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제 - SPACE SWEEPERS, 2020

  감독 조성희

  출연 송중기김태리진선규유해진박예린리차드 아미티지오지율

 

 

 

 

 

  2092지구는 식물이 사라진인간이 살 수 없는 곳이 되어갔다. ‘우주 개발기업 UTS’는 위성 궤도에 소수의 선택받은 사람만이 살 수 있는 새로운 터전을 만들었다그 외의 사람들은 지구에서 비참하게 살아가거나운이 좋은 사람은 우주선을 이끌고 우주 폐기물을 치워서 생계를 유지했다그러던 어느 날테러 단체가 어린아이 모습을 한 대량파괴 무기인 도로시를 탈취했다는 소식이 들린다우주 폐기물을 뒤지던 승리호’ 선원들은 그 안에서 한 여자아이를 발견한다그들은 그 아이가 도로시라 확신하며돈을 벌 궁리를 하는데…….

 

  결론부터 말하면영화는 재미있었다머리 굴릴 필요도 없었고주제가 명확했으며 결론도 해피엔딩이었다또한개그적인 요소가 거부감을 주지도 않았고흐름 역시 자연스러웠으며한국 영화의 특징인 신파도 그리 적당한 수준으로 들어가 있었다그냥 아무 생각 없이 볼 수 있는그런 작품이었다무서운 걸 못 봐서 스위트 홈이나 킹덤을 보지 못하는 막내 조카도 이건 웃으면서 볼 수 있었다.

 

  다만 아쉬운 게 있다면악역의 설정이었다그가 왜 도로시를 죽이려고 하는지거기가 잘 이해가 가지 않았다여기서부터는 스포일러라고 해야 할까?

 

 

 

** 스포일러 경고**

 

 

 

** 스포일러가 싫으시면 아래로 쭈욱 내려가시오! **

 

 

 

 

  '도로시(꽃님이)’는 파괴 살상 무기가 아니라자연을 회복시키는 힘을 가진 아이였다그렇다고 정령이나 초자연적인 능력이 있는 게 아니라나노봇의 힘으로 그렇게 되었다고 한다자세한 건 설명하기 어려우니다른 사람의 리뷰나 정리글을 찾아보길 바란다하여간 악당이라 할 수 있는 UTS의 회장 설리반은 예전에 지구에서 받은 안 좋은 기억 때문에지구를 멸망시키기로 한다그래서 자연회복 능력이 있는 도로시를 이용해 UTS가 주도한 화성을 밀림으로 만들고그 아이를 제거하기로 한다테러 단체는 도로시의 능력을 알아차리고 그 아이를 지구로 데려가려고 탈취했고 말이다.

 

  아여기서 뭐라고 해야 할까…… 악당이 지구를 멸망시키려는 이유는 그러려니 하면서 넘어가겠는데왜 도로시를 죽여야 하는 건지 잘 모르겠다그가 만든 인간 거주지가 앞으로 잘 운영된다는 보장도 없고또 인구수가 늘어나면 다른 곳에 또 거주지를 만들어야 하는데황금알을 낳는 오리를 그냥 폐기하다니내가 갖지 못하느니 부숴버리겠다는 마인드일까 생각했는데도로시는 이미 설리반의 손에 있었다그런데 굳이 그런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서 죽여야 하는 이유는 뭘까?

 

  악당의 행동에 개연성을 찾는 건 어떻게 보면 불필요한 걸지도 모른다미친놈의 머릿속은 정상인의 사고방식으로는 알 수 없으니 말이다하지만 악당의 매력이 반감되는 건 어쩔 수 없는 일이었다그래서 악당의 등장이 기다려지거나선원들과의 대결이 그리 조마조마하지 않았다손에 땀도 하나도 안 났고다리를 떨거나 어떡해!’라는 말도 안 나왔다그리고 권력가들이 왜 언론 통제를 하려는지 깨달았다막강한 자본과 군대까지 가진 설리반이었는데……그가 언론까지 갖고 있었다면결말은 달라졌겠지…….

 

  그나저나 지구에서는 마약조직의 보스를 하던 사람이 4년 만에 완전히 다른 사람으로 바뀌다니놀랄 일이다사람은 고쳐 쓰는 게 아니라는데여기서는 그게 아닌 모양이다.

