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르부르크라는 미술학자가 있다. 이 사람은 유티인 은행가의 7형제 중 장남으로 태어났는데, 여섯살 때 티푸스를 앓았다고 한다. 의사는 가족들에게 절대로 그를 흥분시키지 말라는 처방을 내렸고, 가족들은 그를 안정시키기 위해 웬만한 요구는 모두 들어 주곤 했다. 그 다음이 문제다.
"영악한 바르부르크는 이를 이용하여 어린 동생들을 때리거나 부려먹었다고 한다"
그는 책을 굉장히 좋아했는데, 나중에는 이런 짓도 한다. 집안의 가업을 물려받는, 소위 장자권을 한살 아래인 동생에게 팔아 버린 것. 조건은 "그가 원하는 모든 책을 사 줘야 한다는 것"
책값이라봤자 얼마나 되겠는가? 그래서 "어린 동생은 잠시 생각한 후에 형의 제안에 동의했다"
그 결과는 어떻게 되었을까. "동생은 평생 동안 형의 엄청난 책값을 치르느라 고생을 하게 된다"
몇권이나 되기에? "그가 모은 각 분야의 책들은 모두 6만여 권에 달했다"
6만권이라니, 한권당 1만원씩만 쳐도 6억이다. 그가 죽고난 뒤 그 책들을 밑천삼아 그의 이름을 딴 연구소가 만들어졌고, 그 유명한 곰브리치가 그 연구소의 소장을 지낸 바 있다니, 동생이 허리가 휘도록 돈을 모아 그 연구소를 만든 셈이다 (<천천히 그림읽기>, 조이한.진중권 저)

6만권, 정말 엄청난 숫자다. 이 정도라면 한번씩 펼쳐 보기도 힘들었지 않을까 싶다. 우리나라에서 책을 많이 읽기로 유명했던 사람은 김대중 전 대통령이다. 그가 청와대에 입성할 때, 소장하고 있던 장서가 트럭 몇대에 실려 옮겨졌다는데, 그게 2만권인가 그랬다. 감옥생활을 오래 했고 연금을 하두 많이 당해 이런 숫자가 가능했다지만, 평범한 사람은 도달하기 힘든 숫자가 아닐 수 없다.

시인 박노해는 7년의 감옥생활을 하는 동안 1만권의 책을 읽었다고 말하는 걸 들었는데, 7년에 1만권이면 1년에 1400권, 하루에 4권 꼴이다. 난 맘잡고 책만 읽어도 하루 한권을 읽기도 힘들던데, 그게 과연 가능할까, 하는 의문이 들기도 한다. 감옥이란 곳이 책읽는 것 말고는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절망의 땅이라고 해도 말이다.

알라딘에서 활약중인 '평범한 여대생'님은 내가 아는 사람 중 가장 많은 책을 읽는 분이다. 책을 읽을 때마다 알라딘에 서평을 게재했다고 전제하면, 그가 2003년에 읽은 책은 177권, 거의 이틀에 한권 꼴이다. 이 숫자 역시 보통 사람으로서는 달성하기 불가능한 숫자 같지만, 이런 추세로 50년을 읽는다해도 1만권 돌파가 가능할지도 모르겠다.

난 30년을 거의 책한권 읽지 않고 살아왔다. 서른을 넘기고부터 뒤늦게 책에 눈을 떠 열심히 읽고 있지만, 1년에 100권씩 30년을 읽는다해도 3천권이 고작이다. 그래서 난 말한다. "권수가 뭐 중요하냐. 중요한 건 어떤 책을 읽느냐 하는 거다" 물론 내가 읽는 책이 뭐 그리 대단한 책은 아니니, 이 말 역시 별반 설득력이 없다. 책을 읽을수록 진작에 읽지 않은 것이 후회되고, 지나온 30년이 한스럽다. 남들이야 "지금이라도 읽는 게 어디야"라고 말하겠지만 말이다. 그래서 난 스포츠신문을 보는 젊은 애들을 보면 차라리 책을 읽는 게 어떠냐고 말을 하고, 시험 잘본 애들에게 상으로 책을 선물하기도 한다. 하지만 말에게 물을 먹게 할 수 없는 것처럼, 책의 소중함을 스스로 깨닫지 못한다면 나의 행동은 별 의미가 없을 것이다. 하여튼간에 책을 읽노라면 언제나 느낀다. 남은 인생이 너무 짧다고. 읽을 책은 많은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내가 드라마를 보는 건 대개 우연한 계기에 의해 이루어진다. 아는 사람의 권유나, 어쩌다 TV를

