靜菴 趙光祖가 갓 젊은 나그넷길에서 어느 집에 한동안 묵으려 했을

때, 그 집 시악씨가 한눈에 반해 홰를 치고 바짝거려 오고 있었던 걸로

보면 趙光祖는 생김새도 아주 잘생긴 美男子이기도 했던 모양이다.

 

  그러나 光祖는 그 여인의 秋波를 받아들이질 않고,  냉큼 딴 집을 찾

아 옮겨 가려고만 하고 있었다.


  여자가 마지막 작정으로 그 머리에 꽂은 비녀를 빼 光祖에게 주었을

때,  光祖는 그걸 위선 받아 가지고 가긴 했지만, 이내  되돌아와서 그

비녀를 그 여자의 집 한쪽 벽 틈에다 꽂아 놓고 물러가 버렸다.


  어땠을까?

  光祖가 그 때 그 여자의 秋波를 받아들여 한때 히히덕거리며 즐길 수

도 있는 사람이었더라면, 그의 서른 여덟 살 때의 그 飮毒死刑 같은 건

면할 수도 있지 안 했을까? 적당히 그때그때를 끌끌끌끌 히히덕거리면

서 父母妻子 안 울리고 살아남아 있었을 것이다.


                    -『燃黎室記述』 卷之八 , 中宗朝 「己卯黨籍」條


-------------------------------------------------------------------


미당의 역사관이란 이런 것이었다. 조광조가 주초위왕의 누명을 쓰고 비극적 최후를 맞이하는 기묘사화 이야기는 TV사극의 단골메뉴이다. 아마 본인이 기억하기에 가장 최근에 조광조역을 맡은 배우는 유동근이었던 것 같다. 텔레비전 사극에서 조광조는 꼬장꼬장한 대쪽같은 선비라기보다는 뭐랄까 신념과 사명감에 불타는 혁명가 비슷한 이미지였다.


미남자에 공부도 잘하는 정의의 사나이였으니, 팬도 많았겠지만 당연히 적도 많았겠다. 팬이 많았으니 사림의 정신적 표상이 되었을 것이고, 적도 있었으니 끝내 뜻을 이루지 못하고 비명횡사의 비운을 겪었을 것이다. 시악씨의 추파를 받아들여 히히덕거렸다면 부모처자야 울리지 않았겠지만 이른바 표상이 되지는 못했을 것이다. 둘 다 얻을 수는 없다. 하나는 포기해야 하는 법인데, 우리네 같은 필부필부에 이르면 부모처자의 눈물이 너무 가슴에 사무치는 것이다. 



조광조 趙光祖 (1482∼1519, 성종 13∼중종 14)

자는 효직, 호는 정암. 김굉필의 문인으로, 김종직의 학통을 이은 사림파의 영수이다. 김굉필·정여창·이황과 함께 동방4현의 한 사람으로 꼽힌다. 1510년 사마시에 합격, 1517년 경연시독관과 춘추관기주관을 겸임, 1518년 부제학, 대사헌. 1519년 정국공신 위훈삭제를 강력하게 청하다가 남곤·홍경주 등으로부터 강한 반발을 사서 전라도 능주로 유배되고, 이어 사사되었다. 그의 도학정신(道學精神)은 후세에 계승되어 이황·이이 등 많은 후학들에게 영향을 주었고, 사림의 정신적 표상이 되었으며, 조선유학의 기본적인 성격을 형성하였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붉은돼지 2006-02-22 10: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광조, 광조 하니까 문득 가수 이광조가 생각난다. 소문도 무성했는데 지금은 어디서 무얼하고 있을까? (내가 쓴 글에 내가 댓글을 달자니 좀 그렇다...)
 

 

흐린 날엔 텃밭에 나가

익모초 잎을 딴다.

