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를 보시면서 참고하시면 더욱 좋습니다) 

 RV 차안 라디오를 통해: I'm standing here at the highest point of what is the rim of the worlds largest super volcano, Mount Big Horn.
 I can only hope that all of you have made your peace .......  

 나는 지금 세계에서 가장 큰 슈퍼볼케이노 (해발 847m인) 빅혼 산 정상에 서 있다.  

 나는 당신들 모두에게 평화가 있기를 바랄 뿐이다. 

 

 빅혼 산 위에서(폭발할 때): So beautiful, I'm gonna stay.
 This marks The last day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Final hour of all mankind. As we will be visible from the Milky Way as a tiny little puff of smoke. I'm watching the Earth crumble before my eyes.
 The giant ash cloud created by this super volcano will first envelop Vegas, and then St. Louis and then Chicago, and then at long last, Washington D.C. will have its lights go out.
  

 너무 아름다워요, 난 여기 남을래요. 

 이 폭발은 미국 최후의 날이자 전 인류의 마지막 시간의 표시이다. 연기의 작은 입자처럼 은하수의 작은 점이 될 것이다. 나는 내 눈으로 지구가 무너지는 걸 지켜본다. 

 이 슈퍼볼케이노가 만들어낸 거대한 화산재 구름은 먼저 라스베가스를 뒤덮고, 그 다음은 세인트루이스, 그 다음엔 시카고, 그리고 마침내 워싱턴 D.C가 그 빛을 잃게 될 것이다. 

  


 대폭발 직후: I have goosebumps, people!
 I wish you could see what I'm seeing, people.
 I wish you could be here with me!
 Oh, baby!
 Bring it on!
 Always remember folks: You heard it first from Charlie! 

 (잭슨이 찰리가 있는 곳까지 뛰어가는 부분에 찰리가 외친 소리는 대본에 없는 것이므로 생략함)
 

 소름이 돚네요, 여러분! 

 여러분도 보았으면 좋을텐데, 여러분도 나와 여기서 보았으면 좋을 텐데! 

 오, 이럴수가.  

 덤벼라! 

 항상 기억하세요 여러분! 찰리가 처음 전해드리는 겁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kc0128 2012-05-12 12: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찰리가 처음 전해드리는 겁니다!(충돌)퍽!찰리사망 영화에선 이렇게 되죠.

starover 2012-05-12 16:06   좋아요 0 | URL
2012에서 가장 인상깊은 인물이 찰리라죠, 아마?
 

 시험 공부 때문에 신간평가단임에도 불구하고 평가단 책을 읽지 못했다. 리뷰 마감일이 17일이므로, 나는 그 때까지 최인호의 『낯익은 타인들의 도시』와 김인숙의 『미칠 수 있겠니』를 독파해야겠다. 대개 15일에 7월 중반 신간 페이퍼를 적는데, 이번에는 사정상(그리고 한 달에 두 번 하면 분량이 너무 많다. 새로 나온 책들이 너무나 끌리니까) 지금 올리기로 한다. 그러나 이것은 객관적인 평가가 아닌, 나 자신의 주관대로 써 넣은 것이다. 

  

  

 『풀잎의 제국』은 1억원 고료 조선일보 판타지 문학상 세 번째 작품이다. 참고로 말하자면, 그 이전의 조선일보 판타지 문학상 수상작으로는 이준일의 『치우와 별들의 책』과 같은 작품이 있다. 이 소설은 청소년 소설 작가인 김재석의 작품으로, 백혈병에 걸린 소년이 자신을 도울 조상 영혼들을 찾아 소환하는 과정을 그린, '한국적 판타지'이다. 시간여행이라는 소재를 쓰면서도, 자신의 몸 안을 생각하게 한다. 예컨대, 주인공이 몸 속의 군대와 함께 전투를 벌이는 '이미지요법'이 시각적으로 드러나 있는 것이다. 한편, 정진영의 소설 『도화촌 기행』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과는 조금 '다른' 공간에서 벌어지는 고시생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고시촌에 있는 고시생의 고뇌와 마음 속의 욕구를 생생하게 전하는 한편, 도화촌이라는 가상 공간이 과연 '이상향'인가 생각해 보게끔 한다(그러고 보니 '도화촌'이라는 공간에도 '꽃 화花'가 들어 있다. 꽃이 가진 향기와 아름다운 색깔 등으로 인해 동양인들에게 꽃은 오랫동안 이상향의 상징으로 인식되어 왔다). 