켰는데 조금 보니까 재밌더라, 이런 식으로. 저번엔 간만에 놀러온 매형과 시간을 보내려니 할말도

없고 해서 TV를 켰다가 <앞집여자> 1회를 덜컥 봐버렸고, 한번 시작한 것은 끝장을 보는 성격 탓에

종영할 때까지 그 드라마에 묻혀 살았다. 평소에는 무심한 척 하더니, 한번 빠져들면 제정신을

못차린다. "너무너무 재밌어요" 이렇게 비명을 지르고, 시청자 게시판에 글을 쓰기까지 한다.

 

초저녁부터 잔뜩 술에 취해 들어온 어제, 우연히 TV를 켰다가-사실 우연히도 아니다. 난 술만

취하면 늘 TV를 켜니깐-권상우가 폼을 잡고 특유의 반항적인 눈빛을 보내는 장면을 보게 되었다.

그때 누군가가 해준 얘기가 생각났다. "천국의 계단 참 재밌어. 그거 봐"

그 드라마는 이미 10회까지 진행된 상태지만, 인터넷이라는 현대 과학의 총아가 있지 않는가.

오늘 낮, 시간도 많은데 억지로 짬을 내가지고 1회를 봤다. 첫회부터 필이 온다. 선과 악의

대결, 내가 가장 좋아하는 구도가 아닌가.

 

아버지가 탤런트와 재혼을 하면서 곱게 자라던 한정서는 졸라 어렵게 자라던 남매와 의붓남매가

되며, 한정서의 비극은 그로부터 시작된다. 천하게 살던 애들은 못되먹었다는 설정이나 여자는

남자만 잘 잡으면 인생 끝이다라는 매우 유치한 구성이지만, 아무렴 어떤가. 난 이런 선악구도만

나오면 정신을 못차리고 열광하는데. 그간 무수히 많은 선악드라마를 봐 왔고, 이번 드라마

역시 기존 것과 다를 바가 없는데 왜 이토록 빠져드는 걸까? 나같은 애가 있으니 방송사에서도

늘 이런 식의 드라마만 방영하는 것이리라.

 

이런 류의 드라마를 볼 때마다 늘 느끼는 거지만, 악은 언제나 강하고, 선은 무력하다.

잘못이 탄로나자 한정서에게 무조건 뒤집어 씌우는 유리, 하지만 정서는 제대로 말 한마디

못하고 어이없는 표정만 짓는다. 새동생이 거짓말을 하면 사실대로 고해바치던가 할 것이지

"아빠, 어떡해야 해?"라고 울먹이면 문제가 해결되나? 이런 식의 천사표는 참으로 보는 사람을

짜증나게 한다. 유리와 이휘향의 음모로 유학을 못가게 되자 "아빠, 안돼요"라고 심난한

표정만 짓지 말고, 왜 유학을 안가면 안되는지, 그들이 자신을 어떻게 괴롭혔는지 말을 해야지

않겠는가. 혼자 힘으로 안되면 자신을 늘 지켜주는 송주오빠도 있고, 정 혼자서 삭이려면

강해지기라도 할 것이지, 침대에 누워 울먹이는 게 고작인가. 그건 착함이 아니라 바보다.

이 세상에는 유리같은 절대악도 없지만, 정서같은 절대선-절대바보-도 없다. 누구나 상황에

따라서 괴물이 되는 거지, 괴물로 태어난 애는 없는 거다. 질투에 눈이 멀어 동창과 아이들을

죽여버린 그 여인도 살아온 인생 전체가 악으로 점철된 것은 결코 아닐게다. 하지만 온갖

인간적 갈등을 드라마에 투영하려면 재미가 떨어지고, 16부작으로 턱도 없으니, 이런 식의

단순한 구도를 설정한 것이겠지. 앞으로 수요일, 목요일은 되도록이면 일찍 올 생각이다.

