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침 6시 50분 기상. 어머니 동그마니 앉아 계신 걸 보고 깜딱 놀람. 황급히 쌀을 씻고 된장찌개를.

 

8시 출발. 터미널(길가)에 어머니 내려 드린 후 일터로 향함. 부앙. 산천초목이 먼지에 뒤덮인 느낌으로 다시 부앙. 통일고속 앞마당 시멘트 바닥에 목줄을 한 채 잠들어있는 개. 가엾다는 생각을 하기도 전에 마음이 미어져오는 걸 아침마다 목격함. 이런 것이 인생의 잔인함.

 

9시 도착. 널브러진 그. 그의 옷자락도 못건드리겠는 나. 나 언제부터 이렇게 소심해졌지? 행여 하자고 할까봐 움츠러든 거? 암튼 내일은 컨디션을 정비해야 할 듯. 하자고 덤비면(?) 해야 하니까.

 

겨우 기운을 차리고 꿀차와 커피를 나란히 마신후 d구역부터 시작. 오늘 목표량은 30 정도 예상했으나 결국 못채움. 그래도 상관없음. 이것이 나의 실체. 나의 본질. 그래서 나는 살아갈 수 있음.

 

간식으로 얼음 섞인 물을 마심. 11시 50분 무렵. 팟캐스트를 듣다 말고 새가 날아든다에 나오는 황진미의 화법과 태도에 대해 잠시 쿵짝이 맞는 느낌으로 대화를 나눔. 약간의 흥분. 과연 흥분. 흥분에 대해 생각함. 다시 생각함. 좀더 생각함. 흥분에 대해. 대하여.

 

2시 30분. 점심. 먹다 남은 어떤 류의 국물에 밥을 비벼먹음. 입맛이 없다는 공통된 의견에 서로 맞장구를 치며 물을 마심. 물만 마심. 물밖에 없음. 물이 최고야. 이러면서.

 

다시 출동. 오늘은 일찍 시마이 하자는 그의 말에 약간은 동의할 수 없는 마음이 생기자 이상하게 기운을 차리게 되는 아이러니 발생. 이런 쩝. 묘한 심리라니, 까진 아니고 당연한 인지상정?

 

아, 갑자기 생각난 책. 감옥으로부터의 사색과 야만적인 앨리스씨. 신영복과 황정은. 조금이라도 읽을 수 있길 바라고 조만간 읽을 수 있기를 바라며.

 

5시 30분. 이제 그만하자는 말. 작업반장인양 말하는 듯 해도 그는 예고편은 항상 옳다. 자기중심적인 면을 어떻게 해볼수 없다는 게 문제지만 적어도 폭력적이진 않기때문에 문제삼지 않는다. 그의 폭력이 있다면 난 참을 수 없을 것이다. 진짜 폭력이 어떤 것인지 알기 때문에. 감히 안다,고 말하는 것이 부끄럽긴 하지만.

 

퇴근길의 바람은 언제나 상쾌하고 부드럽지만 오늘은 덜 그랬다. 너무 이른 퇴근이었나. 그랬다. 해가 여전히 하늘에 걸려있다는 게 이상하게 낯설고 죄책감마저 들었다면 이건 너무 오버인가? 암튼.

별 놈의 것에 죄책감에 느끼다니 나도 참.

 

옛날통닭에 전화를 했으나 받지 않았다. 석가탄신일이라 절에 갔나, 아님 정기휴일인가. 날이 너무 더워 식욕조차 없는데 통닭을 떠올린 건 순전히 간절함 맥주때문었...음을 그도 나도 인정. 술꾼의 고리. 지독한 유착. 중독이라고 일찌감치 명명한 이래로 이젠 새로운 수식어를 개발할 의지도 없어졌다. 그냥 마신다. 매일이 술. 애브리데이 원샷.

