 나라의 앞길을 닦지도 않고, 꿰뚫고 나아가 악을 혁파하지도 않고, 결국 새 세상을 만들지도 않으면서 입만 열면  백성 위한다고 떠드는 소리를 듣고 살아갑니다.  언제까지 슬픈 마음으로 저 오만방자한, 또는 입만 살아 있는 엘리트들이 變하고 化하기를 빌고 있어야 할는지요....... 정녕 이제는 우리 백성이 사화산 되고 만 것인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제22장 본문입니다.  

 

唯天下至誠 爲能盡其性. 能盡其性則能盡人之性 能盡人之性則能盡物之性 能盡物之性則可以贊天地之化育.  可以贊天地之化育則可以與天地參矣.  

 

오직 천하의 지극한 정성스러움만이 자기의 성(性)을 다할 수 있다. 자기의 성을 다할 수 있으면 남의 性을 다할 수 있고 남의 性을 다할 수 있으면 물(物)의 性을 다할 수 있으며  물(物)의 性을 다할 수 있으면 천지의 화육을 도울 수 있다. 천지의 화육을 도울 수 있으면 천지와 하나가 될 수 있다.   

 

2. 흔히 훌륭한 사람이 훌륭한 일을 한다고 생각합니다. 본성이 훌륭하면 그에 걸맞는 행위가 나온다는 뜻이겠지요. 하지만 그런 식이라면 세상에 어떤 사람은 본성이 훌륭하며 또 어떤 사람은 본성이 훌륭하지 않은가에 대한 선험적 구별을 전제해야 합니다. 저는 그런 구별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설혹 있다 해도 누가 그것을 알겠습니까?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그가 하는 실천을 보고 나서입니다. 한 사람은 자신이 선택한 만큼 그 사람입니다. 자신이 실천한 만큼 그 사람입니다. 실천되지 않은 관념이나 지식이나 자세는 아직 그 사람이 아닙니다. 지극한 실천(至誠), 온 힘을 다한 선택만이 자기 본성을 나타낼 뿐입니다. 선택하지 않은, 실천하지 않은 부분을 자신이라고 우겨서는 안 됩니다. 그것은 탐욕입니다. 탐욕을 거절하고, 견뎌야 합니다. 그래야 사람입니다. 그래야 중용의 이치 앞에 부끄럽지 않은 삶입니다.  

 

이렇게 실천의 자리에만 자신의 본성을 매겨 넣어야 타인과 소통할 수 있습니다. 참 소통은 실천의 소통입니다. 실천으로 관통하고 실천으로 흡수하는 것입니다. 거기서 비로소 참 인식의 통합이 꽃피는 것입니다. 그렇게 나타난 실천의 연대가 바로 사회적 본성입니다. 중용의 사회적 본질이 여기서 생겨납니다.  

 

인간사회가 중용의 이치를 담는 최종적 그릇은 아닙니다. 인간 아닌 존재, 그것이 생명이든 아니든 우리와 함께 시공간을 지나는 모든 존재와 소통함으로써 중용은 생태학적 지평을 획득합니다. 이름 없는 풀 한 포기, 눈에 띄지 조차 않는  작은 벌레 한 마리, 돌 하나, 아니 물 한 방울까지 우리와 본성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이들 모두를 우리가 사랑하고, 배려하고, 보살핍니다. 그들 모두도 우리를 사랑하고, 배려하고, 보살핍니다.  

 

세계가 온정으로 가득 차 있다는 유아적 허상을 말하려는 게 아닙니다. 모든 존재가 서로 마주한 주체이며, 소통의 동등한 당사자라는 사실을 말하려는 것입니다. 일방적 제압, 착취는 있을 수 없습니다. 더불어 새로워지고 자라야(化育) 합니다. 서로 경이로움을 향해 이끌어주어야 합니다. 함께 그 존재 가치를 맘껏 펼쳐야 합니다. 이 경지가 大同입니다. 우리가 천지와 하나 되는(與天地參) 궁극의 차원입니다.  