그런데... 다음 주는 안되겠는걸.... 술약속이.....허 참....

 

사족: 언뜻 보기에도 왕자같은 송주가 자라서 권상우가 되는 것은 매우 자연스러워 보인다. 그런데

한정서가 최지우가 되는 것은 조금 어색하다. 아무리 이해를 하려해도 최지우가 청순가련형은

아니지 않는가? <진실>에서도 늘 당하기만 하는 착한 역으로 나오던데, 글쎄다. 그게 어울린다고

생각하는 모양이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4년 처음으로 술을 마셨다. 새해 첫날에는 모교 교수님들 집을 돌면서 세배를 하는 전통이 있는데, 어제라고 예외는 아니었다.

맨 처음 간 집-채선생님댁이다-에서 중국요리에다 맥주 4캔과 양주 석잔을 마셨다. 난 양주보다는 소주를 좋아하지만, 선생님 댁은 양주를 마음껏 먹는 몇 안되는 좋은 기회이기에 좀 마시는 편이다. 와인은 전혀 못먹는 내가 양주 중에서 가장 좋아하는 술은 발렌타인이다. 맛은 구별하지 못하지만 햇수가 오래될수록 비싸다는 것 쯤은 알고 있다. 채선생님은 발렌타인 17년산을 꺼내 놓으셨고,  난 석잔을 마셨다. 그거밖에 안마신 이유는 다음 번에 들를 이선생님 댁에 고급 양주가 있을 거였기 때문.

작년에  이선생님 댁에 갔을 때, 난 발렌타인 30년산을 처음으로 먹었다. 맛은 기억하지 못하고 그냥 먹었다는 사실만 생각나지만, 하여간 먹었다. 술맛을 안다는 내 동료는 "역시 틀려!"라면서 아는 체를 했지만, 그에게 눈을 가리고 구별해 보라면 12년과 30년도 구별하지 못할 것임을 확신하는 바다.

몇년 전, 이선생님 댁에서 발렌타인 17년이 나오기에 귀한 술이라고 생각해서 옆에다 끼고 홀짝홀짝 다 따라 마셔버렸다. 술이 거의 비어가자 선생님은 갑자기 "어, 술이 없네?" 하면서 21년을 꺼내놓으시는 거다. 급한 마음에 남은 17년을 다 비우고 21년을 허겁지겁 마셨는데, 얼마 안있어서 다들 일어나는 분위기다. 나도 따라서 일어났는데, 일어나다가 그만 몸이 기우뚱 하면서 바닥에 쓰러졌다. 아픈 것보다, 모든 사람의 시선이 나에게로 향했기에 굉장히 쪽팔렸던 기억이 난다.

발렌타인을 그래도 몇번 먹어본, 그것도 30년까지 먹어본 사람이니 이제 좀 의젓해야 한다고 스스로를 달랬지만, 이선생님이 꺼내놓으신 21년산을 어찌 지나칠 수가 있겠는가. 나만큼 발렌타인을 좋아하는 다른 사람과 경쟁을 하듯 홀짝홀짝 따라마셨고, 다음 차례인 홍선생님 댁에 가는 것까지는 별 문제가 없어 보였다. 하지만....

홍선생님이 노량진 수산시장에서 떠왔다는 싱싱한 회를 보자 난 그만 이성을 잃어 버렸다. 회를 어찌 술 없이 먹겠는가. 맥주를 두병쯤 마시고, 몇년산인지 기억도 안나는 양주를 마셨다. 그 다음 일은 기억에 없다. 택시 아저씨가 깨우는 바람에 난 내가 집에 도착한 것을 알았는데, 그때 시각은 놀랍게도 오후 7시 40분이었다. 그럼 도대체 몇시에 맛이 간 걸까? 혹시 실수는 하지 않았을까? 온갖 걱정들이 머리 속을 어지럽히지만, 너무 걱정하지 않으련다. 며칠만 잠복해서 선생님 앞에 나타나지 않으면 다 잊어버리실 테니까. 그리고, 내가 어디 실수 한두번 하나? 후회가 전혀 안되는 것은 아니지만, 새해 첫날 그래도 알차게 술을 마셨다는 데 만족한다. 첫날부터 마시면 한해 내내 마신다는 말도 안되는 말은 잊어 버리자. 첫날은 첫날이고, 오늘은 오늘의 삶을 살면 되는 거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몇년 전부터, 책달력을 써왔다. 책 한권을 다 읽고나면 달력의 날짜 밑에 기록을 했더니, 월별은 물론이고 일년에 내가 얼마나 책을 읽었는지 알 수가 있었다.

