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필 

뭐니뭐니해도 역시 고사성어 정치의 진정한 달인은 김종필이다. 영원한 2인자로 오랜 정치여정 동안 파란곡절의 굽이굽이마다 시의적절한 사자성어로 혹은 시대를 평하고 혹은 울분을 토하고 혹은 자신의 심정을 애둘러 전하기도 했다.   

우선 신년휘호를 살펴본다.
1994년 상선여수(上善如水·물과 같이 순리에 따라 산다)
1995년 종용유상(從容有常·무슨 일이 있어도 어긋나지 않게 산다)’
1996년 부대심청한(不對心淸閑:대꾸하지 않으니 마음이 한가롭다),
1997년 줄탁동기((啐啄同機 모든 일에는 때가 있다는 설명)
1998년 사유무애(思惟無涯:생각하는데 막힘이 없다),
1999년 일상사무사(日常思無邪:매일 나쁜 생각을 버려야 한다),
2000년 양양천양 유유고금(洋洋天壤 悠悠古今:우주는 한없이 넓고 역사는 아득히 멀다),
2001년 조반역리(造反逆理:뒤바꾸는 것은 세상이치를 거역하는 것),
2002년 이화위존(以和爲尊:화합하는 것이 가장 존귀하다).  

JP가 선정한 고사성어에는 운치와 멋이 있었기 때문에 인기가 좋아 요즘 개그맨의 유행어 못지않게 히트친 사례도 많았다. 1980년 이른바 '서울의 봄'이 왔다고 모두가 생각하고 있을 때, 당시 JP는 "한국에는 지금 봄이 오고 있다. 그러나 아직은 꽃이 피어날 봄인지 겨울 속으로 돌아갈 봄인지 알 수 없다. 춘래불사춘의 정국이다"라고 했다. 요즘도 가끔 들먹이는 유명한 춘래불사춘의 유래다. 1995년 김영삼 당시 대통령과 결별하며 민자당을 탈당할 때에는 '토사구팽(兎死拘烹:토끼 사냥이 끝난 뒤 사냥개를 삶는다.)' 당했다고 말해 인구에 회자된 경우도 있다. 일반인들도 누구로부터 조금 섭섭한 일을 당하면 “팽”당했다“ 고 줄여서 쓰기도 했다. 내각제 개헌을 빌미로 삼당합당후 내각제 개헌이 좌절되자 ‘소이부답’으로 심경을 나타내기도 했다. 토사구팽을 말할 때는 분노와 울분이 있었지만 소이부답에 와서는 체념과 초탈의 감상이 느껴진다.  

3김 중에서 줄기차게‘대도무문(大道無門)’만 열심히 썻던 YS나 ‘실사구시(實事求是)’, ‘경천애인(敬天愛人)’ 등 교과서적인 문구만 선호했던 DJ에 비하자면 JP의 사자성어에는 확실히 글하는 선비의 풍류와 멋이 있었고 여운과 깊이가 있었다. DJ도 박학다식이지만 아무래도 인문학적인 특히 한학적인 소양에 있어서는 역시 JP만한 이가 없다는 생각이다.  

JP는 5살 때부터 부여 서당에서 천자문으로 기초부터 익혔다고 한다.여기에 인전 신덕희에게 배운 필법을 더했고 일중 김충현,여초 김응현 등 대가들과의 친분도 있었다. JP는 예서를 즐기는데 굵고 반듯한 서체인 만큼 강한 힘이 느껴진다는 평이다.80년 신군부에 의해 연금당했을 때는 붓을 잡고 시간을 보냈다고 한다. 적소의 긴밤을 버티기에는 역시 독서와 서예. 즐겨 쓰는 글씨는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5·16 이후 좌우명으로 삼은 일신우일신(日新又日新)도 자주 쓴다.술집에서 기분이 좋으면 치마폭에 글씨를 써주는 멋을 부리기도 하고 친한 기자에게는 일필위공(一筆爲共)이라는 휘호를 선물하기도 했다 한다.JP는 대표적인 한자병용론자다.총리 시절 카드형 주민등록증이 만들어질 때 이름에 한글만 사용키로 했다는 보고를 받고 그 자리에서 한자를 병용토록 지시한 일화는 유명하다.  