 

그렇습니다. 천지와 하나 되는 일은 초월명상이나 면벽참선에서 일어나는 신비 현상이 결코 아닙니다. 지극한 실천의 부단한 확산, 치열한 선택의 무궁무진한 증폭을 통해 그리 되는 것입니다. 至誠에서 與天地參에 이르는 길가에 신비주의와 관념론이 더러 꽃으로 피어 우리를 잠시 쉬게 할 수는 있으나 여독이 풀리면 이내 일어서서 다시 걸어야만 합니다. 몸이 지나가지 않는 여정은 다 헛것입니다.   

 

3. 함께 살아야 할 인간 외 생명, 나아가 우리 모두의 삶의 근거이자 조건인 생태계 전반을 송두리째 망가뜨리는 무서운 짓을 서슴없이 저지르면서도 자신들이 무엇을 하는지조차 깨닫지 못하는 사람들이 이 세상을 지배하고 있습니다. 지금 당장은 저들이 승리하고 저들이 독식할 것입니다. 그러나 머지않아  반드시 그 대가를 치를 것입니다. 하지만 문제는 그들만 대가를 치르는 게 아니라는 데 있습니다. 비는 선악을 따지지 않고 내리는 법이니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제21장 본문입니다.  

 

自誠明 謂之性 自明誠 謂之敎. 誠則明矣 明則誠矣.  

 

정성스러움으로 말미암아 밝아지는 것을 성(性)의 작용이라 하고 밝음으로 말미암아 정성스러워지는 것을 교(敎)의 효과라 한다.  정성스러우면 밝아지고 밝아지면 정성스러워진다.    

 

2. 치열한 실천을 통해 이치를 깨닫게 되는 것은 생명의 타고난 본디 작용(性)입니다. 이치를 깨우쳐서 적확하게 실천하는 것은 가르침(敎)의 결과입니다. 하지만 둘은 결국 하나입니다. 실천할수록 명쾌하게 깨달아지고 꿰뚫어 알수록 옹골차게 실천하는 법입니다. 인식과 실천은 둘이면서 하나요, 하나면서 둘입니다. 아주 진부한 말이지만 한 순간이라도 소홀히 할 수 없는 진실입니다.     

 

전통적인 해석이 誠을 한사코 '정성스러움', '성실함'으로 파악함으로써 내적 자세 정도로 묶어두는 흐름이 굳어졌습니다만 앞에서도 밝힌 바와 같이 우리는 誠을 철저히 동사적 의미로 읽습니다.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실천이라는 뜻입니다. 물론 정성스러움, 성실함의 의미가 없다는 말은 아닙니다. 그런 내포를 넘어 적확하고, 어김없는 실천의 뜻까지도 담아낸다는 말입니다.  

 

明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밝음'이라하든 '밝아진다.'라고 하든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측면이 드러나지 않는 해석이라는 점에서는 차이가 없습니다. 明은 선택과 결단에 의거한 인식 추구 행위입니다. 따라서 억압이 상존하는 상황에서 그 어둠을 뚫고 올바른 인식을 지니는 것 자체가 이미 실천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인식은 쉽고 실천이 어렵다고 말합니다. 허나 반은 맞고 반은 틀린 말입니다. 억압이 합리화된 사회일수록 인식의 전환이 훨씬 더 어렵습니다. 한 때 반독재 투쟁에서 전설적 실천가였던 사람들이 어떻게 인식의 환원을 통해 스러져 갔는지 우리는 수없이 목도한 바 있습니다. 올바른 인식은 그 자체로 벡터적 동력을 지니는 법입니다. 그들이 변절했다는 것은 그들의 인식이 피상적인 수준에 머물렀다는 것입니다. 그들은 세상이 바뀌었다고 말합니다. 그래서 자기도 바꿨다고 말합니다. 그 말이 얼마나 우스운 것인지는 "잃어버린 10년" 운운 하는 자들이 지금 만들고 있는 우리사회의 모습을 보면 너무나도 확연하게 알 수 있습니다. 설혹 세상이 바뀌었다고 하더라도 그렇게 바꾼 주체들을 짐승 취급하면서 어떻게 그 열매는 독식하려 드는 것인지 그 심사를 도무지 헤아리기 어렵습니다.    