 

8시. 다시 8시라고 하기엔 이미 구라. 쎄시봉을 보았다. 그의 주정상태를 감안하면 제대로 보긴 글렀다는 통념을 깔고 각오하고 보긴 했는데 다행히 그는 잘 적응(?)했다. 김윤석과 김희애(특히 김희애)의 미스캐스팅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시간을 가져서 난 충분히 의미있었고.

 

영화가 끝난 후 밀린 저녁 설거지를 하고 빠래를 정리하고 세수를 하고 이렇게 컴퓨터 앞에 앉아있으려니 시간이 뚝뚝. 새는 수돗물처럼 뚝뚝 떨어지는 가운데 정수리가 쩡 하고 갈라지는 아픔이 있다. 내일은 또 오늘처럼, 그러나 오늘과는 완연히 다른 내일이 있다는 통념으로 옛날통닭에 다시 전화를 걸어볼수도 있을 것만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두 권의 책을 주문했다. 늘 그랬듯이 모종의 비난을 감수하겠다는 각오는 되어있다. 책을 왜 사느냐,는 잔소리에 어느 정도 단련이 되었다고는 해도 늘 새롭게 받아들여지는 이유는, 그 잔소리 패턴이 요만큼도 변화하고 있지 않을 바에야, 그건 나의 몫이요 나의 신비라고 생각한다. 아니 그 무엇보다 이번 경우는, 내가 이 책들을 읽을 수 없다는 것이다. 시간도 시간이지만 이 책의 주인이 내가 아니라는 분명한 사실이 있다. 나를 위한 책이 아니라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면책사유가 된다는 것. 이 계절에 어울리는 내 일상의 어떤 적나라함이기도 하다. 5월과 6월 그리고 7월과 8월이라는 시간. 시간은 계속 도착한다. 도착하고 또 도착한다. 그리고 조금씩 조금씩 뙤약볕으로 단련되는 나날이 이어지면서 자꾸만 도착하는 시간을 주구장창 외우고 또 외우게 될 것 같다. 새 책 특유의 냄새에 환장하는 우리 모두의 일반적인 취향을 더 좀더 낡고 오래된 것으로 일깨우는 방향으로 갈 수도 있겠다. 난 어느새 햇빛으로 잘 말린 유기용제의 냄새를 풍기며 휘리릭 촤르륵 상투적으로 코를 박고 킁킁거리는 셀프 서비스깨나 하고 있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 정도 반찬은 웬만한 여느 식당에서도 가능할지 모른다. 다만 나는 몇년, 아니 거의 십년만에 어쩔 줄 몰라했다. 좀 촌스럽게 굴었나? 속으로만 그랬어야 했나? 하지만 다시 되짚어 보아도 아무도 나를 그렇게 보진 않았던 것 같다. 다행이다. 오랜만의 낮술이었다(집이 아닌 식당이라 더더욱) 하지만 많이 마시진 못했다. 소주 겨우 두 잔? 이 정도로 뭔 낮술 운운이냐 할지도 모르지만 내게 특별했던 점심이었다. (운전때문에 술을 못마시는)  남편 몫까지 마셨다면 한 병쯤은  너끈히 비웠어야 하는데 낮술 전문 술꾼이 따로 있어서 그럴 기회가 없었다. 더구나 점심 이후에는 남편과 할 일이 있었다. 봄 뙤약볕(?) 아래 우비로 중무장을 한 상태로 해야 할 일이었다. 그러니 술 마시면 안되는 상황이었는데 결국 나는 갈수록 다리 힘이 풀렸다.(술 몇 잔 때문이었을까?) 암튼 틈 날때마다 주저앉았고 적당히 눈치봐가며 쉬어야 한다는 생각조차 피곤하게 느껴졌다. 남편이 대놓고 혼자 일하다시피 한 건 아마도 이 날이 처음이지 싶다. 낮술은 역시 아무나 가능한 게 아닌가 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6-02-17 08:2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2-17 21:14   URL
비밀 댓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