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년세세 - 황정은 연작소설
황정은 지음 / 창비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학시절에 내가 부모님과 셋이서 살때, 안방보다 내 방이 화장실과 가까웠다.
(바로 옆이었다)
늦은 사춘기였을까?
아무래도 아빠가 화장실을 쓴 뒤 바로 이어 쓰는게 조금 찜찜하던 때였다.
어느 날 ‘화장실을 가야겠다. ‘생각하던 찰나에 아빠가 화장실을 가려는 인기척을 느꼈다. 순간 나는 먼저 가기위해 문을 열고 화장실로 뛰어들어갔고 화장실로 천천히 걸어오던 아빠는 ˝에이참!˝ 하며 아쉬워했다. 화장실을 선점한 나는 그 말을 듣고 그 안에서 얼마나 웃었던지. 한참이 지난 지금도 그 때를 생각하면 폐가 들썩이는 기분이다.

그리고 한참 뒤 돌아가시기 얼마전 아빠와 함께 골목길을 걷던 따뜻한 늦가을 이었다. 쨍쨍한 햇살 아래 거동이 힘들던 아빠는 어느 한옥집 대문앞 계단에 잠시 앉았다. 아빠는 당시 몸이 많이 약해진 상태였는데 덩달아 마음도약해진 탓에 전에는 안하던 말도 더러 하곤했다. 그날은 계단에 같이 앉아 내 손을 잡으면서 ˝미안하다 미안해˝를 반복하며 아빠는 어린아이처럼울었다.  뭐가 미안하다는 건지 자세한 설명도 없이 그렇게 말하면서 허탈해 하는데 나도 묻지 않았고 그런 상황이 더 슬펐던것 같다. 어느순간 나도 덩달아, 늙고 지친아빠가 가여워 울음을 겨우겨우 먹고 있는데, 길을 지나가던 아주머니는 황당하다는 표정으로 우릴 빤히 쳐다봤다.
나이든 할아버지와 웬 여자가 길에서 그러고 있으니 정말 기이했으리라.

아빠와의 기억중 가장 좋았던건 이 두가지다. 어쩌면 아빠의 가장  약한 모습이었기에 가장 기억에 남는지도 모르겠다.
지금은 돌아가시고 내 곁에 없는 나의 아빠. 권위적이고 언성이 높은 편이어서  가까이하기 힘들었고 그로인해 가족들에게 오해를 많이 받으신 분.

가족이란 뭘까? 이 소설을 읽으며 그런 질문들이 떠올랐다. 많은 것을 나누면 나눈대로 그렇지 못하고 멀찌감치 거리를 두고 살아왔음 또 그런대로 우리에게 복잡한 의미를 던져주는 존재.


누구나 자기 부모의 어떤 이미지로 바보도되고 울보도된다.

댓글(19) 먼댓글(0) 좋아요(4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21-01-15 15:28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저는 황정은 소설 그간 다 찾아 읽는 편이었는데 어쩐지 이 소설은 바로 읽게 되질 않더라고요. 그런데 미미님의 이 리뷰를 보는 순간 이 책을 읽어야겠다 결심하게 됩니다. 장바구니에 담겠습니다.
전 아빠에게 무서운 딸인데 조금 더 다정해지도록 해야겠어요.

미미 2021-01-15 15:37   좋아요 3 | URL
책 덮고 글올리고 나서 잠시먹먹하다 다락방님땜 저 또 웃음터짐요.ㅋㅋㅋㅋ외모는 아나스타샤, 성격은 안젤리나 졸리인거맞죠?!ㅋㅋㅋㅋ

다락방 2021-01-15 16:45   좋아요 2 | URL
네?
우리 그걸 확인하지는 않기로 해요. 서로를 위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행복한책읽기 2021-01-15 15:31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바보와 울보 사이. 부모는 자식을 그런 존재로 만드나봐요. 전 첫 단편 이장만 읽고 모셔두고 있어요. ㅡㅡ