 

明은 誠의 또 다른 표현입니다. 한결같은 실천 안에서 明은 明입니다. 誠은 明의 또 다른 표현입니다. 제 방향을 잡은 인식 안에서 誠은 誠입니다.  

 

3. 일전 송년 모임에 갔는데 뜻하지 않게 정치 이야기가 나오는 바람에 30년 넘게 공무원으로 일한 친구와 가벼운 설전을 벌이게 되었습니다. 그는 전직 대통령에게는 입에 담지 못할 욕을 해대면서 현직 대통령은 신 대하듯 했습니다. 그의 입에서 흘러나오는 정보와 지식은 죄다 일방적 홍보에 의존한, 한 방향으로만 줄을 선 것들이었습니다. 대화가 불가능했습니다. 소주 한 잔 따라주면서 이렇게 말 하고는 이야기를 접었습니다.  

 

“찬 소주 한 잔 하고 정신 좀 차려야겠구만, 자네!”     

 

돌아오면서 그 친구와 같은 사람들이 참으로 많다는 사실을 생각하니 깊은 좌절감이 느껴졌습니다. 늘 훈계조에다 단정적인 어법으로 자신의 배타적 인식과 실천의 악순환 구조를 강화하는 사람들에게 誠과 明의 선순환이 과연 가능할까....... 이런 사람들의 세상을 어떤 지혜와 인내로 살아내야 할지, 연거푸 들이켠 술 때문에 몸은 흔들리는데, 정신은 명료해지기만 하고, 어허, 이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제20장 일곱 번째 문단입니다.  

 

誠者天之道也 誠之者人之道也. 誠者不勉而中 不思而得 從容中道聖人也. 誠之者 擇善而固執之者也.  博學之 審問之 愼思之 明辨之 篤行之. 有弗學 學之 弗能弗措也. 有弗問 問之 弗知弗措也. 有弗思 思之 弗得弗措也. 有弗辨 辨之 弗明弗措也. 有弗行 行之 弗篤弗措也. 人一能之己百之 人十能之己千之. 果能此道矣 雖愚 必明 雖柔 必强.    

 

誠은 하늘의 도이고 誠해지려고 노력하는 것은 사람의 도이다. 誠한 자는 힘쓰지 않아도 적중하고 생각하지 않아도 얻게 되며 저절로 도에 적중하니 성인이다. 誠해지려고 하는 자는 선을 택해서 굳게 붙잡는 자이다. 널리 배우고 자세히 물으며 신중히 생각하고 명확히 분별하며 돈독하게 행한다. 배우지 않음이 있을지언정 배운다면 능해지지 않고는 그만두지 않는다. 묻지 않음이 있을지언정 묻는다면 알지 않고는 그만두지 않는다. 생각하지 않음이 있을지언정 생각하면 얻지 않고는 그만두지 않는다. 분별하지 않음이 있을지언정 분별하면 밝히지 않고는 그만두지 않는다. 행하지 않음이 있을지언정 행하면 독실하지 않고는 그만두지 않는다. 남이 하나를 할 수 있으면 자기는 백을 하고 남이 열을 할 수 있으면 자기는 천을 한다. 과연 이 방법을 할 수 있으면 비록 어리석어도 반드시 밝아지며 비록 연약하더라도 반드시 강해진다.  

 

2. 길고 긴 제20장이 이제야 끝납니다. 처음에는, 울퉁불퉁하고 부자연스러워서 앞부분을 모조리 없애고 딱 이 문단만 가지고 제20장 공부를 하려고 했습니다. 사실 이 내용만으로도 誠 이야기를 시작하기에 모자람이 없습니다. 다만 오랜 세월에 걸쳐 사회적 타당성을 획득해 가며 의미군을 쟁여 온 텍스트라는 역사적 현실성을 인정해 수신(修身)을 지도리 삼아 중용과 誠을 연결하는 문맥으로 이전 문단들을 자리매김 해 본 것입니다.  