 

  디스토피아적인 세계관에서 희망을 찾을 수 있다는 기대를 보여준아이 하나를 키우는 데는 마을 전체가 필요하다는 말이 떠오른 영화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영제 – Sweet Home, 2020

  제작 이응복

  출연 – 송강이진욱이시영이도현김남희

  원작 – 김칸비황영찬의 웹툰 스위트 홈 Sweet Home, 2017’

 

 

 

 

 

  가족을 잃고 낡은 아파트에 이사 온 현수는 외부와의 교류를 거부한다그런데 어느 날 갑자기사람들이 이상하게 변하기 시작한다아파트 주민들은 무슨 일인지 밖으로 나왔다가변한 사람들에 의해 공격받는다어떤 이들은 1층에 모여 대책을 생각하고또 어떤 사람들은 각자 집에 숨어 상황을 살핀다그 와중에 아파트 안에는 괴물로 변한 주민들이 나타나 살아남은 이들을 위협하는데…….

 

  원작 만화가 있다는데아직 보지 않았다그래서 어떻게 결말이 나는지만화와 어떻게 다른지 잘 모르겠다원작이 있는 영화는가끔 원작을 보지 않으면 이야기가 어떻게 흘러가는지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하지만 다행스럽게도이 작품은 몇몇 장면만 빼면 이야기의 흐름을 따라가는 데 그리 어렵지 않았다영화가 아니라 드라마라서 그런 걸까?

 

  줄거리에는 현수 한 사람의 이름만 적었는데이 드라마에는 많은 사람이 저마다의 사연을 가지고 등장한다그 이야기들은누군가의 입을 통하거나 회상으로 조금씩 시청자에게 알려진다또한모든 것을 다 보여주는 게 아니라 상상의 여지를 남겨서 각자 생각하도록 했다이 사람은 이런 과거가 있어서 그랬구나저 사람은 결국 그렇게 하겠구나 등등괴물로 변한 이웃과 싸워 살아남는 이야기긴 하지만한편으로는 인간에 관해 말하고 있는 드라마였다.

 

  그러니까위기 상황에서 볼 수 있는 많은 인간의 모습을 중심축으로 하고 있다고 해야 할까안전이 보장되지 않는 상황에서누구는 끝까지 이기적으로 굴고 또 다른 누구는 그런 사람을 위해 희생한다또한또 다른 어떤 이는 남을 협박 착취하면서 살아가고또 어떤 이는 남과 협력하며 공생한다그런 걸 보면서세상에는 다양한 사람들이 있다는 걸 새삼 느꼈다그리고 저런 상황이 닥쳤을 때난 어떤 인간 유형으로 분류될까 궁금했다적어도 민폐는 끼치지 말아야 하는데.

 

  이 드라마의 또 다른 중심축을 이루는 요소는 인간이 변한 괴물이라고 할 수 있다변이 이유가 자신이 가진 욕망 때문이라고 하는데잘 모르겠다몇몇 괴물들은 변이 과정을 보여줘서그 사람이 그렇게 변한 이유를 알 수 있었다하지만 처음 등장할 때부터 괴물이었던 경우에는다른 사람들이 올린 정리 글을 보고서야 알 수 있었다위에서 언급한몇몇 장면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원작을 보지 않아서원작자가 인간의 욕망에 관해 얘기하려고 했는지 아닌지는 알 수 없다하지만 욕망 때문에 괴물로 변한 거라면거기에 관한 내용이 드라마화하면서 생략된 게 아닐까 생각한다인간과 괴물이 원래는 하나였고누구는 변하고 누구는 변하지 않았다는 게 중요할 수도 있으니까 말이다물론 그런 경우에는 인간의 근원과 존재 자체에 관한 답을 찾아가는 심리 철학물이 될 수도 있겠다이건 내가 원작을 보지 않아서 뭐라고 말할 수 없는 부분이다.

 

  드라마 자체로 보면재미있었다누가 다음 괴물이 될지어떻게 위기를 벗어날 수 있는지과연 현수는 어떻게 될지적절한 떡밥과 호기심을 던져주었다.