미미 2021-01-15 15:39   좋아요 2 | URL
그러게 말이예요!! 초중반에 두번쯤 울었네요. 그닥 작가도 그럴의도는없어보이는 곳에서요ㅋㅋ

scott 2021-01-15 15:35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누구나 자기 부모의 어떤 이미지로 바보도되고 울보도된다] 전 울보로 모든걸 다 내것으로 만들었던 막둥이였는데,,,터울이 큰 형제들 한테 밀리지 않을려고, 미미님 말씀처럼 가족이란 무얼 까요 ? 우리모두 가족에게 어떤 모습으로 기억되고 있을까요? 황정은 소설보다 미미님 리뷰가 더 마음에 와닿는 구절이 많습니다.

미미 2021-01-15 15:43   좋아요 3 | URL
(지금 저는 어쩔줄 몰라하고 있습니다ㅋㅋㅋㅋ)그니깐요. 어쩔땐 정말 밉다가도 또 어쩔땐 마음이 너무 아프니까요. 저는 스콧님. 외동이었어요*^^*

페넬로페 2021-01-15 16:19   좋아요 3 | URL
scott님
저도 막둥이예요~~
저는 반대로 언니, 오빠에게
밀리는 전략으로 여지껏 편안히
한없이 받으며 살고 있어요 ㅎㅎ

페넬로페 2021-01-15 16:19   좋아요 3 | URL
미미에서 풍겨지는 외동딸의 냄새^^

다락방 2021-01-15 16:46   좋아요 4 | URL
아 너무 끼어들고 싶네요.
저는 코리안 장녀 입니다!!! ㅋㅋㅋㅋㅋ

페넬로페 2021-01-15 17:38   좋아요 3 | URL
코리안 장녀!
장남과는 다르게 또 무겁습니다.
뭔가 권위적이지 않아야하면서
많은걸 어깨에 짊어져야하는 언니, 누나^^

scott 2021-01-15 19:43   좋아요 3 | URL
역쉬 !
댓글들은 山으로 ㅋㅋㅋ

막둥이들 만쉐
(๑˃̵ᴗ˂̵)و ♡

붕붕툐툐 2021-01-17 19:48   좋아요 1 | URL
막둥이 하나 추가요!!:)

페넬로페 2021-01-15 16:14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미미님 글읽고 제가 울컥하네요~~
전 연년세세 읽으며 책 속의 인물보다
왜그리 제 가족과 주위의 친족분들이 생각나던지 모르겠어요^^
책속의 주인공들을 그들이 덮었거든요~~
그래서 저는 이 소설이 좋았어요
모국어로 쓰여진 여자가 쓴 글을
저는 좋아해요**

미미 2021-01-15 16:26   좋아요 3 | URL
페넬로페님도 그러셨군요!! 가족에 관해서라면 누구나 자기들의 이야기가 있으니 그런것 같아요~제각각이지만 또 이렇게 함께 공감할 수 있는것도 놀랍구 좋네요~♡

붕붕툐툐 2021-01-17 19:50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저는 아부지가 너무 무서웠는데, 너무 일찍 돌아가시는 바람에 그렇게 관계가 끝났다는게 지금까지도 많이 아쉬운 부분이에요..ㅠㅠ 읽고 싶은 책장에 담아가요^^

미미 2021-01-17 20:01   좋아요 1 | URL
그랬군요! ㅠㅡㅠ
이 책에서 아버지 얘기가 특별히 많이 나온것도 없는데 이런 추억이 떠올랐어요.

2021-01-17 19:5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01-17 20:55   URL
비밀 댓글입니다.
 

많이들 그러리라 생각되는데 어릴때 학교에서 배우자마자 머릿속에 새겨져 버린 <서시>, 그리고 늘 마음을 울려 버리곤 하는 <별 헤는 밤>다시 읽어도 읽어도 좋네요.
읽다보면 어느순간 부터 강하늘 목소리로 재생되는 것도 참 신기했습니다.
영화 <동주>아직 못봤는데 말이죠.


