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한껏 무용하게 - 뜨개질하는 남자의 오롯이 나답게 살기
이성진 지음 / 샘터사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뜨개질이 취미인 남자 이성진의 살아가는 이야기 에세이.


'뜨개' 라는 키워드에 꽂혀서 구매를 한 책이다.

뜨개이야기가 생각보다 없어서 좀 당황했지만 좋은 글들이 많아서 생각하며 읽어낸 책이다.


진흙탕 뒹구는 세상에 지쳐 뜨개질로 마음을 씻어내자 다짐하고도 빠름에 끌리는 관성은 왜 지워내지를 못하는지, 자주는 아니더라도, 어떤 마음으로 뜨개질을 하느냐는 근원적인 질문을 던질 필요가 있다.

현대 풍요 사회에서 뜨개질의 의미는 무언가를 빨리 해치워버리는데보다는 천천히나마 이루어나가는데 있는게 아닐까

뜨개질 자체로 안정적인 수익을 낼수있는 소수능력자를 제외하고는 뜨개질은 대체로 자기 만족이다. 그러니 뜨개질을 하면서 무언가에 얽매였다면 말짱 도루묵이다. (p166)



그럼에도 유일무이한 작품을 손으로 직접 만듦은 쉽사리 얻을수 없는 경험이다. 돈으로 살수 없는 것들이 사라지는 시대일수록 고유함을 빚는 행위는 빛이 난다. 돈으로 바꿀 수 있는 것은 좋든 싫든 경제적가치라는 척도로 평가받지만, 고유한 것은 무엇과도 비교할수 없고 어느것으로도 대체할수 없다. 달콤한 크레이프 케이크처럼, 한겹한겹 나만의 경험을 얹고 그 사이사이에 나만의 작품으로 채워 바른다면 나는 나다운 사람으로 비로소 완성일테다. 뜨개질의 쓸모를 '실제로 쓰기에 알맞은' 데에서만 찾을 이유는 없다. 고유한 것들이 아름다운 이유가 제각기 자신만의 척도를 가지기 때문이라면, 그에 따라 뜨개질은 과정부터 결과까지 오롯이 쓸모 있다.(p2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쓰레기책 - 왜 지구의 절반은 쓰레기로 뒤덮이는가
이동학 지음 / 오도스(odos) / 2020년 2월
평점 :
일시품절




2년간 61개국 157개 도시를 돌아다니며 AI와 데이터로 설명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한국이 처한 고령화와 저출산, 이로인해 파생되는 도시내의 갈등과 도시소멸, 인구집중, 스마트시티등의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관련된 기관, 현장, 시민들을 인터뷰했다.


그러나 그는 기후위기, 환경의 위기, 지속가능성의 위기를 보고 절박한 마음에 이 책을 썼다고 한다.


많은 사진들 덕분에 현장감이 살아있었고 아프리카는 더러울 것이라는 선입견을 르완다의 키갈리 사진이 없애주었고 의외로 독일은 유럽에서 가장 많이 쓰레게를 배출하는 나라였다.


한쪽에서는 많이 생산하고 한쪽에서는 많이 버리고 또 정작 굶주리고 가난하게 사는 사람이 존재하는 지구.


필요한 만큼 생산하고 여러번 사용하고 식량도 골고루 나누어지는 식으로 사회 전체가 나아가야할것 같다.



우리는 쓰레기가 어디로 가는지에 전혀 관심이 없습니다.
그저 어디론가 잘 갔겠거니 무심코 생각할뿐이죠 - P41

수많은 데이터가
인류의 파국을 가리키고 있는 상황에서,
기후변화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천천히 하나씩 바꿔나가자‘ 고 하는 것은
너무 나태한 상황인식입니다
지금 당장 개입하고 변화를 시작해야 합니다 - P21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 유년의 기억, 박완서 타계 10주기 헌정 개정판 소설로 그린 자화상 (개정판) 1
박완서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월간수북> 2월의 두번째 책이다.


박완서 작가님 책을 좋아해서 여러권 읽었었는데 내용은 생각이 나질 않아서 이번 기회에 싱아를 읽어서 좋았다.