JP가 1997년에 쓴 줄탁동기(啐啄同機)가 십년지나 다시 등장했다.줄탁동시(啐啄同時)라고도 하는데, 1997년 대선을 앞두고 김종필 당시 자민련 총재가 신년휘호로 사용하면서 널리 알려졌는데 당시 JP는 세상 일에는 때가 있다는 의미로 사용했지만  2008년 8월 삼성경제연구소의 경영자대상 사이트인 SERICEO가 국내 CEO 307명을 상대로 불황대처를 위한 사자성어를 조사한 결과 줄탁동시란 응답이 21.6%로 가장 많았다고 밝혔다. ‘병아리가 알에서 나오려면 새끼와 어미닭이 안팎에서 알을 쪼아야 하듯 기업이 불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노사 간 이해와 협조가 최우선이다.’는 해석이다.   

‘줄탁동시’란 중국 송대 선종(禪宗)의 화두를 모은 공안집(公案集)인 ‘벽암록’에 나오는 화두다.‘줄탁동기( 啄同機)’라고도 한다. 알 속의 병아리가 밖으로 나가려고 안에서 껍질을 쪼아대는 것을 ‘줄’이라고 하고, 어미 닭이 이에 맞춰 밖에서 껍질을 깨주는 것을 ‘탁’이라고 하는데 말하자면 아들은 수레를 앞에서 끌고 아버지는 수레를 뒤에서 밀어주는 형국이라 할까 뭐 그런 의미다. 어려운 한자인 탓인지 일상에서 잘 안 쓰이는 사자성어다.  

지난날 3김의 영토는 그리 무성하고 울창했건만 지금은 그 언저리 어디에 쓸쓸한 풀 몇 포기만 남아 있는 듯하다. 3김시대. 무슨 삼국시대 이야기처럼 아득하게 느껴진다. 내 말투가 마치 옛시절을 그리워하는 것 같다. 과거를 잊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세월의 무상함을 안타까워 하는 것일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6.12.26. 당시 한나라당 대선주자였던 이명박 전 서울시장은 서울 견지동 사무실인 '안국포럼'에서 가진 송년 기자간담회에서 내년을 상징하는 사자성어로 '한천작우'(旱天作雨)를 꼽았다. 맹자의 '양혜왕'편에 등장하는 '한천작우'는 '한여름에 심하게 가물어서 싹이 마르면 하늘은 자연히 구름을 지어 비를 내린다.'는 뜻이다.   

 


이 전 시장은 "내년에는 희망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의미에서 '어지러운 세상이 계속되고 백성이 도탄에 빠지면 하늘이 길을 열어준다.'는 뜻의 '한천작우'를 골랐다."고 덧붙였다. 이는 최근의 국정혼란 상황을 우회적으로 비판하는 동시에 내년 대선 승리에 대한 의지를 밝힌 것으로 풀이되었다. 
가문 하늘에 비를 내렸는지 어쨋는지 여하튼간에 2007.12.19. 대통령 선거에서  이명박 후보가 당선되었다.   

 

2007.12.30. 이명박 대통령 당선자는 `나라가 태평하고 해마다 풍년이 든다'는
의미의 `시화연풍(時和年豊)'을 2009년도 신년 사자성어로 정했다. 조선왕조실록에 여러 차례 등장한다는 이 `시화연풍'은 조선시대 임금이 등극할 때나 새해 어전회의에서 국정의 이상으로 내거는 문구로, '화합의 시대를 열고 해마다 경제가 성장한다'는 뜻으로 해석된다고 한다. 
2008년 2월 대통령 취임식 식전행사의 주제도 ‘시화연풍’이었는데, 당시 식전행사에서 박범훈 중앙대 총장이 작곡한 ‘시화연풍 아리랑’이 연주되기도 했다. 주호영 당시 당선자 대변인이 들어보인 당선자가 직접 썼다는 A4용지 크기 시화연풍 휘호는 그 옛날 김영삼 전 대통령이 큰 화선지에 큰 붓으로 일필휘지 휘날리던 붓글씨와 비교하자면 대통령의 휘호로서는 조금 소박하다는 느낌이다. 2007년 5월에 쓴 한천작우와 비교해 볼때 같은 사람의 글씨인지 약간 의아스럽다.  