댓글(6) 먼댓글(0) 좋아요(3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cott 2020-12-30 20: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송우혜작가가 쓴 윤동주 평전을 다시 읽고 있는데 사촌에 행적에 의문이 아직도 많아요 ㅜ.ㅜ

미미 2020-12-30 20:51   좋아요 1 | URL
그래요?궁금해요!!저도 읽어볼래요!

행복한책읽기 2020-12-30 23:45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영화 동주는 슬퍼요

미미 2020-12-31 00:11   좋아요 1 | URL
각오를 단단히 하고 봐야겠어요^^*

하나의책장 2020-12-31 16:1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미미님~ 벌써 한 해의 마지막 날이네요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미미 2020-12-31 16:39   좋아요 1 | URL
그러게 말이예요ㅋㅋ아쉽고도 두근두근! 하나님도 해피뉴이얼요! ♡.♡
 
브람스를 좋아하세요...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79
프랑수아즈 사강 지음, 김남주 옮김 / 민음사 / 200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통과 환희의 순간들...>은 아무래도 와닿지 않았다. 마침 <수용소 군도>를 읽던 중이었고 마침 등장한 1956년이라는 그녀의 시대적 배경, 재즈와 마약, 도박,스피드, 사르트르에 대한 그녀의 경의에 한숨과 씁쓸함만 더했다. 제목을 <풍요와 한계를 넘나들며>로 지었으면 어땠을까. 스피드를 즐기다 3일간 무의식의 경계까지 넘나든 실제 경험만 해도 그렇다. 그래도 어찌어찌 인내를 발휘해 절반이상은 읽어냈다. 그리고 양심껏 다 읽은 책에 넣지 않았다. 와중에 찰스 부코스키의 <죽음을 주머니에 넣고>와 페기 구겐하임의 자서전이 떠올랐다.

그리고 나서 <브람스를 좋아하세요>를 읽는 순간. 그녀의 천재성이 무엇인지 그제야 이해했다. ‘여기에는 감동이 있고 저기에는 유머가 넘쳤던 것‘ (<고통과 환희의 순간>의 편집자의 머릿말)은 오히려 그녀의 삶보다는 작품이었다.

대화속에서, 의식속에서 흘러나오는 이런저런 의미와 표현들이 가슴과 머리로 와 닿았다. 그런 결과물들은 아마도 경계를 넘나들만큼 열정을 쏟아본 사람이기에 가능한 것은 아닐까?

어디선가 들은 이야기가 떠오른다. 엘리트 코스를 밟고 무난한 인생을 살아 성공한 사람보다 이런저런 범죄에 휘말리고 파란만장한 삶을 산 뒤 자신의 자리를 찾은 사람이 더 매력있지 않냐란 말. 사강의 글도 그녀의 타오르는 열정을 마음껏 쏟고 마신 뒤라 더 매력적인 맛이 나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용소군도 3 열린책들 세계문학 260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지음, 김학수 옮김 / 열린책들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읽을수록 번뇌가 찾아온다. 골치가 아파온다.
나라면 과연 어땠을까, 내 가족은 저런 상황에서 어떤 선택을 했을까? 머릿속이 복잡해진다.
하지만 알고 있다. 외면 해선 안될 일이란 것을. 나 한 사람이 또 한 사람이. 그렇게 거듭 읽어나가고 기억해야만 그들의 희생이 헛되지 않을 거라는 사실 때문이다.

마이클 샌델의 ‘정의란 무엇인가‘에서 바다에 표류하던 생존자들이 병든 아이를 희생시킨 일은 정말 끔찍했다. 다수가 살아남기 위해 누군가 희생시키는 것은 정의라 할 수 있는지 우리에게 묻는다. 특정한 상황에 놓이지 않는이상 생각해보고 싶지 않고 외면 할만한 문제다.
당장 오늘 점심메뉴가 더 급할 것이다.
(‘수용소군도‘에서는 이러한 특정한 이 상황이 혁명후 러시아에서 수십년간 지속되었다. 내가 살기 위해 가족을,친구를 밀고해야하고 죽은 감방 동료의 시체를 숨겨 그 식량이라도 보태 내 삶을 연장시켜야하는 등..)