책을 읽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시간을 난 술마시는 데 투자한다. "술자리의 횟수가 많은 것은 내 인기도가 그만큼 높다는 것을 증명한다"는 허황된 믿음에 빠져, 이놈, 저놈과 허구헌날 술을 마셔댔다.

책달력을 만들기 전, 술달력을 만든 적이 있다. 도대체 내가 얼마나 마시는가, 이런 식으로 계속 마시다 보면 오래 못살지 않을까 걱정되어서 술을 마실 때마다 체크를 했다. 책달력을 쓰고 나니 기록 경신에 눈이 어두워져 훨씬 더 많은 책을 읽게 된 것처럼, 술달력 역시 나로 하여금 갖가지 기록을 양산하게 만들었다. "18일 연속 술 마시기"를 비롯해서 "한달간 27회"라는 믿지 못할 기록도 그때 나왔다. 97년, 그렇게 줄기차게 술을 마시다가 달력을 보니 97년은 닷새가 남았고, 그때까지 마신 횟수가 298회다. 딱 300번을 채우면 사람이 좀스러워 보일 것같아, 사람을 바꿔가면서 닷새 내내 마셨다. 97년 세운 303회의 기록은 좀처럼 깨질 것 같지 않았지만, 이듬해인 98년에 놀랍게도 305회를 마심으로써 간단히 기록을 깼다. 술달력이 있는 한 제명에 못살겠다는 생각이 들어 99년부터는 그런 짓을 안했고, 그래서인지 99년에는 역사상 가장 적은 술을 마셨다 (정확한 통계는 없지만, 대략 150회 이하일 것이다).

하지만 그건 그리 오래가지 않아 새천년이 도래한 2000년부터 난 다시금 술에 매진했고, "주 4회 이하를 마시자"는 결심이 별로 지켜지지 않은 걸 보면 그동안 해마다 꾸준히 200회 이상을 마셔온 것 같다. 2003년 12월은 그 하이라이트로, 하도 술을 마셔대니 어느날 저녁에 어머니가 현관 앞에 버티고 서서 내가 나가는 것을 말리는 일도 벌어졌고, 취미생활인 헌혈을 했더니 "간수치가 높으니 당분간 헌혈을 자제해 달라"는 통보까지 받았다.

2004년 새해, 다시금 술달력을 만든다. 기존의 술달력이 나로 하여금 더 많은 술을 마시게 하는데 일조했다면, 지금의 술달력은 나에게 성찰을 촉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다. 올해 난 "연간 180회 이하"라는 목표를 세웠다. 이틀에 한번이니 달성하기가 그리 만만치 않을 것이다. 술에 길들여진 나쁜 친구들이 적극적인 방해를 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내가 누군가. 97,. 98년 연속으로 300회 이상을 달성한 인간이 아닌가." 300회를 마실 수 있는 사람은 180번도 마실 수 있다"는 타고르의 말을 상기하면서, 올 한해를 살 작정이다. 여기 기록되는 나의 술 행적이 나의 수명을 연장시켜 줄 것을 기대하면서 이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존 스튜어트 밀, 일명 JS 밀은 '자유론'을 집필한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그의 아이큐가 200을 넘었던 천재라는 것도 웬만한 사람은 다 알고 있을 것이다(몰랐다고 해서 '웬만하지 않다'는 건 결코 아니다). 그의 생애를 좀 살펴보다 보니 감동적인 사랑 얘기가 나오는데, 이게 과연 진정한 사랑일까 헷갈리는 터라 여러분의 의견을 구하고자 한다. JS밀의 생애는 '시사인물사전 14권; 여성의 광기를 잠재운 여성들'을 참고했다.

