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땅 우리 꽃 - 산과 들, 해변에서 만난 야생화 이야기
양득봉 지음 / 역사넷 / 2013년 3월
평점 :
절판


조금은 정보가(사진과 텍스트) 빈약해서 아쉬운 도감이다. 보통 크기의 사이즈에 무광택 용지를 사용했다. 각 페이지마다 2장의 사진이 나오고 그 아래로 간략한 내용이(예를 들어 과명과 학명, 생태 및 특성, 분포와 서식지, 번식 및 용도 등으로 구분되어 매우 간략한 정보가 인쇄되어 있음) 수록되어 있다. 한편 중간중간에 조금의 읽을거리를 제공하고 있는데 다음과 같다.

원추리는 강렬한 태양열 아래에서도 매야 활짝 피어 열정적이고 싱그럽게만 보이는 대표적 여름꽃이다. 생명력이 짧아 하루만에 피고 떨어지는 하루살이 꽃이기도 하다. 원추리는 학명 속에 hemera는 하루라는 말이고 callos는 아름다뭉리라는 뜻이넫, 꽃이 하루만에 피고 시들어 떨어진다는 풀이를 가지고 있다. 또한 영명 DAY LILLY도 하루 동안만 피는 백합이라는 말이다. 그러나 하루만 피고 꽃이 없다는 것이 아니고 연달아 다음 꽃이 준비하여 피므로 늘 싱싱하고 깨끗하게 보이는 것이다. 원추리는 꽃만 아름다운 것이 아니고 봄 일찍 돋아나는 파란 싹을 따서 나물로 무쳐먹으면 그 맛이 일품이고, 꽃은 화채밥의 재료에도 많이 쓰이며, 알뿌리는 전분을 함유하고 있어 식품으로 이용한다. 또한 옛날에는 망우초라 하여, 근심을 잊게하고 답답산 가슴을 풀어준다 하여 약으로 썼으며 또 의남초라 하여 꽃을 따 말려 주머니 속에 넣어 지니고 다니면 아들을 생산한다 하여 득남초라고도 했다.....중략.

요런식으로 적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 몸에 좋은 효소대사전
솔뫼 지음 / 그린홈(Green Home)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은이의 또 다른 책이 그렇듯이 사진자료가 많이 수록되어 있어 --여러 각도에서 찍었을뿐 아니라 잎이나 줄기 전체적인 외관등--- 식별이 수월하다.

전형적인 도감의 형식을 따르는 구성이며 용지는 광택이 도는 두꺼운 아트지를 사용했다. 책의 크기는 A4 정도의 크기다. 겉 표지는 비닐에 감싸여있다. 왼편에는 큰 사진이 한장 큼지막하게 나오고 오른쪽에는 여러 각도에서 촬영한 사진들이 나온다. 그리고 그 옆이나 아래등에 핵심적인 내용이 간략하게 소개되어 있다. 여러 아이콘으로 필수적인 정보가 배열이 되어서 보기가 편하다.

예를 들어,
닭의장풀은 오른쪽에 잎,줄기,꽃 부분이 검은색으로 표기된 반면 새순과 열매 씨앗 등은 회색으로 처리되어 가독성과 구별하는 법을 손쉽게 알 수 있다. 그리고 그 아래로 신장염, 비뇨기염, 심장병 등등의 효과를 본다고 간략히 인쇄되어 있다. 또한 그 왼편으로는 생약명이 표기되어 있으며 성분이 비교적 자세히 나와 있다.

조금 소개해보자면,


사포닌(면역력 강화), 안토시아닌(산화방지) 이리도이드(진정과 해열작용), 트리테르페노이드(면역력 증진), 스테로이드(소염, 진통, 해열작용), 비타민C(산화방지)

이 정도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고,
특징: 독성이 없으며 쓴맛과 신맛이 있다. 체질: 약성이 차가우므로 몸에 열이 많은 열체질인 경우, 덥거나 열이 날때 복용하면 좋은데, 몸이 찬 체질은 장기간 복용하는 것을 삼간다. 서식지: 들의 촉촉하고 기름진 땅, 마을 근처에 난다.


요렇게 소개가 되고, 다시 그 옆으로는 효소액 담그는 방법이 자세히 수록되어 있어서, 누구나 쉽게 따라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야생 버섯 백과사전
석순자 외 지음 / 푸른행복 / 2013년 6월
평점 :
품절


보통 크기의 사이즈에 무광택 용지를 사용하여 눈부심이 덜하다. 책을 펼치면 왼쪽에는 큼지막한 한 장의 사진이 나오고, 오른편에는 다른 각도에서 찍은 조금 작은 사진이 2장 인쇄되어 있다. 전형적인 도감형식을 따라서 이런 구조가 계속된다. 한편 오밀조밀하게 텍스트가 배열되지 않아서 읽기가 한 결 편하다.

책 내용을 조금만 소개해보자면,
양파광대버섯의 경우, 그 아래로 학명이 나오고 분류가 되어 있다. 오른편 사진에는 보다 많은 정보가 수록되어 있는데, 형태적 특징과 발생시기 및 장소, 식용 가능 여부, 분포의 소 카테고리로 나뉜다.

