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주제가, 허용하는 만큼의 정확성에 도달한다면 충분히 논의된 셈일 것이다. 기술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들의 경우에도 똑같은 정확성이 추구되지는 않는 것처럼, 정확성은 모든 논의들에서 똑같이 추구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p.15)." 

 모든 논의마다 정확성은 다르게 요구되는 법이다. 마치 기술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의 정확성이 모두 다르듯이, '행복'에 관한 이 논의는 "허용하는 만큼의" 논의만 가능하다. 그러나 아직 우리는 행복에 대한 논의가 얼마만큼 허용되었는지 알지 못한다. 

  

 "그런데 정치학이 고찰하는 고귀한 것들과 정의로운 것들은 많은 차이와 가변성을 가지고 있어서, 오직 관습적으로만 그러할 뿐 본성적으로 그런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일 정도이다(p.15)."  

 이 주장은 '주관적 상대주의'를 주장하는 프로타고라스의 견해와 어느 정도 상통한다. '관습'이라는 것이 인간적인 것에 의해 주도되는 것이며, '본성'이 그 자체에 의해 주도되는 것이라는 것을 생각해 볼 때, 그것은 옳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그런 것'들에 대해 논의하고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그런 전제'들로부터 출발하는 것이기에,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그런 것'들을 추론하는 데 만족해야 할 것이다(p.16)." 

 

 결국 우리는 주제의 본성이 허용하는 만큼의 정확성을 추구해야 한다. 좋음들도 지나치면 많은 사람들에게 해를 끼치기 때문이다.  

 

 정치학은 직접 행하지 않으면 모르는 '행동학'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경험이 없는 젊은이는 정치학을 알 수 없다. 이 말을 뒤집어서 말한다면, 정치가야말로 정치학에 있어서 가장 능통한 인물이다. 정치학의 목적은 앎이 아니라 행위이다. 게다가 젊은이는 자신의 감정에 따르기 쉬워서 알려는 마음조차 없다. 그리하여 정치학은 이성적인 행위를 할 수 있는 정치가야말로 가장 잘 알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는 『정치학』에서 더 깊이 있게 다루어야 할 것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tarover 2011-04-23 12: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내가 언제 다시 돌아올 줄 모르니, 그러나 명심하라. 나는 지금도 이 책을 읽고 있다는 것을.
 

 

 

 

 

 

 

 

 "그래서 만약 '행위될 수 있는 것들'의 목적에 있어서, 우리가 이것은 그 자체 때문에 바라고, 다른 것들은 이것 떄문에 바라는 것이라면, 또 우리가 모든 것을 다른 것 때문에 선택하는 것은 아니라고 한다면(만약 그렇다고 한다면 이렇게 무한히 나아갈 것이며, 그 결과 우리의 욕구는 공허하고 헛된 것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것이 좋음이며 최상의 좋음일 것이라는 사실은 명백하다. 그러니 이것에 대한 앎이 우리의 삶에 있어서도 큰 무게를 가지지 않겠는가(p.14)?" 

 

 위 구절에서 '행위될 수 있는 것'은 '행위에 성취될 수 있는 것들'로 번역될 수 있으며, 원어 '프락톤(prakton)'은 행위의 대상이나 결과를 가리킨다. 때문에, 위 구절은 행위의 결과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선'이며, '다른 것'은 '헛된 욕구'이다.  

 

 여기서 우리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장을 알 수 있다. "그것은 으뜸가는 학문, 가장 총기획적인 학문에 속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런데 정치학이 바로 그러한 학문인 것 같다. 왜냐하면 폴리스 안에 어떤 학문들이 있어야만 하는지, 또 각각의 시민들이 어떤 종류의 학문을 얼마나 배워야 하는지를 정치학이 규정하기 때문이다(p.14)." 

 아리스토텔레스는 정치학을 최고의 학문으로 여기는데, 그 이유는 윤리학과 정치학이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 주장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기대가 담겨 있는데, 정치학이야말로 윤리학을 가르치는 데 가장 유용한 학문이기 때문이다. 윤리학에 모든 사람이 추구하는 '행복'이 담겨 있는만큼, 행복해지는 법을 가르치는 것은 국가가 해야 할 일이 아니겠는가? 