 

  다만 아쉬운 점은배경 음악이었다위기의 순간누군가 목숨 바쳐 희생하려고 할 때마다 흘러나오는 외국 노래가 있다그 노래를 듣고 있으면집이건 지하철이건 버스 안이건 웅장한 뭔가가 막 마음속에서 쿵쿵거리고 칼이나 총을 들고 공격해야 할 것 같은 느낌을 받는다그런데 그 노래가 이 드라마에서 사용되는 순간어색하다는 기분이 들었다억지로 비장해지라고 강요하는 그런 느낌막 감정을 만들어내려는 그런 느낌이 들었다.

 

  내가 괴물이 된다면어떤 욕망 때문에 어떤 모습으로 변할지 생각해보는 시간을 주는 드라마였다역시 치킨이려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영제 - The Black Hair, 1974

  감독 장일호

  출연 남석훈진봉진진평이혜숙

 

 

 

  ‘설관중은 우연히 숲에서 건달들에게 겁탈당할 위기에 처한 화심을 구해준다그녀는 부자 황대복의 딸로관중을 은인이라 여기며 한눈에 반한다하지만 관중은 그리 좋은 사내가 아니었다그는 태수의 꼬임에 넘어가 처제인 목련을 술집에 팔아넘기고그녀를 구하러 온 홍무에게 살인 누명을 씌운다그리고 화심과 결혼하기 위해 수련에게 간통 누명을 씌워 죽이는데…….

 

  포털 사이트인 다음과 네이버에 이 작품을 검색하면위에 적은 줄거리와 비슷하지만 다른 내용이 적혀있다그나마 한국영상자료원에 적힌 내용이 영화와 일치한다두 사이트의 영화 담당자가 몇 명인지 모르겠다그래도 모든 영화를 다 볼 수는 없다면적어도 고전 작품은 영상자료원과 비교하는 노력은 해봐야 하지 않을까게다가 황당한 건 또 있다이 작품에 관한 몇몇 리뷰어들의 글을 읽어보면두 포털 사이트에 적힌 줄거리를 그대로 적어 놓고 있다영화는 보고 리뷰를 쓴 걸까그것이 궁금하고 또 알고 싶기도 하다.

 

  영화를 보면서어디선가 많이 본 이야기라는 생각이 자꾸 들었다한국 영화는 아니었고일본 영화에서 본 것 같았다뭐였지그 작품의 기본 설정을 따온 걸까그래서 여기저기 검색해보니일본 괴담 중의 하나를 영화화한 것이라는 글이 보였다일본 원작 소설을 영화화하기도 하고일본 영화를 리메이크하는 경우도 있는데이 영화도 그런 류의 작품인가보다.

 

  원작이 일본 것이었다면제작은 또 홍콩과 같이했다그래서 무술 장면도 나왔고옷이나 건물도 한국식은 아닌 것 같았다찾아보니홍콩 버전도 따로 있다고 한다전에 본 인사대전 人蛇大戰, 1983’도 그랬다옛날에는 그런 식으로 영화를 만들기도 했나 보다.

 

  영화는 음뭐라고 해야 할까정신이 없었다그리 많이 보지는 않았지만한국 고전 영화를 보면화가 날 때가 종종 있다화면이나 음질어설픈 CG는 그 당시 과학 기술이 그러려니 하고 넘어가겠지만여자를 인간 취급하지 않는 대사나 상황 설정 등이 너무 짜증이 난다게다가 이 작품의 주인공은 전혀 공감이 가지 않았고감정 이입도 되지 않았다관종 아니관중도 그렇고 수련도 마찬가지였다안쓰럽지도 않고 불쌍하지도 않았다그렇다고 통쾌하게 나쁜 놈을 조지는 것도 아니었다아니왜 거기서 그렇게 하고 그래그게 아니지왜 그 XX를 서방님이라고 불러이 나쁜 개XX라고 욕해야지복수랍시고 하는데영 신통치 않았다우선 그 XX의 X를 잘라버리고 시작해야지수련아정신 안 차릴래에휴착한 사람이 죽어서 그런지하는 짓이 다 순한 맛이었다마라 맛까지는 바라지 않아도 불닭 맛은 나와야지안 그래?

