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비비씨 드라마 디 아워 시즌2가 시작되었다. 유일하게 방송 시간 기다려 가면서 보는 텔레비 프로그램이다. 비비씨에서 다운받아다 이동간에도 본다. (요즘 기차간에서 책을 잘 보지 않는다. 영화나 테레비 방송을 보거나 음악을 듣거나 오디오 북을 듣거나 그런다.)

디 아워의 작가는 여자다. 전형적인 남자들의 세계(정치, 첩보, 음모...)를 그리고 있는 작품이지만 여성 작가의 정체성을 찾아내기가 어렵지는 않다. 그런데 그 정체성이, 우리가 흔히 말하는 "여성적인" 어떤 것과는 분위기가 많이 다르다.

예를 들면, 주인공 중 하나인 프로듀서 미스 롤리. 작가는 롤리를 확실한 신념을 가진 유능한 프로듀서로 그리지 않는다. 롤리는 끊임없이 변명을 해대며 툭하면 말을 버벅댄다. 롤리가 여성스러운 매너에 아름다운 용모를 지니고 있고, 그런 전통적인 여성성에 대해 자각하고 있는, 그러나 실력면에서는 다소 엉성한 언론인으로 보인다면, 그건 작가의 의도대로일 것이다. 작가는 주인공 롤리를 이상화하지 않는다. (여성성을 초월하는 것으로도, 여성성의 전형으로도)

진행자 헥터의 아내 모니. 헥터는 유명 시사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인기인이고, 모니는 곱게 자란 전업 주부다. 헥터는 자신의 유명세를 만끽하며 유흥을 즐긴다. 헥터는 타고난 바람둥이다. 작가는 그렇게 바람을 피우는 헥터와 집에서 음식을 준비하며 그를 기다리는 모니를 대조해 보여준다. 여기까지인가? 아니! 식당에서 식사하며 직장 일만 이야기하는 헥터에게 모니는 "당신은 나를 지루하게 한다."고 비난한다. 그러나... 어쩌면 헥터를 밖으로만 돌게 한 사람이 모니일지도 모른다. 작가는 모니가 남편 헥터를 기다리며 음식을 장만하다가 남편이 진행하는 시사 프로그램 대신 드라마를 보는 장면을 보여 준다. 헥터가 원하는 것을 모니가 줄 수 없고, 모니가 원하는 것을 헥터가 줄 수 없다. 관계는 일방적이지 않다...

여성 자신에 대한 여성 자신의 이런 냉철한 시선은 매우 드물다. 또 하나의 예로 아이리스 머독의 "그물 아래서"라는 작품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이 작품에서 여성적인 어떤 것을 찾아내는 것은 정말 어렵다. 오히려 여성에 대한 정치적으로 위험한 농담들이 대범하게 오가고 있다.

디 아워의 작가도, 그물 아래서의 작가도 영국 출신이라는 데 공통점이 있을 것이다. 물론, 그들의 국적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기질을 말하는 것이다. 영국 사람들은 자기 자신들을 농담 소재로 써먹는데 다른 누구네들보다 대담하다고 알려져 있다. (어쩌면 이 나라 사람들이 내성적이어서 그럴지도 모른다. 이 나라 사람들은 "너가 최고야!" 이런 말을 대놓고 하는 걸 쑥스러워 하는걸지도 모른다. 대신 "넌 정말 최악의 쓰레기야!", 이렇게 돌려 칭찬하는 걸 더 맘 편해 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다른 문화권 사람들에게는 충격이 될 것이겠지만... 역으로 말하면 영국 사람들이 그만큼 국제화가 덜 되어 있다는, 다시 말하면 촌스럽다는 뜻이 될 지도...) 예를 들면, 리틀 브리튼이나 오피스같은 비비씨 히트 작품들은 자기 자신들을 냉정한 눈으로 바라보면서 까는 내용이 전부다. 이런 영국적인 기질이 여성 작가에게 적용되면, 디 아워나 그물 아래서와 같은 작품이 나오겠지. 현실을 이상화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나는 지금 부정적으로 말하고 있는 것이 전혀 아니다. 예를 들어 디 아워를 보자. 배경은 50년대, 60년대 영국이다. 남성 언론인, 정치인들은 예쁜 무희들이 춤추고 노래하는 클럽에서 유흥을 즐기고 고급 정보를 거래한다. 손톱에 곱게 매니큐어를 바른 가정주부들은 집에서 남편이 귀가하기를 하염 없이 기다린다. 그들은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이해할 소양을 전혀 갖고 있지 못하고 관심도 없다. 똑똑하고 예쁘고 교육 잘 받은 일단의 여성 언론인들이 있지만, 그들이 그 자리까지 오를 수 있었던 것은, 그들이 위협이 되지 않으리라는 고위급 남성들의 판단이 있었기 때문이다. 주인공 프레디는 매우 유능하고 진보적인 언론인이지만, 자신의 동료였던 여성이 상사가 되자 이렇게 말한다: "너가 프로듀서가 될 수 있었던 것은 사람들이 널 이용해 먹기 편해서야. 여성은 까다롭고 감정적인데 도대체 왜 쓰겠어? 적당히 굴려 먹다가 임신했다고 잘라 버릴 수도 있으니까 그렇지..." 진보적인 언론인 프레디도 시대를 벗어나지 못한다. 진보적인 언론인 롤리도 시대를 벗어나지 못한다. 자신의 시대를 초월하는 유능한 여성이 있어 조직과 시대에 대항하면서 슈퍼맨같은 활약을 한다? 그것은 판타지지 현실이 아니다. 그리고 판타지는 언제나 증후일 뿐이다. 