  

 작품의 원제는 'Before i fall'이다. 즉, '내가 쓰러지기(죽기) 전'을 뜻한다. 그런데 한국판 제목도 흥미롭다. '일곱 번째 내가 죽던 날'. 로렌 올리버는 첫 작품부터 좋은 스타트를 끊는 셈이다. 제목부터 독자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자신의 작품에 빠져들도록 매혹하고 있으니까. 『일곱 번째 내가 죽던 날』은 "누구나 부러워 할 삶"을 살았던 사만사 킹스턴의 기묘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아니, 그것은 기묘한 저주이자 운명이었다. 생애 마지막 날을 계속해서 살아야 한다니. 그녀는 다른 사람들처럼 24시간이 온전하게 주어지지 않은 것이다(그 방식이 구체적으로 어떤 것인지는 소설을 통해 확인해야 하겠지만). 그러다가 일곱 번째 죽던 날, 그녀는 무언가를 깨닫는다. 그리고 이 기묘한 이야기의 실마리는 점점 풀리기 시작한다. 500쪽 가까이 되는 분량을 어떻게 다룰지, 기대된다. 현재 영화로도 제작 중이라고 하니, 또 기대된다. 그리고 마지막 질문: "딱 하루만 살 수 있다면 어떻게 할 것 같아? 뭘 하고 싶니? 누구와 함께 있고 싶어?" 언젠가 생각해 보아야 할 질문이다. 

  

 어, 움베르토 에코다. 이 작가 참 재미있는데. 누군가의 독백이다. 전세계에서 뛰어난 지식인으로 추앙받고 있지만, 정작 본인은 유쾌한 글들로 독자들을 울리고 웃긴다. 『세상의 바보들에게 웃으면서 화내는 방법』 등, 유쾌한 인문 에세이를 써 왔던 에코의 새로운 책이다. 그의 독서와 경험, 그리고 유머를 맛볼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제목에서 보셨겠지만 『젊은 에술가의 초상』의 작가인 제임스 조이스도 등장하고. 나머지는 당신이 직접 읽어보라는 말뿐이다. 내가 어떻게 그의 유머를 모방할 수 있겠는가? 

 

  

 

 '쓰가루' 하나만 검색해도 이 책이 나와서 참 좋다. 다자이 오사무에게 왠지 고맙다. 한데, 『인간 실격』보다도 『쓰가루』가 오사무를 이해하는 데에 더 필수적인 대표작이라는 사실을 듣고 나는 놀랐다. 지금도 사랑받고 있는 그의 작품들 몇 개를 담아놓았다. 당신이 지금 방황하고 있다면 한 번 이 책을 읽어보라. 혹시 방황하는 청춘이 길을 찾을지도 모르니.    

 『개는 농담을 하지 않는다』는 루이스 새커의 성장소설이다. 성장소설은 대개 청소년들을 위한 소설이며, 청소년들을 좋은 방향으로 성장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작품들이다. 이 소설도 마찬가지이다. 중학교 1학년인 주인공 게리 분은 주위의 조롱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꿈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 '얼간이'라고 불리며 친구들의 조롱을 받지만 코미디언이라는 자신의 꿈을 어느 누구도 막을 순 없다. 자신의 꿈을 막을 자는 없다고....... 새커는 말한다. 

  

 철수. 민수. 영희. 어느새 이 사회에서 너무나 흔한 이름이 되어버린 이들. 이 작품에 등장하는 철수는 이 사회의 약자이자 소외된 패배자, 즉 루저이다. 학벌, 키, 재산도 없이 그저 평범하게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 철수는 문득 주위 사람들이 자신을 '고장났다'고 말하는 것에 의문을 품고 '철수 사용 설명서'를 작성하기 시작한다. 그런데 그 과정에서 자신이 루저라고 취급되는 까닭이 자신에게만 있는 것이 아님을 발견한다. 오늘의 작가상에 만장일치로 선정된 『철수 사용 설명서』는 루저들의 본질을 밝혀내는 데 큰 공헌을 했으며, 좋은 소설은 익숙한 소재를 새로운 형식으로 전달할 때 나온다는 명제를 다시 한 번 확인시켜 준 작품이다. 