1. 어린시절
우리나라에 '영재교육' 열풍이 분 지는 좀 되었지만, JS밀은 이미 2세기 전에 유명한 철학자인 아버지 제임스 밀로부터 엄격한 영재교육을 받았다. 즉, 학교같은 곳을 안보내고 아버지가 다 가르쳤는데, 이런 식이다. [저녁에는 아버지로부터 산술을 배웠고, 아침에는 산책을 하는 아버지를 따라 나서서 그 전날 읽었던 책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는 했다...세살 때 그리스어를 배웠고, 여덟살이 되었을 때 누이동생과 함게 라틴어와 고등수학을 배웠다....밀은 열두살이 되기까지 세권의 저서를 집필하기도 한다].

이렇게 살다보니 그의 지적능력은 당연히 탁월한 경지에 이르렀지만, 당연히 외롭고 고독한 삶을 감수해야 했다....

2. 해리엇 테일러와의 만남
JS밀은 24세 때, 해리엇 테일러를 만난다. 그 첫 만남을 밀은 "내 생애의 명예이자 축복"이라고 자서전에서 기술하고 있다. 문제는 해리엇이 이미 한 남자의 아내이자 두 아이의 엄마였다는 사실이다. 그래서 그들은 첫 만남 이후 21년간 '플라토닉한 관계'로 계속 지속되었고, 그러다 결국 해리엇의 남편이 암으로 세상을 등진다. 그로부터 2년 뒤 그들의 사랑은 결혼이라는 결실을 맺을 수 있었으니, JS밀의 엄청난 인내가 존경스럽기까지 하다.

하지만.... 그 둘이 긴 세월 동안 플라토닉한 사랑을 하는 동안, 그 남편의 심정이 어땠을까? 그가 암이 생긴 건 혹시 '홧병'에서 기인한 건 아닐까? 박성범의 부인도 신은경 때문에 홧병으로 죽었다고 세간에 전해지지 않는가? 당연히, 남편은 해리엇이 밀과의 관계를 끊기를 지속적으로 요구했고, 견디다 못한 해리엇이 자기만의 시간을 달라고 해 6개월간 별거를 하기도 했지만, 해리엇은 밀과의 만남을 포기할 수 없었다.

결국 남편은 자신의 집에서 해리엇이 외형적으로나마 아내 역할을 해주는 조건으로 자신의 아내와 밀의 만남을 용인했다. 저자는 이걸 가리켜 [그들의 사랑을 용인하는 남편의 관용정신이 대단하고, 밀과 해리엇의 무던함도 참 대단하다]고 했지만, 글쎄 그걸 그렇게만 볼 수 있을까?

또하나, 밀은 그당시 여성들이 자유롭게 이혼할 수 있는 자유를 외치곤 했다는데, 그건 밀이 자유주의자라서 그런 것도 있겠지만, 해리엇을 의식한 측면도 있을 것이다. 아무튼 남편의 죽음으로 해리엇과 결혼한 밀은 해리엇의 죽음(폐충혈이었다고 한다)으로 인해 7년 반만에 행복한 결혼생활을 끝내게 된다. 21년을 기다려 7년 반이라... 밀은 여기서 좌절하지 않고, 해리엇이 살아 있었다면 자기에게 원했을 많은 업적들을 쌓았고, 당대의 철학자로 이름을 올리게 된다.

다른 사람의 희생을 전제로 한 사랑이긴 해도, 그 둘이 진정으로 사랑했었다는 건 틀림없는 것 같다. 진정 사랑하는 사람을 만났는데, 이미 한쪽이 결혼한 후라면 정말 안타까울 것이다. 영화에서처럼 번지점프를 할 수도 없는 노릇이고... 가문과 가문의 결혼이던 중매결혼이 이런 과정을 거쳐 오늘날의 '연애결혼'으로 바뀌었으리라. 하지만 연애결혼을 한다해도 사이가 안좋은 사람이 많으니... 나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