 

궁벽한 향촌의 미관말직이 언감생심 어필(御筆)의 진위에 대해 왈가부하는 것이 가당찮은 일인 줄은 알지만 자고로 궁금한 것이나 의문사항이 있으면 불치하문도 감수하는 것이 선비의 공부법. 허나 둘러봐도 어디 물어볼 곳도 누구 불러볼 사람도 없고, 푸른 기와 대궐의 연풍문, 시화문 앞에 납작 엎드려 직부상소라도 올리라고 하니 곽중에 어데 가서 도끼 한자루 구할 데가 또 없느니 대충 그런 줄 알고 넘어갈 수 밖에 도리가 없다.  

 

2009.2.15. 청와대는 청와대 민원실이라 불리던 40년 된 낡은 단층건물 ‘북악 안내실 증축공사’ 준공식을 가지면서 안내실 건물의 이름도 내부 공모를 통해 ‘연풍문’으로 바꿨다. 청와대 서쪽에 있는 ‘분수대 안내실’의 이름은 당연하게 ‘시화문’이 되었다. 연풍문의 가장 큰 특징은 청와대 경내 최초의 ‘그린 오피스(Green Office)’ 건물이라는 점이다. 청와대 김백준 총무비서관은 “연풍문 건립은 생활의 녹색화에 대한 정부 의지를 드러낸 상징적 조치”라고 말했다. 연풍문은 지하 200m의 15℃ 정도인 지열(地熱)을 이용해 냉난방에너지로 활용하고 있다. 또한 지붕과 전면 유리에는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시스템을 설치했다고 한다.  

 

필부필부에서 왕후장상에 이르기까지 세상 만사 모든 일이 자기 뜻대로 된다면 무슨 근심 걱정이 있겠는가 만은 역시 근심 걱정이 없으면 세상 사는 재미도 없는 법. 초등학교 학급 반장에 당선되어도 장밋빛 청사진이 화려한데 일국의 대통령 당선자로서 ‘시화연풍’이야 당연한 바램일 것이다. 백성들이 함포고복하며 강구연월을 구가하는 것은 예로부터 성군을 꿈꾸는 군왕들의 오랜 비원이었으니 일국이 분연히 일어서는 데는 지도자의 역할에 더하여 국민들의 통합된 노력도 필요할 터이다.

 

이 대통령은 또, 2008. 6.16. 제주 국제컨벤션센터(ICC)에서 열린 제8차 아셈(ASEM) 재무장관회의에 참석, 환영사에서 ‘마음만 있으면 아무리 멀리 떨어져 있어도 이웃처럼 가깝게 느낄 수 있다’는 의미의 사자성어 ‘천리비린(千里比隣)’을 인용, “아시아와 유럽은 비록 지리적으로는 멀리 떨어져 있지만 서로에게 마음을 열고 이해와 협력을 폭의 넓힌다면 누구보다 더 가까운 이웃으로 발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보다 훨씬 이전인 2000년 지난 4월 27일 판문점 북측 지역 통일각에서 열린 남북 정상회담 2차 준비접촉에 나온 북측의 김령성 단장이 영영식 우리측 수석대표에게 "우리 말에 '천리비린'이라는 말이 있다. 마음이 지척이면 천리도 지척이고, 마음이 천리면 지척도 천리라는 말이다."라고 이야기한 적이 있다. 요즘에 와서는 남북간의 마음적 혹은 지리적 거리가 천리도 훨씬 넘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김영삼 전대통령하면 떠오르는 사자성어는 단연코 당연하게 대도무문 되겠다. 과문한 필자가 글씨 자체의 작품성에 대해 왈가부를 하기는 당치않으나 큰 붓으로 일필휘지 휘갈기는 모습은 일면 대한 남아의 마초적 호연지기가 살짝 느껴지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통큰 선비의 풍모가 얼핏 엿보이기도 한다.   