 

  

  『우즈 버너』, 『천문학 콘서트』 등의 작품도 하고 싶은 욕망이 크지만, 일단 줄인다. 잠시 돌아보고, 다시 갈 거니까 걱정하지 마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설> 파트의 주목 신간을 본 페이퍼에 먼 댓글로 달아주세요.

 

 6월에도 흥미로운 소설이 많이 나왔다. 하지만 의외로 소설의 주목 신간을 고르는 것을 쉬웠다. 그것들이 너무나 '당연스럽게' 인정되는 신간이기 때문이다. 이제 그 다섯 권을 살펴보자.  

  

 첫 번째 소설은 포르투갈의 떠오르는 신예인 공살루 티바리스의 『예루살렘』이다. 작년에 세상을 떠난 포르투갈 문학의 거장 주제 사라마구는 이 책에 대해 '서양 고전의 반열에 오를 만한 위대한 소설'이라고 평했다. 또한, 르 피가로는 작가를 '포르투갈의 카프카'라는 평가했다. 7년 전에 포르투갈에서 출간된 이 작품은 '예루살렘'이라는 종교적 의미와 정치적 의미를 동시에 지니고 있다. 『예루살렘』의 배경 '미지의 도시'와 '어느 시대'로, 시간과 공간이 분명하게 정해져 있지 않은 공간이다. 따라서 독자들은 이 이야기가 어느 시대에나 통용되는 이야기라고 생각하거나, 어느 시대에도 해당하지 않는 이야기라고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티바리스의 소설은, 사라마구의 소설처럼 다양한 시각으로 바라볼 만한 가치가 있는 소설이다. 

 

 

  

 두 번째로 다룰 소설인『스완 송』은 거대한 소설이다. 1500페이지에 이르는 거대한 노래이자 음악이다. 그런 이유로 7월에 내가 받는 책에 『스완 송』은 들어가지 않을 것이다. 아무리 여름이고, 휴가철이라고 해도 이렇게 두꺼운 소설을 어떻게 2주라는 짧은 시간 안에 평가하겠는가? 그렇기에 내가 이 책을 보려면 직접 사서 봐야 할 것이다. 『스완 송』은 직역하면 '백조의 노래'이지만, 소설의 주인공의 이름이 '스완'이기 때문에 '스완 송'으로 번역한 것 같다. 이 소설은 『더 로드』나 『나는 전설이다』와 같이 인류의 암울한 상황이나 종말 이후를 다룬 '세기말 소설'에 속한다. 하지만 여기에는 '성배의 전설'과 '어부의 전설'이 곁들어져 있어, 독자들에게 새로운 즐거움을 제공한다. 살아남은 이들의 이야기는 참혹하지만 아름답다. 하지만 나는 이 작품이 영화화되기를 원치 않는다. 그들의 얼굴이 욥의 가면으로 덮여 있기 때문이다. 그것이 영화를 보는 내내 눈에 거슬리리라. 

  

  세 번째 소설인 『홍수』에 대해 말하기 전에 '왜 이제야 나왔느냐'고 말하고 싶다. 이 소설은 『조서』보다도 더 오래 전에 계획된, 71세의 소설가 르 클레지오의 최초의 작품이기 때문이다. 한편으로, 『홍수』는 『조서』 그 후의 이야기이며, 홍수로서 기존의 세상을 소용돌이 속에 던져버리고 새로운 세계를 건설하겠다는 작가의 의지가 담겨 있다. 무엇보다도 이번에 출간된 『홍수』에는 작품의 백미라고 할 수 있는 70여 페이지의 프롤로그가 추가되었다. 프랑수아 베송의 10일 동안의 배회, 그리고 홍수. 그것들이 마치 폭풍우처럼 한데 어우러져 독자들을 미로 속에 몰아넣는다. 