 "또 정치학은 나머지 실천적인 학문을 이용하면서, 더 나아가 무엇을 행해야만 하고 무엇을 삼가야만 하는지를 입법하기에 그것의 목적은 다른 학문들의 목적을 포함할 것이며, 따라서 정치학의 목적은 '인간적인 좋음'일 것이다. 왜냐하면 설령 그 좋음이 한 개인과 한 폴리스에 대해서 동일한 것이라 할지라도, 폴리스의 좋음이 취하고 보존하는 데 있어서 더 크고 더 완전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그 좋음을 취하고 보존하는 일이 단 한 사람의 개인에게 있어서도 만족스러운 일이라면, 한 종족과 폴리스들에 있어서는 더 고귀하고 한층 더 신적인 일이니까. 따라서 우리의 탐구는 일종의 정치학적인 것으로서 이런 것들을 추구하는 것이다(p.14~15)."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이조부 2011-01-30 20: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책 제목 만으로 숨이 막혀요~

대학시절 선생님께서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 을 스무번을 읽었다고 했다는게 쌩뚱맞게 생각

나네요~ 거듭해서 읽어도 매 번 다르게 읽히는 책이 고전이겠죠?

지금 읽고 있는 것들이 두고 두고 읽을 가치가 있는 것인지 의심을 해보게 되네요 ^^

starover 2011-01-31 10:06   좋아요 0 | URL
아리스토텔레스는 이 책을 아들 니코마코스를 위해 썼다고 하지만, 실은 모든 인류를 위해 이 책을 쓴 게 아닐까요?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진실- 

 

겨울이라고 해서 불타죽지 않는 건 아니다 

여름이라고 해서 얼어죽지 않는 건 아니다 

가을이라고 해서 새싹이 돋지 않는 건 아니다 

보옴이라고 해서 풍요롭지 않다는 건 아니다 

 

겨울이 아니라고 해서 눈이 오지 않는 건 아니다 

여름이 아니라고 해서 비가 오지 않는 건 아니다 

가을이 아니라고 해서 독서하지 않아야 하는 건 아니다 

보옴이 아니라고 해서 새싹이 돋지 않는 건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내면의 눈- 

 

만약 자신이  

자신의 외부에 있는  

모든 것들을 볼 수 있는 

눈이 있다고 해도 

 

그것은 

자신의 내면을 엿볼 수 있는 

단 하나의 눈보다 못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번 주말엔 무슨 영화를 볼까?> 1월 4주

 

 

 

 

 

 

 

 

 

 

 

 

 

 

 

 

 

 우리 주변에는 참으로 감동적인 영화들이 많은 것 같다. 그런 영화들은 우리에게 교훈과 카타르시스를 제공한다. 최근 개봉한 감동적인 영화 <글러브>와 더불어 내가 보았던 감동적인 영화를 소개해본다. <하모니>는 말할 것도 없는 감동 스토리로, 본 사람 중 대부분이 마지막에 눈물을 펑펑 흘릴 정도로 슬픈(감동적인)영화다. 또한, <허브>는 나도 눈물을 흘린 영화로, 딸이 암으로 죽은 엄마를 붙잡고 슬퍼하는 부분이 참 인상적이다. <국가대표>와 <킹콩을 들다>는 웃기면서도 감동적인 면이 있는데, 두 영화의 공통점은 '어려운 환경(스키점프와 역도는 영화에서도 드러나듯이 아무도 도와주지 않는 고독한 스포츠다)임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극복한 위대한 인간 승리'가 드러나고 있다는 것이다. <국가대표>에서 주인공의 비상과, <킹콩을 들다>에서 여주인공의 '역도를 드는' 장면 등은 모두에게 인상적으로 남았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해운대>는 재작년에 개봉한 재난 영화로, 웃긴 부분이 있으면서도 재난 속의 휴머니즘을 담아 많은 사람들의 찬사를 받았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이조부 2011-01-27 16: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감동적인 영화를 별로 좋아하지 않아요 ㅋㅋ

사람도 감동을 주는 사람 보다는 감탄 하게 되는 사람이 끌리더라고요 ㅎㅎ

국가대표 랑 해운대 는 무척 재미있게 봤는데 킹콩을 들다 는 심드렁했죠~

주인장 글 보니까 허브 가 보고싶어지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