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에겐 절망할 권리가 없다 - 김누리 교수의 한국 사회 탐험기
김누리 지음 / 해냄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거짓의 언어가 판을 친다

이것이 한국사회의 변혁을 가로막는 최대의 적이다

거짓 언어로는 현상을 파악할 수 없고 현상을 파악하지 않고서는 현실을 변화시킬 수 없다

우리가 진정 세상을 변화시키고자 한다면 먼저 모든 언어에 켜켜이 늘어붙어 있는

거짓의 때를 벗겨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에겐 절망할 권리가 없다 - 김누리 교수의 한국 사회 탐험기
김누리 지음 / 해냄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능력주의 숭배가 빚어낸 무한 경쟁과 극단으로 치닫는 불평등 끝없는 생존 절벽과 정치사회 혼란까지 지난 7년간 한국 사회의 적나라한 실상을 복기하며 오랜 절망과 무기력,다성을 깨부수고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한다 

인간의삶, 생존,생명이 존중받는 세상을 향하여 

오늘 대한민국을 살아가는 모든 이들이 읽어야 할 책

한국 사회를 지배해 온 거대한 기만의 장막을 벗기고 새로운 시각에서 한국사회개혁의 청사진을 제시하다

 

혼돈의 시대다 무엇이 옳고 무엇이 그른지 쉬이 판단이 서지 않을 때가 맣다 

과거의 동지들이 가장 험한 적이 되어 낯을 붉히고 뿔뿔이 흩어진다 

정체성의 뿌리였던 젊은 날이 통째로 부정당하는 고통을 날마다 겪는다 

악과의 싸움을 외려 쉬웠다 

용기만 있으면 충분했으니까 모순과의 싸움이 어려운 것이다 

그것은 냉철한 지성을 요구한다 

 

거짓의 언어가 판을 친다 

이것이 한국사회의 변혁을 가로막는 최대의 적이다 

거짓 언어로는 현상을 파악할 수 없고 현상을 파악하지 않고서는 현실을 변화시킬 수 없다 

우리가 진정 세상을 변화시키고자 한다면 먼저 모든 언어에 켜켜이 늘어붙어 있는

거짓의 대를 벗겨내야 한다 

한국 사회에서 진보가 과연 진보인가, 보수가 과연 보수인가, 민주주의가 과연 민주주의인가, 자유가 과연 자유주의인가,공정이 과연 공정인가, 단어 하나하나의 의미를 다시 묻고

또 캐물어야 한다 

 

불안은 한국 사회를 움직이는 본원적인 힘이며 사회를 통제하고 관리하는 숨은 지배자다 

불안은 인간을 길들이고,소진시키며,예속시킨다 

불안은 생명을 죽인다 

 

 

한국사회가 위대한 정치혁명의 전통을 지녔음에도 여전히 민주주적인 사회를 이루지 못한 것은 참여사회로 나아가지 못한 채 방관사회에 고착돼 버렸기 때문이다 

(2014. 8.17)

 

리뷰어스 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라운드 업 - 스타벅스 하워드 슐츠의 원칙과 도전
하워드 슐츠.조앤 고든 지음, 안기순 옮김 / 행복한북클럽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타벅스 하워드 슐츠의 원칙과 도전 

공정하고 평등한 세상,희망적인 미래는 가능한가

기업은, 그리고 기업가는 무엇을 해야하는가

세계에서 가장 존경 받는 CEO, 하워드 슐츠

세상을 보다 나은 곳으로 만들기 위한 30여년의 도전 

 

스타벅스 명예회장 1953년 뉴욕 브루클린에서 태어나 학창시절 임대아파트에서 자라며 가난이 무엇인지 몸으로 부딪히며 배웠다 

스포츠에 탈출구가 있다는 생각으로 미식축구에 전념하지만 테스트에서 떨어지고 

어떻게든 학교에 붙어 있어야 한다는 생각으로 연방정부의 학자금 대출을 받고 바텐더 아르바이트를 하며 대학공부를 마쳐다고 한다

가족중 처음으로 대학을 졸업한 후 영업상원으로 일하던 중 미묘한 커피맛에 반해 작은 커피 회사인 스타벅스에 마테킹 책임자로 합류하면서 4년 뒤인 1986년 이탈리아 스타일의 에스프레소 바를 여릭 위해 스타벅스를 떠나 "일 지오날레"를 열었고 1987년 스타벅스를 인수하며 CEO가 되었다

