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집을 위한 인문학 - 집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노은주.임형남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19년 11월
평점 :
평소 집에 대한 이야기와 건축물에 관심이 많은 편이여서 텔레비전 프로그램 중에서도 건축과 관련된 이야기를 다룬 프로그램은 잘 찾아보는 편이다. 이 책을 지은 저자는 방송을 통해 자주 보던 건축가 부부이다. 이들과 함께 집이 우리에게 어떤 의미인지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이었던 것 같다.
이 책에서도 언급되어 있듯이 아직도 많은 사람들은 집을 재테크의 수단으로 보기도 하고 크고 외관이 화려한 집을 좋은 집이라고 생각하기도 하고 부러워하기도 한다. 아파트에서 벗어나기로 결심한 우리 부부도 어떤 집에서 우리가 살고 싶은지를 고민하며 집을 지었다. 그리고 우리의 생활 패턴을 잘 반영한 집을 통해 가족 구성원 모두가 만족하며 생활을 하고 있다. 하지만 처음 우리가 집을 지었을 때만 하더라도 많은 사람들이 집에 대해 참견 아닌 참견을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대부분 동네의 어른들은 마당이 비교적 넓은 우리 집을 보면서 집을 좀 더 크게 짓지 않은 것에 대한 이야기들을 했다. 물론 젊은 사람들 중에도 자신은 집을 크게 짓고 싶었다면서 집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하곤 했다.
많은 사람들을 접하면서 아파트 뿐만아니라 주택 역시도 많은 이들은 무조건 큰 집을 선호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하지만 이 책은 그런 의미에서의 집이 아닌 정말 사람이 사는 공간으로서의 집의 의미에 대해 다시 한 번 제대로 생각하게 해준다.
책 속에 나와 있는 집들의 모습을 보고 있으면 그 집의 주인이 누구인지 잘 알지 못하더라도 어떤 사람들이 살고 있을지 그들의 모습이 조금은 상상이 간다. 그들의 생활 패턴과 가치를 담은 집이여서 더 그런 것 같다. 책 속에 담겨 있는 여러 집의 사진들이 직접 그 건축물을 보고 있는 것처럼 기분 좋아지고 설레게 만든다. 내가 그 집의 주인도 아니면서 말이다.
가족, 사람, 자연, 이야기를 품은 집.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다. 내가 오랜 시간동안 자라오고 유년시절을 보낸 집에는 어떤 것들을 품은 집이었을까라는 생각 말이다. 주거공간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였던 것 같은데 이제는 우리 가족과 자연, 사람, 이야기를 품은 집으로 탈바꿈하고 있는 것 같다.
이제는 많은 사람들도 크고 화려한 집보다는 자신들의 이야기와 삶을 담아낸 집에 살았으면 좋겠다. 타인의 집을 바라볼 때도 그 가족들의 이야기가 잘 담겨 있는 집이란 생각으로 바라보면 더 좋을 것 같다. 아울러 아파트에서 벗어나 자신들의 이야기를 담은 집들이 더 많아지길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