형태적 특징: 양파광대버섯의 갓은 3.5~7.5cm로 반구형~유구형이나 성장하면 반반구형, 편평상 반반구형~편평형으로 된다. 초기엔느 갓 끝에 백색의 내피막 잔유물이 부착되어 있다. 표면은 건성이고 백색~유백색이나 종종 옅은 갈색으로 퇴색되며, 평활하고 방사상의 선은 없으며, 사마귀상~피라미드상의 돌기가 부착되어 있으나 쉽게 떨어져 나간다. 조직은 두껍고 육질형이며, 백색이다. 주름살은 떨어진주름살이고 빽빽하며 주름살날은 분질상이다. 대외 길이는 7.2~13.6cm로 원통상이고, 기부는 양파 모양의 구근상이다.표면은 손거스러미상 인피가 있으며, 대기부의 구근상 위에 일반적으로 갓과 같은 사마귀점 돌기가 산재해 있다. 턱받이는 백색이고 막질이며, 윗면에 방사상의 홈선이 있고, 영존성이다......생략.

이런식으로 적고 있다. 전문 용어가 상당히 나와서 어느 정도 버섯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만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의 야생화 바로 알기 : 여름 가을 - 여름·가을에 피는 야생화 1,172종 한국의 야생화 바로 알기
이동혁 글.사진 / 이비락 / 2013년 4월
평점 :
절판


봄편과 여름/가을편으로 만들어진 야생화 도감이다. 당연히 후자가 수록종도 많고 이에 따라 책 두께와 가격도 더 나간다. 광택이 나는 두꺼운 도감용지(아트지)를 사용했으며, 한장의 큰 사진이 나오고 그 아래로 여러 각도에서 찍은 작은 그림의 야생화 사진이 세 컷씩 나온다. 잎과 꽃등 특징적인 부분을 촬영하여 야생에서의 식별을 높이고 있다. 책의 크기는 보통의 책 사이즈다.

책 내용을 조금만 소개해보자면,


국화과 소속의 산솜방망이의 경우 그 아래로 학명과 함께 분포지역이 작은 조각그림으로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그 아래로 다음과 같은 설명이 붙었다.

한라산과 강원도 이북의 높은 산 풀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15~30cm이다.
줄기: 곧게 서고 능선이 있으며 잔털과 거미줄 랕은 털로 덮인다. 잎: 뿌리 쪽의 잎은 꽃이 필 무렵이면 시든다. 줄기 아래쪽의 잎은 피침상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양면에 잔털과 거미줄 같은 털이 있다. 꽃:7~월에 줄기 끝과 잎겨드랑이에서 나오는 꽃대에 적황색의 두상화가 달린다. 두상화의 지름은 2.5~3.5cm이다. 주변부에 혀모양꽃이 있고 중앙부에 관모양꽃이 달린다. 총포는 잔 모양이다. 열매: 긴 타원형의 수과이고 흰색의 갓털이 달린다. 유래: 산에서 자라고 솜방방이를 닮았다는 뜻의 이름이다. 유사종: 전체에 짧은 털이 없는 것을 민솜방방이라고 하나 뚜렷이 구별되지는 않는다.

이런식으로 짧막한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메뚜기 생태도감 - 한국에 분포하는 여치, 귀뚜라미 등 메뚜기목 151종 한반도 생물 생태탐구 2
김태우 지음 / 지오북 / 2013년 9월
평점 :
품절


전형적인 도감으로써 메뚜기의 유충부터 성충까지를 여러가지 다양한 사진으로 보여주고 있다. 필드에서 쉽게 구분할 수 있어서 유용한 도감으로 보이기는 하는데, 사진의 품질이 조금은 아쉽다. 필자의 눈이 쓸데없이 높아서 그런지 한 5~6년전에 찍은 사진자료들로 보인다. 요즘의 기준으로 보자면 평균에서 약간 못미침, 평균을 70점이라고 본다면 60점 정도라고 봐야 할듯 싶다. 처음 50여쪽은 메뚜기에 관한 여러가지 상식과 구분법, 그밖에 잡다한 에세이등이 나온다. 그 뒤를 이어 본격적으로 메뚜기에 대한 내용인데, 아마도 메뚜기를 다룬 한국에서의 첫 도감이라는 점에서 높이 살만한다.

내용을 조금 소개해보자면, 장수 꼽등이 학명과 분포지역, 출현시기 등이 나오고....형태 부분을 보면, 빛나는 흑갈색이다. 특히 앞가슴 등판이 진한 흑색을 띠며 나머지 몸의 뒷부분은 다소 연한 갈색이다. 눈 주변에서 검은 띠무늬가 아래위로 나 있고 각 다리의 무릎 부근이 검다. 후퇴절 아랫면에는 8~16개의 가시가 있다. 후경절 뒷면에 23~26개의 가시가 규칙적인 간격으로 배열된다. 수컷의 아생식관은 짧은 사다리꼴이며 후연은 절단형이다. 암컷의 아생식관은 삼각형이며 끝은 뾰족하다. 산란관은 약간 위로 굽으며 아랫면 끝에 불분명한 가시가 있다.  또한 분포지역을 지도와 텍스트로 표기하고 있어서 식별을 돕고 있다. 그런데 한국지도만 표시되고 다른 지역은 나오지를 않는다. ㅎㅎㅎ 예를 들어 '북한, 강원, 경기, 충북, 전라 등; 중국 북동부, 극동러시아' 라고 적고 있는데 중국과 러시아의 지도는 표시되지 않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