 

 

   

 내가 일본 소설은 별로 좋아하는 편이 아니지만, 그래도 이사카 고타로라는 작가는 왠지 끌린다. 그래서 나는 『마리아비틀』을 주목 신간에 넣었다. '킬러들의 광시곡'이라는 부제가 달린 이 소설은 질주하는 신칸센 열차 안이라는 밀폐된 장소에서 벌어지는 치열한 킬러들의 싸움을 그리고 있다. 작가 자신의 대표작 『그래스호퍼』의 뒤를 이었지만, 나 같이 고타로의 그 작품을 읽지 못한 사람들도 쉽게 읽을 수 있도록 배려해두었다. 소설 한 편에 담긴 엔터테인먼트가 나를 어떻게 즐겁게 할지 기대된다. 악마 또는 천사 아니면 무속성의 남자들이 벌이는 이야기가 어떻게 어우러질지 다시 한 번 기대한다. 

 

 

  

 마지막 소설은 박범신 작가의 『나의 손은 말굽으로 변하고』이다. 중앙일보 인터넷에 120회 분량으로 연재된 이 소설은, 39년차 작가 박범신의 39번째 소설이다. 이 작품은 '나의 손은 말굽으로 변하고'라는 제목에서도 볼 수 있듯이, 마술적 리얼리즘이 도입된 소설이며, 지금까지 그의 소설에서 보지 못한 특징들(하드고어와 같은)이 빈번하게 발견된다. '기이한 살인에 관한 보고서'는 직접 읽음으로써 독자들을 감동시키는 법이다. 제목에 대한 단서 역시 18페이지를 비롯하여, 소설을 주의 깊게 읽어보아라. 

 

 

 

 마지막으로 느끼는 점이 하나 있다면, 이번에 출간된 소설들은 대부분 양이 두껍다는 점이다. 물론 300쪽도 되지 않는 『예루살렘』은 예외지만. 아마도 여기서는 주목 신간이 나오지 않을 것이다. 모든 건 머지않아 밝혀지리라.


댓글(3)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tarover 2011-07-03 15: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후보작 하나 더 고르라면? 김애란의 『두근두근 내 인생』 정도.

고슴도치 2011-07-03 17: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르 클레지오의 홍수를 꼽았다가 7월1일 출간작인 것을 보고 포기했답니다..ㅠㅠ
간발의 차이로;; 하아=3 참, 르 클레지오가 얼마전에 제주도 명예시민이 되었다는 소식 들으셨나요? 덕분에 뉴스를 보다가 깜짝 놀랐지요~ ㅋㅋㅋ

starover 2011-07-05 13:55   좋아요 0 | URL
와, 놀랍네요.^^ 르 클레지오가 명예 한국인이라니. 하루 정도는 괜찮지 않을까요?
 

 요즘에 '나는 ○○다'가 엄청난 유행이다. 이벤트나 프로그램, 그리고 광고 등에서 이 '나는 ○○다'가 수없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렇다면 이것의 유래는 무엇인가? 대부분의 사람들은 '나는 가수다'라는 프로그램 때문이라고 한다. 물론 그것이 정답이겠지만, 나는 좀 더 깊은 역사로 들어가 보고 싶다. 

  

 '나는 ○○다' - 전설 

 
 아마 '나는 전설이다'를 보는 순간, 당신은 '아, 그게 있었지!'라고 손가락을 딱 튕길 것이다. 나는 전설이다. 굉장히 유명한 작품이다. 잘 알려져 있듯이, 이 작품은 리처드 매드슨의 '세기말 소설'이자 좀비가 등장하는 소설이다. 영화 <나는 전설이다(2007)>로 소설이 탈바꿈되면서 ''나는 ○○다'가 점점 대중들에게 익숙해져 갔다. 그러나 얼마 안 가 그것의 열기는 수그러져 갔으며 결국 또 다른 무언가가 등장해야 했다.  

 

 

 '나는 ○○다' - 옵티머스 프라임 

  

 얼마 전에 개봉한 영화 <트랜스포머: 어둠의 달>은 영화 <트랜스포머>의 마지막 시리즈이다. 하지만 나는 여기서 영화의 내용에 대해 묻지 않겠다. 이 영화가 크게 흥행하면서 옵티머스 프라임과 같은 로봇 산업이 활발해졌다. 그리고....... 옵티머스 프라임이 독백을 외듯 영화 마지막에 말하는 '나는 옵티머스 프라임이다'는 '나는 ○○다'의 서막을 올렸다. 그리고 그것에 힘입어 마침내 '나는 가수다'가 등장했다. 

