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빵과 서커스 - 2,000년을 견뎌낸 로마 유산의 증언
나카가와 요시타카 지음, 임해성 옮김 / 예문아카이브 / 2019년 4월
평점 :
빵과 서커스가 '포퓰리즘'의 대명사로 쓰인다는 사실도 몰랐거니와 그래서 그런지 책 제목이 상징하는 바를 처음에는 알지 못했다. 먹을 식량을 주어 배고픔을 모르게 해주고 즐겁게 즐길 수 있는 휴식거리만 준다면 국민들은 정치와 같은 일에 크게 관심을 갖지 않는다고 본 시인도 있지만 로마의 타락은 이와 크게 관련 없음을 보여준다.
흔히들 로마를 이야기할 때 쾌락과 사치를 일삼다가 몰락했다는 이야기들을 많이 한다. 하지만 이 책은 꼭 그렇지만은 않다고 이야기를 하고 있다. 오히려 건축이나 토목의 관점에서 로마를 바라보고 있는 색다른 관점을 보여준다.
문화유산이 오늘날까지 남아 로마를 말해주는데 아직까지 로마에 가본 적이 없어서 이러한 문화유산들이 어떻게 오늘날까지 이어져 오고 있는지를 직접 확인할 기회는 없었다. 하지만 책을 통해 로마의 문화 유산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토목과 건축이 발달하면서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번영을 누려왔다. 하지만 영원할 것만 같았던 로마 제국의 멸망 과정과 원인을 하나씩 밝혀내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로마하면 훌륭한 문화 유산을 빼놓을 수 없을 것이다. 콜로세움을 비롯한 신전, 도서관 등 다양한 곳을 책을 통해서나마 간접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는 점이 이 책의 또 하나의 매력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생생한 사진들을 통해 눈앞에서 문화 유산들을 둘러보고 있다는 착각을 조금이나마 할 수 있었으니 말이다.
콜로세움만 하더라도 로마인들의 모습이 잘 드러난다. 뿐만아니라 검투사의 나라라고 할만큼 평상시에도 죽음이나 전투에 대해 익숙해지도록 하는 역할도 있었다고 하는 검투사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수 있었고 원형 극장의 모습과 원형 경기장 등을 통해 그 때의 영광스런 로마의 모습들을 오늘에까지 전해주고 있는 듯하다.
2000년을 견뎌낸 로마 유산을 통해 만약 로마 제국이 멸망하지 않았다면 오늘날의 역사는 어떻게 바뀌었을지 의미 없을지도 모를 상상을 해보게 한다. 만약 이 상상이 현실에서 일어났다면 오늘날의 세계 역사와 인류의 모습이 크게 달라지지 않았을까 하는 기대를 해본다.
로마의 발자취를 독특한 시각에서 살펴볼 수 있었다는 점 만으로도 로마 이야기를 다룬 다른 책들과 차별화되어 있지 않았나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