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추린 약용식물
최창식 지음 / 신일북스 / 201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탁상용 약용식물 도감인데, 보통의 용지(모조지)를 사용했으며 이미지도 모두 흑백사진이다. 컬러가 아니라서 보통 사람들이 여기에 수록된 약용식물을 구별하는데는 다소 어려움이 있을 것 같다. 아마도 이렇게 만든 이유는 한의학 교재로 사용할 목적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약초에 대한 설명은 비교적 상세하게 나와 있다.

 한편,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생화가 아니라 이미 한약재로 가공된 상태의 이미지다. 따라서 식별하기 어려운 식물은 따로 휴대용으로 만들어진 약초도감을 활용하면 되겠다. 도판의 크기는 B5(182 × 257mm)이며, 200쪽이 조금 넘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웰빙을 위한 한약 손수 지어먹기 - 기초편
한경수 지음 / 정림사 / 2009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보통의 용지에 인쇄된 도감류의 책이다. 도판의 크기는 B5(182 x 257mm) 이며  두께는 약 260쪽이다. 보통 사람들이 아무런 제약없이 한약을 달여 먹을 수 있을까? 호기심에서 들여다봤는데 비교적 자세한 설명이 붙어있어 어렵지 않게 시도해 볼 수 있겠다. 아무래도 의사의 진단없이 스스로 해먹는 것이기에 --전문가의 처방이 필요한 것은 아니고-- 보혈이나 감기, 설사나 변비등의 경미한 증상에 대한 내용으로 꾸며져 있다.

 


예를 들어, 계지복령환이란 한약을 보자면,
어혈제거 및 피부미용에 : 계지복령환
계지, 직복령, (모란피, 적작약), 도인을 각각 같은 양으로 5g 되게 환약을 만들어 한 번에 3환식 연한 식초 달인 물로 먹는다.(동의보감)

이런 식으로 약재의 배합과 복용방법등이 나오고....증상에 대한 원인규명이 상세히 설명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약이되는 꽃
박종희 지음 / 신일북스 / 201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백상지에 인쇄되어 형광등 아래서도 눈이 부시지 않는 A5(148 x 210mm) 크기의 책이다. 총 페이지는 500쪽이 약간 안 되며 사진의 품질은 평균정도이다. 한 쪽 면의 절반 정도를 차지하는 이미지와 함께 꽃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나와 있다. 약초로 활용할 수 있도록 생약과 민간요법, 응용 등의 카테고리로 나누고, 그 아래로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

한편 약초를 가나다 순으로 약초를 설명하고 있는데, 그 수가 147종이다. 한편 타이틀만을 보고는 오해할 수도 있겠다. 꽃 만을 채취해서 약으로 쓰는 것이 아니고, 뿌리나 줄기, 잎, 열매 등도 약초로 이용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야생화일기 - 봄.여름.가을.겨울
송기엽 지음, 이영노 감수 / 진선북스(진선출판사) / 2002년 4월
평점 :
품절


상당히 아쉬움이 드는 책이다. 작은 크기의 꽃 사진을 이름만 간단히 붙여서 배열하고 있다. 이게 전부다. 사진집으로 엮어서 큰 이미지를 나열하던가? 아니면, 꽃도감으로 만들거나? 이도저도 아니라서 어정쩡하다. 도판의 크기는 B5(182 × 257mm), 400쪽이며 두껍고 광택이 도는 아트지를 사용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화훼식물도감
정혜인 외 지음 / 세이플로리 / 2004년 7월
평점 :
절판


포켓사이즈의 화훼식물도감이며, 페이지당 3장의 사진과 간단한 설명이 전부다. 보통의 종이보다는 약간 두꺼운 재질인데 의외로 뒷장이 비친다. 특히나 뒷장의 글자가 보여서 읽는데 시선을 분산시킨다.  사진의 품질도 보통 정도이며 총 페이지는 200쪽이 약간 안 된다. 약간 부실한 듯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