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채식주의자
한강 지음 / 창비 / 200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녀는 왼손을 잃어버렸다고 말한다. 남편의 눈에 분명 그녀의 왼손은 그대로였지만, 아내는 그것이 처음부터 없었던 것처럼 살아간다. 남자는 이 부조리를 이해하지 못한다. 김숨의 「왼손잡이 여인」이라는 소설의 내용이다. 이 소설에 나오는 망상과 신념의 대립은 「채식주의자」에서 더 거칠게 표현된다. '나'는 아내가 꿈에서 날고기를 먹는 자신을 발견한 뒤, 고기류를 일절 먹지 않는 행위를 이해하지 못한다. 우선 그는 그게 말이 되느냐며 화부터 낸다. 그는 자신에게 돌아오는 불이익을 받아들이려 하지 않고, 아내에게 일방적인 폭력을 행한다. 그녀를 '채식주의자'로 바라보는 그의 시선에서 폭력은 아주 자연스러운 것으로 묘사된다.
회식이 있어 늦게 들어온 밤이면 나는 술기운에 기대어 아내를 덮쳐보기도 했다. 저항하는 팔을 누르고 바지를 벗길 때는 뜻밖의 흥분을 느꼈다. 격렬하게 몸부림치는 아내에게 낮은 욕설을 뱉어가며 세 번에 한 번은 삽입에 성공했다. 그럴 때 아내는 마치 자신이 끌려온 종군위안부라도 되는 듯 어둠 속에 누워 천장을 올려다보고 있었다. 내 행위가 끝나는 즉시 그녀는 옆으로 돌아누워 이불 속에 얼굴을 숨겼다(p.39~40).
주변 사람들, 심지어 가족들조차 그녀의 행위를 이해하지 못한다. 급기야 영혜의 아버지는 그녀에게 주먹을 휘두른다. 그래도 여자는 침묵을 지킨다. 작품의 마지막에 가서야 단서가 나온다. 그녀는 날고기를 먹을 수 있었던 것이다. 영혜의 행동 뒤에는 저항하려는 욕구가 담겨 있었다. 자신에게 무조건적인 섬김을 강요하는 남편, 아내가 남편을 보필하는 것을 당연시 여기는 시선(마치 모든 인간은 고기를 먹어야 한다는 듯이)들에 말이다. 물론 이 저항 방식이 현명했는가에 대한 여부는 각자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 그러나 소설은 언제나 여지를 남기고, 나는 이런 식으로 결론을 내리는 것이 최선이었다. "그럴 수밖에 없었다"고.
그런데 "그럴 수밖에 없"는 상황이 「몽고반점」에서도 이어진다. 이번에도 남자의 일방적인 시선에서 이루어지는 전개다. 남자와 여자가 서로의 욕망을 채워가는 과정에서, 영혜는 고기를 먹지 않은 이유를 밝힌다.
그러니까…… 이제 알겠어요. 그게 내 뱃속 얼굴이라는 걸. 뱃속에서부터 올라온 얼굴이라는 걸(p.143).
다소 모호한 답변을 남긴 영혜의 진실은 「나무불꽃」에 이르러서야 드러난다. 영혜의 마음과 가장 비슷하지만, 정반대의 선택을 한 언니의 시선을 통해서 말이다. 그녀 역시 일방적인 폭력을 휘두르는 남자에게 상처를 받은 존재다. 「몽고반점」에서 그녀의 남편은 영혜를 예술의 도구이자 욕망을 채우는 수단으로 사용하다가, 아내에게 발각되고 만다. 그로 인해 남편은 도망치고 가족과 주변 사람들은 두 자매를 버린다. 영혜의 언니가 버틸 수 있는 이유는 하나뿐인 아들 때문이었다. 두 여자는 아직도 상처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그녀는 정신병원에서 또 다시 폭력을 당하는 영혜의 모습을 지켜보며 이렇게 생각한다.
그 저녁, 영혜의 말대로 그들이 영영 집을 떠났다면 모든 것은 달라졌을까.
그날의 가족모임에서, 아버지가 영혜의 뺨을 치기 전에 그녀가 더 세게 팔을 붙잡았다면 모든 것은 달라졌을까(p.192).
영혜의 행동은 폭력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투쟁이었다. 폭력의 씨앗은 아버지였다. 손이 거친 그녀의 아버지는 유독 영혜에게 폭력을 휘둘렀고, 그 주먹은 수십 년의 시간이 지난 가족모임까지 이어졌다. 그리고 영혜의 기억 저편에는 자신을 물었던 개가 아버지에 의해 끔찍하게 죽는 장면이 남아 있다. 자신도 그 개와 다를 바 없다는 생각에, 그녀는 육식을 끊었다. 자기 자신의 얼굴을 먹는 일을 견딜 수 없었다. 하지만 세상은 그녀를 내버려두지 않았다. 남편은 고기반찬을 해 주지 않는 아내에게 화를 냈고, 회사 사람들은 고기를 먹지 않는 영혜를 이상하게 바라보았다. 그리고 마침내 폭력의 순환이 아버지를 통해 되돌아왔을 때, 이미 그녀의 삶은 끝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폭력의 굴레는 끝나지 않는다. 처제에 대한 욕망을 실현하려는 그의 폭력은 상당히 무섭고 피부에 와 닿는다. "저 여자가 먼저 허락했으니, 내가 마음대로 할 수 있다." 일상에 도처한 폭력의 변명거리다. 계약서에 서명했으니, 도망갈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니, 저 사람은 이제 내 것이다. 영혜가 승낙한 순간, 두 사람의 관계는 친족이 아니라 고용자와 피고용자의 관계로 변한다. 권력을 이용한 폭력의 현장이 꽃의 형상과 어우러지는 바람에 정신이 혼미했지만, 영혜의 언니가 등장하는 순간 정신을 차렸다. 그것은 명백한 억압이었다. 그리고 영혜에 마지막 남은 신체적 자유가 박탈당하는 순간, 그녀는 이미 사람이 아니었다. 정신병원에서 그녀에게 미음을 먹이려던 이들은, 오래 전 나무가 되어버린 존재에게 고기를 강요하는 정신이상자들과 다를 바 없었다. 결국 이 여자에게 닥칠 폭력의 운명은 끝나지 않았다. 주변 인물들이 그러하듯.
이 추측은 틀릴지 모른다. 영혜의 생각이 직접 드러난 적은 없었으니까. 꿈들조차 장면의 사실적인 묘사였을 뿐이다. 하지만 말과 행동으로 충분하지 않은가? 그녀는 말하지 않고, 단지 보여줬을 뿐이다. 우리는 판단할 수 없다. 이해가 우리의 몫이다. 그러나 스스로를 나무라고 여기는 여자를, 폭력으로 얼룩진 그녀의 삶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겠는가? 그래서 평론가도 말한다. 이해할 수 없는 것을 내버려두는 것도 이해의 한 방편이라고. 고기를 먹는 나는 채식주의자를 이해할 수 없다. 나는 너를 모른다. 그래서 나는 너를 이해하기 위해 침묵한다. 때로는 침묵이 수만 마디를 대신한다. 그러니 지켜보자. 기다리자. 그래도 시간은 멈추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