초막 뒤로 지는 노을

시린 팔목도 굽은 어깨도

진눈깨비에 젖어 흐르다 보면

못다한 이승의 아름다움

쑥대궁 뿌리마다 단단히 박아 두고

어즈버 내 없는 날

봄 푸른 들판 되어

꽃피고 새움이 돋듯 그렇게

다시 살았거라 두고온 것들도 수런대며

돌아와 뒤뜰 동백잎 함께 아물어갈 때

일어나 터지거라 터지고도 모자라면

또다시 누워 채마밭이 되고 새암이 되고

먼 데서 오는 한 벗 구름뿐인 고요가 되고

슬픔이 되어 내 묻힌 노지나 묘등에

땅만 보고 섰을 풀줄기 되라

 

----------------------


유배란 성격에 따라 3가지로 구분된다. 환도, 부처, 안치가 그것이다. 환도(還徒)란 죄인을 고향에서 천리이상 떨어진 곳으로 강제이주시키는 형벌이다. 증보문헌비고를 보면 장100에 유 2000리, 장100에 유 3000리 등의 유형으로 세분되는데(물론 장은 곤장을 말한다. 곤장을 백대나 때리고 천리밖으로 쫓아내니 그 형벌이 참으로 가혹하다 할만하다.) 좁은 조선국토에 3천리가 나올수 없으니 유배길을 구불구불 왔다갔다해서 3천리를 채우는 곡행(曲行)이라는 편법이 사용되기도 했다. 부처(付處)는 중도부처의 준말로 주로 관원들에게 내려졌던 형벌로 유배지 관내 수령에게 유배인 관리의 재량권을 일임하였다.


안치(安置)는 유배인의 거주를 제한시키는 것으로 본향안치, 절도안치, 위리안치가 있다. 본향안치(本鄕安置)는 말 그대로 유배인을 고향에 안치시키는 것으로 죄질이 가장 가벼운 사람에게 적용되었다. 유배중에 가장 가혹한 조치인 절도안치(絶島安置)는 중죄인을 원악(遠惡)한 도서에 유폐시키는 방법이다. 윤선도가 보길도에, 김만중이 남해 노도, 추사와 광해군은 제주도에, 송자라 칭송받던 송시열이 83세의 나이로 안치된 곳도 제주도였다. 조선조에 유배된 지식인이 대략 700여명이고 그중 170여명이 전라도 제주도 일대에 유배되었으니, 제주도가 49명, 진도27명, 흑산도가 15명이라 한다. 집주위에 울타리를 치거나 가시 덤불을 쌓고 그 안에 유배인을 유폐시키는 것이 위리안치(圍籬安置)인데, 이는 상징적인 조치로 실제 유배인의 행동범위가 울타리 안으로만 제한된 것은 아니었다.  - 양진건 저  <그섬에 유배된 사람들>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물살 센 노량해협이 발목을 잡는다

宣川서 돌아온지 오늘로 몇 날인가

윤삼월 젖은 흙길을

수레로 천리 뱃길로 시오리

나루는 아직 닿지 않고

석양에 비친 일몰이 눈부신데

망운산 기슭 아래 눈발만 차갑구나

 

내 이제 바다 건너 한 잎

꽃 같은 저 섬으로 가고 나면

따뜻하리라 돌아올 흙이나 뼈

땅에서 나온 모든 숨쉬는 것들 모아

화전을 만들고 밤에는

어머님을 위해 九雲夢을 엮으며

꿈결에 듣던 남해 바다

삿갓처럼 엎드린 앵강에 묻혀

다시는 살아서 돌아오지 않으리


 

------------------------------------


유배문학이라는 것이 있다. 생각해 보면 옛날의 유배라는 것이 멋이 있었다는 생각도 든다. 철없는 넘의 천지를 분간하지 못하는 소리일 것이다. 아마도 우리 국문학의 대단히 아름다운 것들 중 많은 것들이 유배지에서 생산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서포 김만중이 유배지에서 사씨남정기와 구운몽을 지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유배문학의 대가로는 단연코 윤선도를 들 수 있겠다. 지국총 지국총 어사와 어쩌구 저쩌구리하던 어부사시사가 아마도 그 유명산 보길도에서 지어졌을 것이다. 다른 문장은 기억에 가물거리는데 ‘지국총’하던 부분은 분명하게 기억난다. (그런데 지국총이 무슨 뜻이었지?) 고등학교 고문시간에 어부사시사를 배우면서, 죄를 지어 귀양간 인사가 배를 저어라, 닻을  올려라 어쩌고 저쩌구리하니 참 팔자도 좋아 늘어졌구나, 그런 귀양이라면 서로 갈려고 줄섰겠다 하는 한심한 생각도 했었다.