자전적 소설이라 주관적인것은 있겠지만 예전의 상황들이 생생하게 표현되어 재미있게 읽었다.


우리나라 국민들이 과거에 정말 힘들게 사셨음을 읽으면서 많이 알게 되었다.


20대 6.25 전쟁 시작 부분까지 서술되어 있고 그 다음 속편이 있었는데 과거의 내가 사놓은 덕분에 읽어보려고 꺼내놓았다.(체크해보니 예전에 읽었던데 내용이 기억이 안난다 ㅎㅎㅎㅎ)


싱아에서는 현저동 이야기, 동무와 도서관에 열심히 다닌 이야기, 일본식민지 시대상들이 기억에 남는다. 


초반 ,,, 단어가 어려워 한장한장 넘기기 힘들었는데 어느 정도 읽고나자 흐름대로 읽으면 되어서 끝까지 읽어내는데 어려움이 없었다.


이번 기회에 박완서 작가님 책을 하나하나 읽어봐야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살아가다 한 번쯤
이새늘 지음 / 동아 / 2021년 2월
평점 :
절판



패션회사 대표의 비서로 일하고 있는 정연아.


자신이 뽑힐리 없다고 생각했는데 합격통보를 받고 놀랬었다.

연아는 대학 1학년때 아버지의 사업이 망했고 아버지는 쓰러지셨다.


연아엄마는 이혼 도장을 찍고 부녀의 곁을 떠나버렸다.

힙겹게 살아온 그녀.


이제 스물아홉인데 집도 없고 빚도 남아있는 그녀에게 직장에 합격시켜준 서재현 대표는 은인중의 은인이다.



남자주인공 서재현.

비서를 뽑기 위해 이력서를 훑어보던 중 낯익은 이름을 발견한다.

살아가다 한번쯤 다시 보기를 바랬던 그녀 정연아.

대학시절 군제대를 조금 남겨두고 어머니가 돌아가셨다. 복학은 했으나 이번 학기만 다니고 그만 다닐 생각이었던 그에게 눈에 띈 여학생 정연아.


무거운 짐을 들어주고 보답으로 받은 그림.

그녀와 마주쳐 보려고 열심히 등교했지만 결국 연아는 그 이후로 몇번 마주쳤을뿐 학교에서 더는 볼수 없었고 재현은 그때 고백하지 못한 것을 후회하고 있었다.


다시 만난 연아를 잡기 위해 무척이나 노력하는 서재현 대표.

꽤 멋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구를 항해하는 초록 배에 탑니다 - 작은 물결을 파도로 만드는 일, 2021 우수출판콘텐츠 선정작 일하는 사람 3
김연식 지음 / 문학수첩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린피스 환경감시선 '레이보우 워리어' 호에 보름간 자원봉사자로 일한게 계기가 되어 직접 지원을 해서 그린피스 환경감시선에서 일한지 7년이 된 저자의 초기 환경감시선에서의 이야기가 담긴 책이다.


에세이와 환경이야기가 버무려져서 대중성이 있어보였고 새로운 세계의 이야기라 매우 흥미롭게 읽었다. 얇은 것도 장점

환경을 보호한다는 건, 결국 내 행동이 가져올 책임을 생각한다는 것, 사소한 귀찮음을 받아들이는 너그러움과 작은 것이라도 실천하는 수고면 충분한것 아닐까. - P21

누구를 만나 어떤 일을 하느냐가 삶을 좌우한다고 누군가가 말했다. 좋은 친구들을 만나 서로 돕고 격려하며 행복을 나누는 것, 마음 맞는 동료와 힘을 합쳐 혼자라면 못할 일을 해내는 지금 이 바다위의 하루하루가 나는 좋다 - P90

크릴은 고래와 펭귄과 같은 남극 생물의 먹이다. 그리고 공기중에서 흡수한 이상화탄소를 배설물과 함께 심해에 가라앉혀 대기의 탄소량을 조절하는데, 남극 크릴의 개체수가 감소하면 지구 온난화는 더 빨라질수밖에 없다. 지금 남극 어업은 최대 호황이다. - P18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