하지만 이런 문제에 대해 생각하고 안하고는 우리 삶에 적지않은 파장을 일으킨다. 일상의 작고 큰 선택에 그런 생각들은 영향을 미치며 ‘나 ‘라는 인간을 형성해간다. 그러다 결국 우리앞에 큰 재앙 (지금의 코로나 또는 앞으로 있을지 모를 전쟁, 또다른 인류적 문제)이 닥쳤을때 우리의 선택을 좌우할 것이며 그  선택은 인류의 존폐를 결정지을 수 있다.

책을 읽으며 역사와 전쟁에 대해 알아가고, 나를 알기위해 여성학을 탐구하고,  불편한 진실들을 알아가고, 육식을줄이고  지구를 생각해 쓰레기를 줄이며 내 소유를 줄여나가는 것. 물질 보다는 지식을 쌓고 사람들과 의미있는 삶을 사는 것. 이런 것들이 나의 지향점이 되어가고있다.
일상에서 또는 위기에서 나를 내가 원하는 나로써 살아가도록 하기 위해. 그것들이 얼마나 힘든 것인지 알게 해준 솔제니친에게 감사한 오늘.


댓글(6) 먼댓글(0) 좋아요(3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로 2020-12-28 12:0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

미미 2020-12-28 13:37   좋아요 0 | URL
( ⁎ ᵕᴗᵕ ⁎ )

scott 2020-12-28 12:52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역사와 전쟁에 대해 알아가고, 나를 알기위해 여성학을 탐구하고, 불편한 진실들을 알아가고, 육식을줄이고 지구를 생각해 쓰레기를 줄이며 내 소유를 줄여나가는 것. 물질 보다는 지식을 쌓고 사람들과 의미있는 삶을 사는 것. ]미미님 동감합니다. (◕‿◕)♡

미미 2020-12-28 13:35   좋아요 0 | URL
함께 가고 있어
든든해요~( ˙º̬˙ )و

mini74 2020-12-28 15:1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저 이제 2권 펼쳤습니다.ㅠㅠ 분노하며 읽다가 너무 황당해서 웃음도 났다가 그러네요 ㅠㅠ 파이팅! 저도 열심히 부지런히 읽겠습니다 !

미미 2020-12-28 15:34   좋아요 2 | URL
와 반가워요!! 3권은 혁명 전후 지식이 필요한 이야기가 더러 있어서 좀 힘들었어요.저도 울다 웃다 분노했어요(ㅠㅇㅠ)/
 
그림자 밟기
요코야마 히데오 지음, 최고은 옮김 / 검은숲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부터 쭉 몰입도 있게 읽었다.
최근작인 <빛의 현관>으로 주목받는 일본 작가 ‘요코야마 히데요‘의 작품이다.
그의 <64>리뷰도 최근에 자주 올라와서 근래에 쓴 소설인가 했는데 2013년도 책이었다.
700쪽에 가까운 두께에 주눅이 들어 일단 <그림자 밟기>를 선택했던것 같다.

주인공은 무려 전과자 임에도 이곳저곳에서 문제를 해결하고 숨은 진실을 찾아낸다. 그 과정에서 두 번 정도 울컥할 만큼 따뜻한 이야기도 담겨있다.

내용중에 ‘우동 자판기‘란 문구가 나와 찾아보니
실제 일본에 그런게 있었다.(사진첨부)
심지어 일본에 자판기가 상륙한 것은 120년 전이라니 놀랍다.-그리고 상륙이라면 대체 어디에서 먼저 시작되었을까?ㅡ 또 한가지는 ‘캡슐호텔 ‘인데
외국인을 상대로한 간편 숙소 정도로만 알았는데
주인공이 자주 이용해서 역시 살펴보니 직장인들,일반인들도 많이 찾는 것 같다.

인천공항을 비롯 우리나라에도 생겼는데 스타일은 조금 다르지만 아늑해 보인다^^
(마지막 사진 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