대도무문(大道無門). ‘큰 도둑(大盜)에게는 문이 필요없다’라고 오역되기도 하는 이 사자성어는 글자대로 풀어보자면 말그대로 큰 길에는 문이 없다는 말이다. ‘대도무문大道無門’의 출전으로 알려진 《무문관》은 중국 송나라때 불서로 《벽암록》, 《종용록》과 더불어 불교계의 대표적인 수행 텍스트로 알려져 있다. 그 무문관에 이런 구절이 나온다. 大道無門 千差有路 透得此關 乾坤獨步 (대도무문 천차유로 투득차관 건곤독보) "큰 길에는 문이 없으나 갈래 길이 천(千)이로다. 이 빗장을 뚫고 나가면 하늘과 땅에 홀로 걸으리라." 불가의 이야기는 바람타고 구름잡는 형국이라 얼른 이해가 어렵다. 불립문자(不立文字)라 했으니 글로는 설명이 어렵고 이심전심으로 알아먹어야 하는 것이다. 사전적 의미를 말하자면 사람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큰 도리나 정도에는 거칠 것이 없다는 정도의 뜻으로 쓰여지는 것 같다. 호연지기와 일맥이 서로 통하는 바가 있다.   

 

1993년 7월 미국의 클린턴 대통령 방한 당시 통역을 맡고 있던 박진 의원이 이 대도무문을 통역하면서 처음에는 직역으로 “큰 길에는 정문이 없다(A high street has no main gate)”로 해석했다가, 다음에는 “정의로움은 모든 장애물을 극복한다(Righteousness overcomes all obstacles)”로 의역했다가, 그래도 클린턴 대통령이 잘 못알아 듣자 “고속도로에는 요금정산소가 없다(A freeway has no tollgate)는 의미다”라고 설명하자 그때서야 클린턴 대통령은 박장대소했다는 에피소드도 있다. 우리나라 말로도 똑 부러지게 해석하기 어려운데 영어로야 오죽하겠는가. 

 
YS는 ‘용(龍)’자 대작을 주로 쓴 창해 김창환에게 사사했다고 전해진다. 유홍준 전 문화재청장은 YS의 글씨체를 가리켜 대도무문을 하도 많이 써서 ‘대도무문체’라고 명명한 바 있다. 전통적인 필법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분방하다는 것이 일반적인 평이다.  

 

검사 출신인 구본진씨가 쓴 《글씨로 본 항일과 친일/ 필적은 말한다》에는 “김영삼 전대통령의 글씨는 서법에 따르지 않고 나름대로 독창적인 글씨체를 구사했다. 그가 즐겨쓴 대도무문은 그의 필체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데 붓만 왔다 갔다 한 듯 필획이 약하다. 여백을 거의 두지 않고 굵은 체로 종이 전체를 메우고 있는 것에서 통 큰 사람임을 드러낸다. 글씨 속도는 매우 빠르다. 매우 빠르게 결정하고 직선적이며 좌고우면하지 않았을 성격이다. 기교가 거의 없고 정확한 정사각형 형태로 쓰고 있는 것은 세련됨과는 거리가 멀고 올곧은 사람임을 드러낸다.”고 했다. 호평이다.

 

큰 길에 문은 없어도 휘호 대도무문에 값은 있다. “대도무문” 휘호는 2004년 6월 서울옥션 경매에서는 460만원에 팔렸고, 2009년 2월의 서울옥션 경매에서는 380만원에 낙찰되었다. 가격은 작품의 예술성보다는 역사성이나 희소성에 더 좌우된다는 분석이고, 구입자들은 정치적 지지자들이나 대통령 휘호 수집 마니아 층이 대부분이라고 한다. 경상남도 거제시 장목면에 소재하는 김영삼 전 대통령 생가를 일방하게 되면 김영삼 전대통령의 친필 휘호 《대도무문(大道無門)》, 《호연지기(浩然之氣)》등을 만나볼 수 있다.  


YS 임기 마지막 해인 1997년의 휘호는 유시유종(有始有終)이었다. 시작한 일을 끝까지 잘 마무리한다는 뜻인데, 불행히도 그의 집권 말년은 잘 마무리되지 못했다. 문득 월남 이상재 선생의 말씀이 생각난다. “우리 조선 사람은 매사에 유시유종이 썩 드무오”라고 했던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