  

 나는 가수다

    

 대중에게 제공된 '열린 오디션'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슈퍼스타 k'와 같은 프로그램이 바로 그 부류에 속하고 '나는 가수다'도 마찬가지이다. 『나는 전설이다』, <트랜스포머> 등으로 이미 대중들에게 익숙해진 '나는 ○○다'가 화려한 부활을 하게 되었다. 

 '나는 ○○다'는 결국 '나 자신'을 중심으로 여긴다는 존중을 기초로 한다. 한 사람 한 사람의 정체성을 분명하게 하는 현상이다. 그러나 <나는 가수다>가 끝나면 다시 이것은 우리의 기억 속에서 사라질 것이다. <트랜스포머>가 끝나면 더욱 그럴 것이다. 하지만, 그 때가 오기 전에 '나'가 누구인지 분명하게 확인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물론 '나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은 대답하기 어려운 질문이지만 말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류지형 2011-07-12 03: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위의 글을 읽고 한 줄을 보태고 싶다.

다름이 아니라
2010.6월에 출판된 '나는 국력이다'라는 제목의 책이 고요출판사에서 출판되었다.

또한 그 전인 2004년 11월 3일 MBC 9시 메인뉴스에서 동일한 제목으로 방송된 적이 있다는 사실을 상기시켜드리고 싶다.

취재의 동기는 국세청 직원이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세금교육을 열심히 하는 학교현장을 찍어 전 국민들에게 알렸던 것이며, 이 제목과 관련해서 중앙일보 등 각 종 언론 매체에서 많은 뉴스로 취급을 했다는 사실도 알려드리고 싶다.

다시 말하면 위에서 다른 분이 언급한 연원은 맞지 않는다고 말하고 싶다.

starover 2011-07-12 16:52   좋아요 0 | URL
음, 그랬군요.
어쨌든 이 글은 저만의 생각이라서 정확한 건 아니니까요^^
 

 1부에 이어서 2부를 진행하겠습니다. 

  

 4. 문학(에세이) 

  

 공지영이 2006년에 쓴 에세이가 재출간되었다. 빗방울은 수많은 사람들이 모여서 내리지만, 그 와중에 있는 빗방울 하나는 지극히 작고 소외되었다. 빗방울은 함께 내리는 것 같지만 사실 고독하게 땅에 떨어진다. 제목을 보니 문득 사람 사는 것이 '빗방울'과 같은 것 같다. 우리가 세상을 살아가는 기간은 구름에서 땅까지 빗방울이 떨어지는 때까지만 유지된다. 산에 떨어지는 빗방울은 수명이 짧은 사람이고, 지하 하수구에 떨어지는 빗방울은 수명이 긴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모두 떨어진다. 그리고 그들의 양이 너무나 많아서 한 명 한 명에 관심을 가지지 않으며, 그래서 그들은 각각 소외되었다. 그들이 뭉치면 엄청난 양의 물이 된다. 그리고 그들은 각자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공지영 작가는 제목만 봐도 이렇게 많은 생각을 하게 해 준다. 『네가 어떤 삶을 살든 나는 너를 응원할 것이다』라는 그녀의 에세이도 제목만으로 나를 사로잡았는데, 이 책 역시 마찬가지이다. 사실 제목은 이라크의 저항시인인 알바야티의 '외로움'에서 인용한 문구라고 한다. 이 책은 제목처럼 여러 시를 담고 있지만, 산문집이며, 동시에 J에게 보내는 편지이기도 하다. 