이 책은 스타벅스와 저자의 어린 시절에 관한 이야기라기보다는 저자가 태어난 미국에 관한 이야기다

스타벅스 시절 이야기는 개인의 경계를 넘어섰다 

이것은 재발견,회복,가능성에 관한 이야기다 

이 책은 쓴 동기는 미래를 낙관하기 때문이고 과거로부터 배운 교훈을 나누고 싶고 

공개한 적 없는 경험을 포함해 저자가 알고 있던 세상을 넘어서서 다른 미래를 상상하며 미지의 세계를 찾아 나서게 했는지 솔직히 밝혔다고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타벅스의 미래 - 누가 혼돈스런 변화 속에 마켓리더가 될 것인가?
맹명관 지음 / 새빛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71스타벅스가 2021 스타벅스에게 묻다 

누가 혼란스러운 변화 속에 마켓리더가 될 것인가?

스타벅스 프리즘, 기업의 미래가 확실히 보인다 

유니콘기업을 앞서고 코로나 팬데믹도 이긴 

스타벅스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경쟁력은 무엇인가?

코로나 19 2021년 스타벅스의 미래를 스케치하다 

20명 언저리에 가까운 젊은 청춘들이 동원 2021년<스타벅스의 미래>에는 이 청춘들의 몫이 땀이 서려 있다 

스타벅스에 대한 저자의 속내 그 스토리를 풀고 싶어 이 책을 쓴 목적이라고 한다 

어디 저자뿐일까? 사실 스타벅스에 대해 궁금한 한 사람으로써 정말 이 책을 읽고 싶었다 

현재는 1,600호점이 생길 정도로 스타벅스는 엄청난 가지를 치고 있다 

도대체 스타벅스는 어떤 의미일까 정말 궁금한 한 사람이다 


1950년 한국전쟁이 벌어지기 전 서울에 100여곳 남짓하던 다방은 

1959년 800여 곳, 1969년에는 5,000여 곳으로 크게 늘어났다 

이때 인스턴트 커피에 노른자를 동동 띄워주던 모닝 커피가 70년대 말까지 다방에서 고급 메뉴로 각광을 받았고 우리나라 커피 사랑은 멀리 구한말 고종라 알고 있는데 그전에 커피가 궁중에서 돌고 있었다고 한다 

1999년 이내 스타벅스 1호점의 등장이 인스턴트 커피의 시대를 내리고 진정 커피 문화를 즐기는 변곡점이 되었다는 것이다 

스타벅스 1호점은 이화여대 앞에 문은 연 것이 출발이다 

 

초기 스타벅스의 고객이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즐기는 사람들이었다면 

지금의 고객은 남과 나를 다른 존재로 구분하는 차별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여기서 한가지 주목할 것이 있다 

소비자들이 "원두의 풍미와 맛"으로 커피를 선택하는 커피 제 3의 물결, 이를 가치소비자들이 주도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스타벅스는 긋즈 마케팅 회사라는 말이 틀린 말은 아니듯 이들은 빅데이터에 근거해 상품을 기획하며 50여개 업체와 협업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낀대세이 - 7090 사이에 껴 버린 80세대 젊은 꼰대, 낀대를 위한 에세이
김정훈 지음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7090사이에 껴 버린 80세대 젊은 꼰대, 낀대를 위한 에세이 

80년대생 꼰대 

70년대생과 90년대생 사이에 껴버린 젊은 꼰대 

끼어 있는 세대라는 의미로 "낀대"라고도 불린다 

해야할 일은 잘알지만 하고 싶은 일은 잘 모르는 80년대생 

중간만 하는게 최고라는 말을 듣고 자라 진짜로 중간에 껴 버린 80년대생


80년대생 몇명이 신나게 떠들어 대기 시작하는 말들 

70년대생도 아니고 정말로 쿨한 90년대생도 아닌 

70년대생에겐 쿨해야 해요 라고 조언하고 90년대생들에겐 쿨함의 원조는 자기들 이라고

어필햐려는 새로운 DNA

쿨보다 핫이 편하긴 하나 이전 세대로부터 뜨거운 열정을 강요받긴 했지만 요즘 세대처럼

차가운 여유는 가져본 적이 없어서다 


낀대는 참지 않고 입을 여는 90년대생에게 부러움 반, 우려 반의 묘한 자괴감을 느낀다고 한다 

80년대생이 이때 이 모든 것을 겪은 때이구나하는 생각을 하면서 그때를 돌아보니 

그 시기가 80년대생임을 알게된다 

80년대생들은 국민학교를 입학해 초등학교를 졸업한 때 정말 세계관을 뒤흔든 최초의 혁명임을 알 수 있다 

1995년부터 국민학교에서 초등학교로 명칭이 바뀐때임을 다시 알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