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어나 작은도서관 22
문영숙 외 3인 지음, 박지영 외 그림 / 푸른책들 / 2006년 8월
평점 :
절판


4개의 단편으로 이루어진 동화집으로 책속의 주인공들 모두가 몸이 되었든 마음이 되었든 아픔을 가진 이야기를 풀어내고 있다.

하지만 제목에서 암시하고 있듯 일어날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고 희망을 꿈꿀수 있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분명히 일어나 더 크게 자랄수 있을거라는 믿음을 가지게 한다.

 <믿음이와 환희> 앞을 보지 못하는 환희의 눈이 되어 주는 안내견과의 이야기로 환희에게 집 밖의 세상을 알려주려 하나 나쁜아저씨로 인해 믿음이의 다리가 다치게된다. 하지만 둘은 서로에 대한 사랑과 믿음으로 앞으로도 불편하지만 어떤 어려움도 잘 극복해나갈거란 믿음을 갖게한다.

 <꿈 속의 방>기면증이란 생소한 병에 걸린 가인이는 엄마와 아빠의 이혼을 두고 많이 힘들어 한다. 그래서 엄마의 뱃속에 있을때로 돌아가고픈 자신의 심리가 반연되어서 일까 매번 그때의 꿈을 꾸곤 한다. 그때는 엄마 아빠 모두의 사랑을 받았다는 안도감으로 자꾸만 자꾸만 자는 기면증이라 불리는 병에 걸리게 된다. 가인이는 그렇게 지금의 현실이 너무나 버겁고 힘들어 벗어나고싶은 마음이 병으로 나타난듯 보인다.

 <일어나>매번 태식과 비교되는 민우는 태식이 너무나 밉다. 인라인스케이트에서만이라도 이겨야 겠다는 생각으로 욕심을 부리다 사고를 당하게된다.

하지만 자신이 깨어나 젤 처음 걱정하게 되는것 역시나 태식이었다. 부모들의 아이에 대한 비교나 욕심이 아이들에게 얼마나 부질없는 것인지를 알게 한다.

아이의 심리가 잘 나타나 있다. 

<저녁별> 인호옆에는 늘 그림자처럼 엄마가 곁에서 병간호를 한다. 그래서 동생 인영이는 늘 뒷전이다. 참관수업도 어머니 모임도 어떤 친구가 있는지도 신경쓸 여유가 없다. 그걸 지켜볼수밖에 없는 인호의 마음도 늘 미안하고 죄송스럽다. 인호는 동생의 동요대회날 혼자있기로 한다. 살아있다는 건 누군가를 기다릴 수 있다는 것이라며 삶의 끈을 놓치려 하지 않는 주인공의 모습이 안타깝게 한다.

 네 편의 동화가 모두 아픔을 나타내고 있다. 평소 우리 아이들이 아프다고 말할때 정말 몸이 아플때도 있겠지만 자신의 마음을 알아달라고, 어루만져 달라고 하는것은 아닌지 주의깊게 살펴볼수있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코뿔이는 메롱쟁이
진 윌리스 지음, 토니 로스 그림 / 예림당 / 2006년 8월
평점 :
절판


제목에서, 표지의 삽화에서 아이들의 읽고 싶은 충동을 느끼게 하는 책으로 읽기도 전에 재미있을것 같은 책으로 먼저 다가옵니다.

말썽꾸러기 코뿔이는 '메에롱~'하는 나쁜 버릇이 있답니다.

아마 그런 버릇이 아니더라도 아이들에게는 고쳐야 할 버릇 한가지 쯤은 있을겁니다.

손을 빠는 버릇이라든지, 머리카락을 꼰다든지....

아이의 그런 버릇이 왜 나쁜지 왜 고쳐야 하는지 이 책을 읽으면서 이야기를 나눠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답니다. 

코뿔이는 그 상대가 누가 되었든 메롱 하며 혀를 내밉니다.

이모나 할머니, 심지어는 여왕님이나 선생님에게까지도요.

어른들은 "'어릴 때는 다 그래. 좀 크면 나아지겠지."하며 믿고 너그럽게 보아 넘깁니다. 

그러나 제 생각은 다르답니다.

분명 코뿔이의 그런 행동이 다른 사람의 기분을 나쁘게도 하고 버릇없이 구는 행동임에도 따끔하게 꾸짖는 어른이 없어서 의아했습니다.

물론 커가는 성장과정일수도 있겠으나 그 버릇이란것이 습관화되면 고치기 어려운 것도 사실이니까요.

책속의 코뿔이는 그 버릇을 예쁜 소녀를 만나면서 고치게 되지만 아이들의 버릇을 그냥 크면 나아지겠지 하고 넘겨서는 안될것 같습니다.

무엇이 잘못된것인지 왜 그러면 안되는지는 꼭 이야기 해 주어야 할 문제라고 봅니다. 

이 책은 아이의 나쁜 습관에 대해 재미있는 책과 함께 코뿔이의 나쁜점을 함께 이야기 해 볼수 있어서 좋았답니다.

아이의 눈에도 코뿔이의 나쁜 행동이 보이나 봅니다.

그럼 자신의 좋지않은 습관도 보이겠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캠프가기 싫어요
디크 나이란트 지음, 마크졸랭 포띠 그림 / 예림당 / 2006년 8월
평점 :
품절


캠프를 처음 가는 아이들은 기대와 함께 불안함에 캠프에 가지 않겠다고 심통을 부리기도 하지요.

처음으로 엄마랑 떨어지는 것도 웬지 불안하고 자신의 인형이나 방이 아닌 낯선 곳에서 지내야 하는것도 불안하기만 하답니다.

여기에 나오는 데이비드도 캠프에 가기 싫다고 합니다.