  

 『딩씨 마을의 꿈』의 작가인 옌롄커의 자전적인 에세이집이다. 이 책은 제목에 드러나 있듯이, 작가가 아버지의 이야기를 회상하는 책이다. 작가가 써온 작품의 밑바탕을 제공하는 책으로, 친아버지뿐만이 아니라 작은 아버지와 큰 아버지의 이야기도 다루고 있기 때문에 과거의 중국 역사를 되돌아보게 한다. 그 힘든 시절을 묘사할수록 작가의 눈물은 짙어져 간다. 그리고 그럴수록 그는 성숙해 간다. 중국의 보릿고개 이야기가 한국의 그 시절을 연상시켜, 많은 지금의 '아버지'들을 공감하게 한다. 한편, 유명한 소설가인 오쿠다 히데오의 야구장 에세이를 담은 『야구를 부탁해』가 출간되었다는 소식이 들어왔다. 이 책은 야구만 다루는 게 아니라 이곳저곳을 누비는 히데오의 관찰기를 담고 있다. 은둔형 외톨이인 작가는 과연 억지로 야구장에 가는 것일까, 야구를 즐겨서 가는 것일까? 궁금하다.

 

 이번 한국 에세이들은 복간된 작품들로 대부분 이루어지나 보다. 1997년에 출간된 박노해의 옥중 에세이가 다시 돌아온 것이다. 한 시인의 투쟁을 그리고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에 대한 희망과 자신으로 가득 차 있다. 붕괴되는 시대의 이념 앞에서 인간이 더욱 필요해져 가는 시대, 어느 한 혁명가의 성찰이 담겨 있다. 지금도 "사람만이 희망이다!"는 유효하다. 

 

  

 

  

  이 에세이(편지)집은 김용택 시인과 그의 아내 이은영이 쓴 83통의 편지를 모아놓은 것이다. 떨어져 살면서 느끼는 감정들을 나누며 살아가고, 끊임없이 대화하다 보니 사랑은 거리가 아니라 마음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에는 그들의 일상과 생각 등이 모두 담겨 있으며, 종종 김용택 시인이 주는 문학적 암시나 이은영 주부의 생활 지침 등이 발견되어 독자들을 즐겁게 한다. 나 역시 시인의 편지를 엿보고 싶다.

 

 

  

 5. 인문 

 내가 말하고자 하는 '인문'은 영역이 다양하다.  

 

 '닮고 싶은 사람들의 이야기', 즉 '워너비 시리즈(wannabe series)' 그 두 번째 이야기가 출간되었다. 이번에는 판타지/호러 문학의 여섯 거장들에 대해 다루고 있는데, 이 여섯 명의 주인공은 바로 메리 셸리, 브램 스토커, 톨킨, 필립 딕, 스타니스와프 렘, 그리고 스티븐 킹이다. 이들은 삼류 문학으로 일컬어지던 분야를 위대한 상징으로 바꾼 사람들이다. 아마 이들이 그렇지 않다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은 별로 없을 것이다. 'nyaong2'님의 말처럼 장르문학의 팬이라면 절대로 놓칠 수 없는 책이다. 

 

   

 철학자가 철학자를 비판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것이다. 그러나 그 중 비판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사람들도 종종 발견된다. 칼 마르크스는 그 중 한 사람이다. 『열린 사회와 그 적들』에서 칼 포퍼가 헤겔을 비판했듯이, 마르크스도 『헤겔 법철학 비판』을 통해 헤겔의 주요 저작인 『법철학 강요』를 비판했다. 여담이지만, 마르크스-엥겔스 전집, 러셀 전집은 그 속에 있는 책들 중 한 권쯤은 읽는 게 좋다. 

 

 

 

  

 이번엔 인문학과 사상에 빠져들어가 보자. 『불온한 인문학』은 손기태, 이진석과 같은 인문학도들의 글들을 모아놓은 것이다. 요즘 인문학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써놓은 것이다. 그리고 『유쾌한 420자 인문학』은 '거리의 인문학자'라고 불리는 최준영 교수의 420자 칼럼을 모아놓은 책이다. 이것은 짧고, 굵은, 쉼표다. 마지막으로 『책으로 만나는 사상가들』은 위의 『불온한 인문학』과는 달리 한 명의 저자가 218명의 지식인들의 사상을 모아놓은 것으로, 5년간 걸쳐 도서평론가인 최성일의 짤막한 글들이다. 아쉬운 점은 218명 중 고작 10명만 우리나라 사상가이고, 나머지는 모두 외국의 사상가들이라는 점이다. 하지만 이 책의 목표는 여러 사상들을 모아놓는 것에 있으며, 알랭 드 보통과 같은 '가벼운' 사람들의 사상까지 수용하고 있다는 점이 큰 특징이다. 

