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설명의 기술 - 3분도 길다. 30초 안에 상대가 고개를 끄덕이게 만들어라
이누쓰카 마사시 지음, 홍성민 옮김 / 레몬한스푼 / 2025년 7월
평점 :
'이 리뷰는 컬처블룸을 통해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3분도 길다. 30초 안에 상대가 고개를 끄덕이게 만들어라
인지과학을 기반으로 한 11가지 설명의 노하우
프레임에 넣기만 하면 말이 술술 풀린다고? 기대가 된다.
단절의 경우, 세대 간 이해도의 벽이 이전에 비해 높아졌다는데 그 원인이 있다고 한다.
음악,영화 같은 취미에서도 차이가 있고, 직장에서도 각자 자라온 성장 문화와 환경이 크게 다르기 때문에 각자의 사고방식과 지식의 간극은 꽤 크다.
같은 세대여도 직업 전문성에 따라 제한된 사람에게만 정보가 공개되어 그 실상을 알 수 없는 업무가 많아진 탓에 옆자리 동료가 지금 어떤 일을 하는지 모르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노동 방식이나 생활방식이 다양화되면서 그 격차는 더 커지고 있다.
이 시대는 '말로 하는 설명'이 엄청 중요함을 알게 되면서 11가지 설명의 노하우를 배우고자 한다.

읽는 순간 많이 느껴본 모습이다.
설명에 자신이 없다는 사람이 흔히 하는 착각, 대개 그들은 자신의 이야기가 따분하거나 자신이 설명을 못하는 것은 말투나 몸짓, 또는 화제 자체에 문제가 있어서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1천명이 넘는 사람들의 '설명'을 분석했을 때, 그것이 진짜 문제인 경우는 극히 드물었고 자신의 말이 상대에게 전달되지 않는 이유는 표면적인 기술 부족이 아니라고 한다. 뭐지? 정말 궁금해진다.

1천명의 사례를 분석한 후 찾아낸, 설명이 따분해지는 이유는 이야기 화제를
상대의 지식과 관심 정도에 따라 4가지 영역으로 나눠서 생각할 필요가 있다.
미지의 영역,,,상대가 알지 못하는 화제
관심의 영역,,,상대가 의식하고 있거나 흥미를 갖고 있는 화제
관계의 영역,,,상대와 관계가 있는 화제
자기의 영역,,,상대가 이미 충분히 알고 있는 화제
이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생각해봄으로써 설명이 따분해지는 이유를 먼저 찾아내는 시간을 가져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