 

그래도 이 정도 자유나마 누릴 수 있는 세상이 고맙습니다. 조선시대 윤휴는 주희와 다른 해석을 했다 해서 사문난적으로 몰려 죽임까지 당했으니 말입니다. 물론 지금 세상은 지금 세상대로 더 가혹한 질곡이 있지만 주희가 산 사람을 죽이지는 않으니 그 아니 다행이겠습니까.  

 

3. 다시 말씀드리거니와 誠은 성실함, 정성스러움이라고 이해하기에 앞서 중용의 中과 본질적으로 같은 뜻으로 새겨야 합니다. 제16장에서 살폈듯이 만물의 주체로서 도에서 무엇 하나도 빠뜨리지 않고(體物而不可遺) 치열하게 실천한다는 역동적 의미를 가지는 말입니다. 그래서 적확하다, 벗어나지 않는다, 어긋나지 않는다는 내포로서 中과 연속되는 것입니다.  

 

본문은 완전한 誠과 애쓰는 誠之를 구별합니다. 완전한 誠이야 舜 임금 같은 성인이나 할 수 있는 경지이니 현실적으로는 오로지 푯대요 깃발일 뿐입니다. 나머지 우리 모두는 찰나 찰나 선을 택해서 굳게 붙잡아야 하는(擇善而固執之) 노력 과정 자체로 살아갑니다. 늘 깨어서, 널리 배우고 자세히 물으며 신중히 생각하고 명확히 분별하며 돈독하게 행하는(博學之 審問之 愼思之 明辨之 篤行之) 순간순간을 무릎으로 지나갑니다.  

 

안 하면 몰라도 하려 들면 하고자 하는 바가 이루어질 때까지 멈추지 않는 열정으로 남보다 더 분투하는 과정에서 우유(愚柔)가 명강(明强)으로 바뀝니다.  그렇습니다. 바로 그 과정 자체가 誠입니다. 평범한 사람의 미련하고 어리석은 실천이 한 줄기 한 줄기 모여 중용의 강을 이루어 냅니다.    

 

중용은 존재가 아닙니다. 중용은 실천입니다. 중용은 결과가 아닙니다. 중용은 과정입니다. 중용은 완성이 아닙니다. 중용은 영원한 노력입니다. 중용은 특별한 자의 포효가 아닙니다. 중용은 평범한 자의 함성입니다. 바로 이런 중용의 모습을 돋을새김 한 표현이 誠입니다.  

 

4. 인터넷으로 열린 새로운 세상을 폄훼하고 통제하려는 자들이 여전히 독기를 뿜어내고 있습니다. 아마 앞으로도 당분간 계속 되겠지요. 아마도 인터넷 세상의 주체들이 거의 완벽에 가까운 분산, 평등형 주체이기 때문에 통괄지휘가 불가능하다는 사실 때문일 것입니다. 그러나 이런 무제약과 소란함을 통해서 그들은 쌍방향 소통을 합니다. 바로 이게 희망입니다.  

 

아마도 이들이 이른바 "21세기 중용집단"의 원형이 될 것입니다. 쌍방향 소통으로써 배우고(學), 묻고(問), 생각하고(思), 분별하고(辨), 실천하는(行) 자율 주체로서 자신이 바라는 사회를 구성해 가는 평범한 성지자(誠之者)인데 더 이상 누구의 훈계 따위를 들어야 할까요? 그들의 직관과 담론을 희화화하는 자들은 지금 제 발등을 찍고 있음에 틀림없습니다.    

 

오늘 그들은 어리석다(愚), 약하다(柔) 무시당하지만 내일 그들은 밝고도(明) 강한(强) 시민으로서 성숙한 한국사회의 주인공이 될 것입니다. 그들이 이룩할 중용세상, 저 大同을 희망으로 부둥켜안고 지금 우리를 에워싼 어둠, 견뎌내야 하지 않을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