그러나 데이비드의 엄마 아빠는 데이비드에게 캠프에 가는 일이 얼마나 신나는 일인지를 설명해 주려 애씁니다. 데이비드가 기린인형 릴리나 자신의 침대를 가져가고 싶어하자 흔쾌히 가져가게 허락해줍니다. 그러나 캠프에 가기 싫은 데이비드는 집도 가져가고 싶어합니다.

어떻할까요?

저라면 이쯤에서 화를 냈을겁니다. 그러나 데이비드의 부모님은 집을 캠프가는 버스에 실어줍니다.

정작 캠프에 간 데이비드는 집 생각은 하나도 하지 않고 신나게 놀다 옵니다.

캠프에서의 일정이 빡빡하게 잡히는 이유도 아마 아이들이 집생각을 할 수 없게끔 한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답니다.

그렇게 신나게 돌아온 데이비드는 내년을 어떻게 기다릴까요??

캠프를 또 가고 싶어서...

캠프에 다녀오면 한동안은 그 얘기로 아이의 입이 쉴새가 없답니다.

이 책을 읽고 나서도 자신이 캠프에서 겪었던 많은 이야기로 아이는 신이 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갈릴레이 - 종교에 맞선 불손한 과학자 아이세움 역사 인물 2
로빈 S. 독 지음, 장석봉 옮김 / 미래엔아이세움 / 2006년 8월
평점 :
절판


인물을 다룬 위인전의 경우 전집을 사서 보게 되면 읽지 않게 되는 경우가 흔하게 있는것 같다. 그 사람이 그사람같고 어렸을때부터 영특하고 남달랐다는 이야기로 시작되는 이야기는 지루함을 주고 너무 딱딱해서 재미가 없다. 

그래서 난 위인전은 특히나 단행본을 선호한다.^^

 요즘은 위인전이란 말대신 인물이라 하여 너무 어린 연령대부터 접하게 되는데 이 책은 저학년이 읽기엔 좀 무리가 있어 보인다.

고학년 부터 읽기를 권한다. 갈릴레이란 인물이 살았던 시대의 시대적 배경을 이해하여야 함은 물론 책의 두께가 얇다고 생각의 깊이까지 얕게 볼 만한 만만한 책은 아니다.

많은 과학자들중 사람들의 입에 가장 많이 오르내리는 유명한 과학자이지만 실제로 갈릴레이란  인물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은 얼마되지 않는다.

위대한 업적을 많이 남겼음에도 그가 남긴 업적도, 삶도 알지 못한다.  그 시대에 무모하리만큼 용감했던 그의 외롭고 피나는 투쟁같은 삶을 이 책을 통해 들여다보자.

연표와 그의 생애 용어설명까지 친절하게 설명되어져 있다.

그의 신념이나 고집등 갈릴레이가 왜 '종교에 맞선 불손한 과학자'라 했는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엘리너 루스벨트 아이세움 지식그림책 22
바버러 쿠니 지음, 이상희 옮김 / 미래엔아이세움 / 2006년 7월
평점 :
절판


미국의 대통령 프랭클린 루스벨트의 영부인으로 잘 알려진 엘리너 루스벨트는 여성최초로 유엔 인권 위원장을 지낸 바있다.

하지만 그녀의 어린 시절은 그렇게 화려하거나 행복하지 않았다.

그녀의 어머니는 엘리너가 태어났을 때부터 실망스러워했다. 또한 동생이 태어나고는 두 동생만을 양쪽에 두고 책을 읽어 줄 때 그녀는 멀찌감치 떨어져 그져 바라만 볼 수 밖에 없었고 손님이 오셨을때 그녀의 어머니는 자신의 딸을 할머니라 부를 만큼 부끄러워했다.

그렇지만 엘리너는 아버지에 대한 각별한 애정으로 그녀가 언제 어디를 가더라도 영부인이 되어 백악관에 들어갈 때조차도  아버지의 편지를 평생 간직했다고 한다.

 

9살에 고아가 된 그녀의 삶은 늘 외롭고 쓸쓸했다.

그녀는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 싶고 인정받고 싶어 공부도 열심히 했다. 또한 수영을 할 줄도 모르면서 겁쟁이로 보이지 않기 위해 물에 뛰어들 만큼 그녀는 그렇게 안간힘을 써왔다.

하지만 그녀가 늘 그런 우울하고 침울함 속에서도 큰 인물이 될 수 있었던 가장 큰 힘은 긍정적인 생각을 할 수 있었던데서 비롯된다.

그녀의 삶이 고달팠고 외로웠기때문에 앨런스우드의 학교에서도 멀리 집을 떠나온 다른 학생들에게 더 따뜻하게 대 할수 있었고 빈민이나 복지, 평등과 같은것에도 관심을 가질수 있었던것이다.

 

늘 못생긴 오리라 치부됐던 그녀의 삶은 앨러스우드에 가면서 180도 바뀌게 된다.

'멋진 아가씨'라 불릴 만큼 인기도 있고 칭찬받고 사랑받는 학생이된다.

그러면서 이 책의 이야기는 끝맺음을 하고 있지만 그때부터 엘리너는 또다른 삶을 개척하며 살아간다.

비록 이 책에서 그것을 다 볼 수는 없지만 그녀의 뒷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또 다른 책을 찾아 볼 수가 있다. (같은 출판사의 "최초의 여성 유엔 인권위원장 엘리너 루스벨트"란 책이 있다)

 

지나치게 외모만을 중요시 하는 시대에 살면서 얼굴이 아닌 자신의 내면을 키우고 긍적적인 자세로 삶을 사는게 얼마나 큰 힘이 되는지를 보여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