 

  등장인물이 전혀 매력적이지 않은 영화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원제 – Slasher : Guilty Party, 2017

  출연 – 레슬리 호프러벨 아담스 그레이짐 왓슨크리스토퍼 제콧로빈 터너딘 맥더모트

 

 

 

 

  ‘모테가 캠프장에서 아이들을 담당하는 일을 맡은 피터를 비롯한 앤디’, ‘노아’, ‘수잔’, 그리고 ’. 아이들을 담당하기도 하지만시간을 내어 자기들만의 즐거운 시간도 가지며 친하게 지낸다그런데 어느 날 밤그들은 텔빈더라는 동료 지도 교사를 죽이고 만다그로부터 5년 후그 날의 비밀을 간직하고 있는 친구들은 캠프로 다시 돌아온다그곳이 리조트로 개발된다는 소식에 몰래 묻어버린 텔빈더의 시체를 처리하기 위해서다폐쇄된 캠프장에는 이상한 공동체 사람들이 머무르고 있었다그런데 그때부터 누군가 그들을 하나씩 죽이기 시작하는데…….

 

  에피소드가 진행될수록그 날의 비밀이 양파 껍질처럼 까고 또 까도 계속해서 드러난다도대체 그 날의 진실이 무엇인지왜 그들은 탤빈더를 죽여야 했는지 조금씩 보여준다거기다 공동체 사람들의 숨겨진 비밀까지 가세해서이야기는 어떤 방향으로 흘러갈지 종잡을 수가 없어진다텔빈더와 관련된 사람이라면 왜 공동체 사람들까지 죽이는지반대로 공동체 사람들에게 원한이 있는 거라면 왜 다섯 친구까지 죽이는지 의문의 연속이었다.

 

  그래서 좀 정신이 없었다이야기가 사공 여럿이 카누를 메고 각자 방향을 바라보면서 산으로 올라가는 것 같기도 하고미로 정원에서 주위를 돌아보지 않고 노닥거리며 헤매는 것 같았다하지만 그 많던 사공이 어떻게 화합을 했는지 다시 강으로 잘 돌아오고 정원을 잘 빠져나왔다.

 

  결국모든 진실은 밝혀졌다그들이 그 날의 비밀을 묻어버리기 위해 저지른 죄는 한둘이 아녔다친구들 사이를 이간질하고남의 애인을 유혹하며친절하게 다가가 약점을 알아내 협박하던 텔빈더가 나쁜 년이긴 하다하지만 그런 텔빈더를 응징하겠노라 나선 그들도 그리 착하고 죄 없는 이들이 아니었다차라리 처음에 자수했거나 증거를 잘 조작했으면 과실치사 내지는 사고사로 마무리 지을 수 있었을 텐데……결국 그들은 대가를 치러야 했다그래야 마땅했고 말이다.

 

  가끔 포털 사이트 고민 상담 게시판을 보면인간관계 때문에 고통을 호소하는 글을 읽을 수 있다가해자이면서 피해자인 척한다거나말을 교묘하게 해서 사람들 사이에 오해를 일으키고 자기는 빠진다거나남을 무시하고 자기를 추켜세우거나 자신의 이익만 챙긴다는 등등텔빈다를 보면서그런 사람들이 떠올랐다위에서도 말했지만아마 그녀는 그런 사례들의 총집합이 아닐까 싶다그러니 아마 내 눈앞에서 아니 내 인생에서 사라져주길 바라기도 하고더 나아가서 죽어버렸으면 하고 바랄 수도 있다요즘 유행하는 말처럼 사이다 내지는 탄산을 펑펑 터트리면서 참교육을 해주고 싶을 것이다아마 이 드라마의 친구들도 그런 속셈이었을 거다다만 그게 뜻대로 잘 안 풀려서 그렇지역시 음모를 꾸밀 때는 철저한 계획과 시뮬레이션이 바탕이 돼야지즉흥적으로 했다가는 역으로 당할 가능성이 크다.

 

  모두를 죽이는 진범의 사연은 좀 안타까웠다그러면서 뭔가 묘한 느낌을 주었다그것까지 말하면 스포일러가 될 거 같아서 넘어가겠는데하여간 그 뉘앙스라든지 분위기가 기묘했다.

 

  슬래셔라는 제목답게 사람들이 참 잔혹하게 죽어 나갔던 드라마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원제 - The Inhabitant El habitante, 2017

  감독 기예르모 아모에도

  출연 마리아 에볼리바네사 레스트레포카를라 아델쉬라 바질라이

 

 

 

 

  첫째 카밀라’, 둘째 마리아’ 그리고 막내 아나는 한 의원이 뇌물을 받았다는 정보를 받고그 집을 털기로 한다순조롭게 침입하여 의원 부부를 묶어두고 돈을 찾던 중지하실에서 이상한 소리를 듣는다그곳에는 놀랍게도 부부의 어린 딸 타마라가 온몸에 멍이 든 채 손발이 묶여있었다분노한 자매는 딸을 풀어주는데의원 부부는 그 아이는 자기 딸이 아니라며 그 말을 믿지 말라고 간곡히 부탁한다각자 흩어져 집을 수색하던 자매는 잊고 싶었던 끔찍한 기억을 다시 보게 되는데…….

