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존귀함! 그래 내가 하고 싶은 말이 이거였어!
박경리 선생님의 유고집인 《일본산고》
이 책 읽기 시작하자마자...
이런 말이 나온다. 정신대(挺身隊)를 바라보는 작금의 현실에 대하여.
한 사람 책임지는 자 없고 벌받은 자 없는 그들에게 푼돈 얻어낸, 청풍당상의 그야말로 더럽혀지지 않았던 양반들, 차라리 그것은 희극이다. 혹자는 말하리라. 그 푼돈도 우리 발전의 밑천이 되었노라고. 그러나 자[尺]로는 잴 수 없고 저울로도 달 수 없는 가치도 있다. 그 가치로 인하여 우리는 인간인 것이다. 아무리 즉물적(卽物的) 세태라 해도 우리는 그 이상의 가치를 꿈꾸며 산다. 물질도 있어야 하고 계산도 해야 하지만 삶의 존귀함도 있어야 한다. 인간의 존엄, 문화의 본질, 인간다운 연유도 거기 있으니 말이다.(17~18쪽)
내말이 그 말이라니까...! 그 푼돈 받아서 고속도로 깔아달라고 한 적 없고 잘먹고 잘 살고 싶은 생각 없었을텐데 왜 아무 해도 입지 않았고 일본 육사 졸업한 그 분이나 검찰 총장까지 한 ˝청풍당상의 그야말로 더럽혀지지 않았던 양반들˝은 어째서 여전히 지 멋대로 예단하는건지 알수가 없다.
˝이 강산의 딸들이 일본 병사의 화장실 역할을 했던 일˝이 아무리 간접경험이라서 관념적일 수밖에 없다해도 우리의 의식 깊이 내재되어 있는 최소한의 증오심은 남아 있어야하지 않는가 말이다. 저 아우슈비츠의 비극보다는 낫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대통령을 비롯한 이 땅의 남자들(소수인지 대부분인지 알 수 없지만 난 극소수일 것이라 믿고싶다)의 생각이어서 침묵하고 오히려 일본의 논리와 경제 논리를 내세우는거라면 나는 감히 그 사람들을 인간이라고 말하고 싶지 가 않다.
약육강식의 ˝즉물적 세태˝에 살면서 난 아직도 인간으로서의 ˝존귀한 삶˝이라는 꿈을 꾸는걸지도 모르겠다.
국제 도서전 갔다 알게 된 딸램 친구가 책을 보내 주었다. 모두 한 출판사(다산 책방 만세!!) 책이다!
《맡겨진 소녀》,《우정도둑》,《토지1》,《김약국의 딸들》, 그리고 《일본산고》까지 다섯 권이나..ㅎㅎ
《맡겨진 소녀》와 《우정도둑》만 살포시 부탁하고 왔는데 여러 권을 보내주어서 깜짝 놀랐다.
그런데 문제는... 《토지》는 이미 거금 투자 펀딩해서 세트로 받아버렸다. 토지 안 읽었을 걸로 생각해서 보내주셨단다. 그래도 너무 감사해!~~~
그런데 또 문제는 펀딩했던 《토지》 세트 중 1권이 제본 불량으로 재발송 해주면서 《김약국의 딸들》도 함께 보내주기로 했다는데 이번주 중에 도착할 듯하다. 갑자기 《토지 1》권이 3 권, 《김약국의 딸들》은 2 권이 되어 버리는 놀라운 사건이 벌어진 것이다. 얼른 선물해야지~~^^
오늘 아침 도서관에 책 반납하러 갔다 자꾸 쫓기듯 책을 읽어야하는게 싫어 오늘은 빌리지 말아야지 했는데... 쪼금만 하면서 아주 약소하게 두 권을 또 빌려왔다. 다시 7권이 되었다.
《토니와 수잔》은 오랜만에 장르소설 읽고 싶어서 관심도서로 리스트업 해놨다 빌려왔다. 책이 안 읽힐 땐 장르소설~~~ 기분전환도 되고 책장도 술술 넘어가는 신나고 즐거운 시간을 보낼수 있다.
《패배의 신호》도 오랜만에 사강의 소설이니까 괜찮지 싶어서... 사강의 소설은 여러 권 읽었지만 텀을 두고 가끔 읽어주면 질리지 않고 잘 읽힌다는 장점이 있다. 근데 내용은 전혀 몰라~~~ 무작정 읽어보는 거다.
조선호박 아니고 애호박들 왜 이리 잘 열리는건지...
곤란해~~~~
계속 누군가에게 안겨줘야한다.
에구구... 오늘은 뭐 해먹나... 냉장고에도 애호박 있는데 밭에 달린 애호박이 대체 몇개냐 주체가 안된다.
제길...
근데 왜 모바일에선 #태그 등록이 안될까? ? ?
알라딘에서 다산북스 재정가전 한다~~
50%인하전이긴한데... 보고 싶은 책이 있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