정약용 형제를 뺄 수 없겠다. 다산이 남해 일대를 전전하며 18년의 유배생활을 했지만 끝내는 살아 생전에 고향땅을 밟았고, 유배지에서 저술한 대단한 저작들로 그 명성이 후세에까지 자자하게 회자했으니 그 삶이 덧없었다고 할 수는 없으리라. 그러나 형 정약전은 끝내 적소 흑산도에 뼈를 묻었으니, 섬 주위에서 물고기들이나 물풀들과 벗하며 쓸쓸하게 살았을 그 삶을 생각해보면 슬프다. 후세의 한 현직 고등학교 생물교사가 <현산어보를 찾아서>라는 책을 내게 된 것은 진정 의미있는 작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붉은돼지 2006-02-20 12: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김영승의 시에는 빤스가 자주 등장한다. 그런데 김영승은 빤스가 하나 뿐인 것 같다. 빤스가 너무 적어서 반성하는 것일까?
 

 

제1신 

아직은 미명이다. 강진의 하늘 강진의 벌판 새벽이 당도하길 기다리며 죽로차를 달이는 치운 계절, 학연아 남해바다를 건너 牛頭峰을 넘어오다 우우 소울음으로 몰아치는 하늬바람에 문풍지에 숨겨둔 내 귀하나 부질없이 부질없이 서울의 기별이 그립고, 흑산도로 끌려가신 약전형님의 안부가 그립다. 저희들끼리 풀리며 쓸리어가는 얼음장 밑 찬 물소리에도 열 손톱들이 젖어 흐느끼고 깊은 어둠의 끝을 헤치다 손톱마저 다 닳아 스러지는 謫所의 밤이여, 강진의 밤은 너무 깊고 어둡구나. 목포, 해남, 광주 더 멀리 나간 마음들이 지친 봉두난발을 끌고와 이 악문 찬 물소리와 함께 흘러가고 아득하여라, 정말 아득하여라. 처음도 끝도 찾을 수 없는 미명의 저편은 나의 눈물인가 무덤인가 등잔불 밝혀도 등뼈 자옥이 깎고 가는 바람소리 머리 풀어 온 강진 벌판이 우는 것 같구나

 

제2신

이 깊고 긴 겨울밤들을 예감했을까 봄날 텃밭에다 무우를 심었다. 여름 한철 노오란 무우꽃이 피어 가끔 벌, 나비들이 찾아와 동무해주더니 이제 그 중 큰 놈 몇 개를 뽑아 너와지붕 추녀 끝으로 고드름이 열리는 새벽까지 밤을 재워 무우채를 썰면, 절망을 쓸면, 보은산 컹컹 울부짖는 승냥이 울음소리가 두렵지 않고 유배보다 더 독한 어둠이 두렵지 않구나. 어쩌다 폭설이 지는 밤이면 등잔불을 이루어 詩經講義補를 엮는다. 학연아 나이가 들수록 그리움이며 한이라는 것도 속절이 없어 첫해에는 산이라도 날려보낼 것 같은 그리움이, 강물이라도 싹둑싹둑 베어버릴 것 같은 한이 폭설에 갇혀 서울로 가는 길이란 길은 모두 하얗게 지워지는 밤, 四宜齊에 앉아 시 몇 줄을 읽으면 세상의 법도 왕가의 법도 흘러가는 법, 힘줄 고운 한들이 삭아서 흘러가고 그리움도 남해바다로 흘러가 섬을 만드누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