  

 드디어 나왔다. 자음과모음 하이브리드 총서. 오직 읽은 사람만 말할 수 있는 그 책. 네 번째 시리즈이다. 한국 인문학의 새로운 길을 여는 책들 중 하나에 속하기에, 이 책은 많은 노력과 준비의 기간이 필요했으며, 마침내 그 결실을 맺은 것이다. 이제, 이택광에 의해 또 다시 인문학도들이 이 책을 펼쳐들고 길을 모색할 것이다. 나도 그 길에 동참하고 싶지만....... 어렵다는 사실을 부정할 수 없다. 그러나 그만큼 뜻 깊으리라 믿는다. 

 

 

 

  

 두 책 다 인물 비평서이다. 하지만 이 두 권의 공통점은 한 인물에 대해서만 다루고 있지 않는다는 점이다. 나는 대체로 다양한 인물을 다루는 평전을 좋아한다. 우선, 국내의 사람들을 다룬 『이상과 모던뽀이들』을 만나보도록 하자. 천재적인 작가, 마치 한국의 프루스트를 연상시키는 작가, 아쉽게 요절한 '박제가 된' 작가 이상과 그의 벗들에 대한 분석서이자 시대에 관한 보고서이다. 이상의 흔적을 찾는 또 하나의 단서가 되기를 기원한다. 『스피노자는 왜 라이프니츠를 몰래 만났나』라는 책은 제목부터 나를 자극하는 평전이다. 17세기를 대표하는 두 천재 스피노자와 라이프니츠의 만남을 중심으로 하여 두 명의 '박제가 된' 철학자의 삶과 사상을 만나볼 수 있게 한다. 무엇보다 저자 매튜가 그들의 삶을 소설처럼 재미있게 전개하고, 그들의 사상을 쉽게 설명하는 것이 매력이다. 

 

 이번엔 '고전'이 아니라 고전에 관한 책들을 소개해보고자 한다. 『5분 서양고전』이 나에게 큰 관심을 주는 이유는 저자가 김욱동이기 때문이다. 김욱동이 누구냐고? 『톰 소여의 모험』, 『주홍 글자』 등 영미 문학을 다수 번역한 영미문학의 거성이다. 그런 저자가 서양고전을 성구나 고사성어와 같은 동양적 요소가 절묘하게 결합시켜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길'을 설파한다. 마찬가지로 『고전 톡톡』도 여러 저자들이 고전에 대해 수다를 떤 책이다. 여러 필자들의 주장이 참으로 재미있는 책이다. '톡하면 통하는', 그러한 길이 오길. 마지막으로, 『절대지식 일본고전』은 마쓰무라 아키라가 일본의 분야별 권위자들이 선정한 일본의 고전들을 수록한 책이다. 한 마디로 이 책은 일본고전의 백과사전이며, 동시에 일본 고전의 가이드라고 할 수 있다. 840쪽이라는 엄청난 분량이지만 일본에 대해 알고 싶은 사람이라면 즐겁게 볼 수 있을 것이다. 어찌 되었든 이 세 책을 읽었다면 고전을 한 편 읽는 게 예의 아니겠어? 

 

 6. 이제...... 끝, 하기 전에

 드디어 끝났다. 별로 대단한 일도 아니었지만, 확실히 나에겐 많은 시간을 소모하게 한 작업이었다. 그리고 이 작업 뒤에는 선정되지 못한 슬픈 이들이 있다. 그들 중 유난히 아쉬운 것을 몇 가지 꼽아본다. 

  

 1. 책의 미래(교보문고 단행본)-로버트 단턴 지음 

 2. 세계문학의 구조(도서출판b)-조영일 지음 

 3. 마이클 샌델의 정의사회의 조건(황금물고기)-고바야시 마사야 지음 

  

 4. 도시의 승리(해냄)-에드워드 글레이저 지음 

 5. 법의 재발견(W미디어)-석지영 지음 

6. 제국과 민족국가 사이에서(한길사)-이석구 지음 

 이 여섯 권의 책들도 기억해주길 바란다. 이제....... 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