 

  이 영화에 관한 자료를 포털에서 검색하면, ‘맨 인 더 다크 Don't Breathe, 2016’와 엑소시스트 The Exorcist, 1973’가 만났다고 적혀 있다하지만 끝까지 보고 나면거기에 프롬 어 하우스 온 윌로우 스트리트 From a House on Willow Street, 2016’ 그리고 테이킹 The Taking of Deborah Logan, 2014’이 떠오른다기본 설정은 맨 인 더 다크인데거기에 프롬 어 하우스 온 윌로우 스트리트를 초중반에 깔고중후반은 엑소시스트였고마지막 장면에는 테이킹을 넣었다그러니까 온갖 클리셰의 집합이라고 보면 될 것이다.

 

  대놓고 으악!’하는 장면은 나오지 않는다세 자매그중에서 카밀라와 마리아의 기억을 더듬어가면서 자매의 집에서는 무슨 일이 있었는지 보여주는데그게 보는 사람을 화나게 했다아니 그 XX놈의 XX가 딸을 강간하는 주제에딸내미가 악마의 꼬임에 넘어가 자기를 유혹한 거라는 논리는 어떤 우동을 뇌에 집어넣으면 나오는 건지 모르겠다그리고는 딸내미에게 죄를 고백하고 참회하라고 폭력을 행사한다미친 XX. 그래서 결국 카밀라가……이것이 세 자매의 끔찍한 기억이었고비극의 시작이었다그 과정에서 자매를 따라다니는자칫하면 놓치기 쉬운 검은 그림자의 등장은 으스스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그리고 악령에 쓰인 타마라가 세 자매는 물론 의원 부부 그리고 신부에게 하는 말들은은근히 신경 쓰이고 짜증 났으며 오싹했다진짜 누구에게도 말하지 않은 비밀을 저렇게 대놓고 떠벌리는 사람이 있으면패주고 싶을 거 같다하지만 그 사람이 악마에 쓰인 사람이니 내가 도리어 얻어터지겠지…….

 

  마지막 장면을 보고감독이 무사히 살아있는지 궁금했다신성모독에 해당하는 설정이라과연 종교계에서 가만히 있었을까별로 유명하지 않아서 바티칸에서 봐준 건가우리나라에서 이 영화를 만들었으면그래서 그 마지막 장면에 유명 종교 지도자를 연상시키는 사람을 집어넣었다면과연 감독은 물론이고 제작사도 무사할지 모르겠다애초에 영화를 만들 기회조차 얻지 못했으려나?

 

  악마는 인간의 나약한 틈을 공격한다는 말이 얼핏 생각나는 영화였다인간은 완전하지 않은불완전한 존재라 나약한 틈이 있을 수밖에 없는데그러면 악마에게 공격당하는 운명을 타고난다는 말일까그래서 인간은 정신적으로 누군가에게 의지하려고 하는 모양이다그리고 그걸 악용하는 사람들이 있어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그러면 그런 사람들은 악마의 유혹에 넘어갔다고 봐도 되는 걸까다른 이를 고통으로 몰아넣고 자신의 이익만 추구하는말만 번지르르하게 하는 그런 사람이 선하다고 볼 수는 없으니까 말이다그렇게 따지면 이 세상에는 악마와 그에 넘어간 사람들이 너무 많은 것 같다.

 

  사실 카밀라가 망치를 들었을 때속이 시원했다하지만 그걸로 그녀와 동생들은 평생 죄책감과 악몽에 시달렸으니 안타까웠다정당방위였는데왜 죄책감을 느끼니……너희가 너무 착해서 그런 거야…….

 

  설정이나 소재는 분명히 오싹하고 으스스한 데정작 극의 흐름이나 분위기는 잔잔한 작품이었다그래서 중후반에 잠깐 졸았다아마 피곤해서 그런 거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