(새로 부임해 온 상사에게 끊임 없이 변명을 해대며 습관적으로 말을 더듬는 롤리는 내게 진상 캐릭터라고 구박을 받는다. 그렇다. 롤리는 타협을 했고 타협을 통해 자리를 보존했다. 그러나 종종 보면 그런 사람들이 대형 사고를 친다. 타협한 사람들은 조직 내부에 있기 때문이다. 롤리가 과도하게 무능하게 그려지고 있는 첫 편을 보면서 이야기 전개를 이렇게 예상해 본다. 결국 롤리가 큰 건을 하면서 뭔가를 보여 줄 거라고. 아니면, 작가는 더욱 진한 현실성으로 나의 판타지를 박살내 버릴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게티에 문제에 대한 개괄적인 에세이 초고를 하나 썼다. 개괄적이긴 하지만 근본적인 접근을 하고 있기 때문에 나중에 배가 산으로 갈까 하는 등의 걱정을 하지는 않는다. 내가 지금 고심하고 있는 사상을 구체적인 사안에 적용하는 방식으로 게티에 문제를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에세이 개략을 쓰고 나서 무척 흐뭇했기 때문에 나에게 상을 줘야 겠다고 생각했다. 학생 카페에 가서 신라면 컵라면을 사 먹었다. 1 파운드. 전에 학생 카페에서 공부를 하는 데 익숙한 냄새가 풍겨왔었다. 옆에서 금발 머리의 여학생이 흐르는 콧물을 닦아 가면서 컵라면을 먹고 있었다. 나도 먹고 싶었지만 영국까지 와서 무슨 컵라면이야, 몸에 좋은 것도 아니고... 이러면서 참고 있었다. 먹어보니 한국에서 먹던 것보다 훨씬 맵고 독하더라. 그러나 어쨌든 싸다. -이렇게 알리바이용 점을 하나 찍어 둔다.

(학생 카페에는 한국 학생들이 더러 더러 있다. 어떻게 아냐고? 한국말로 신나게 떠들고 있으니까. 엮일 일을 만들고 싶지 않아서 나는 가능하면 한국말을 못알아 들으려고 노력한다. 그런데 그 학생들은 내가 한국인이라는 걸 알고 있을 것 같다. 언젠가 공부를 하고 있는 데 한국인으로 보이는 학생이 한국말로 "여기 앉아도 되요?"라고 묻더라. 나는 미소와 손짓으로 그러라고 했다. 보통은 "우쥬 마인드~" 이러면서 같은 테이블의 빈 자리에 앉는 것에 양해를 구하는데, 이 친구는 내가 한국인이라는 걸 확신하고 있었다는 얘기다. 어떻게 알았을까? 내가 중국인일 수도 있지 않은가? 내가 떠벌리고 있던 개떡같은 영어 때문이 아닐까... 이렇게 짐작하고 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몬스터 2012-11-16 21: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제 여기 친구를 위해서 떡볶이 요리를 해 줬었거든요. 요리가 산으로 갔다고 동생한테 문자 보낸게 생각나서 살짝 웃었습니다. 무엇이든 근본을 바로하는게 중요한 것 같아요. 한국 말로 댓글 남겨도 괜찮겠지요 (아..소심..ㅎㅎ)

회사 동료중 나이 지긋하신 분 중에 한 분 , 컵 신라면 무쳑 좋아하십니다. 을마나 자주 점심으로 드시는지..ㅎㅎ

글 잘 읽고 가요. 하시는 일 건승하시길..

weekly 2012-11-17 19:05   좋아요 0 | 수정 | 삭제 | URL
안녕하세요? 영국 사시는 것 같으네요. 블로그 둘러 봤는데 한 두 다리 건너면 아는 분일 것 같기도...:) 말씀 감사드리구요~ 저는 어제도 컵라면을 먹었네요:) (신라면은 너무 독해서 다른 걸루~)

좋은 주말 되세요~
 

여전히 비트겐슈타인이 철학계에 복귀했을 즈음에 생산된 자료들을 위주로 공부하고 있다. 혼란이 김처럼 모락 모락 피어오르고 있다. 내가 "논고"에 대해 어느 정도 선명한 이해를 갖고 있었던가? 그렇게 확신하고 있었던가? 욕실의 김서린 거울처럼 모든 것이 희뿌연해 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석사 학위 논문 주제를 정해야 한다고 해서 비트겐슈타인의 "논고"라고 알려 주었다. 비트겐슈타인이 철학계로 복귀한 때인 1929년 앞 뒤의 기록들을 위주로 독서를 했다. 몽크의 전기에서, 비트겐슈타인이 오그덴의 책에 대해서 "철학은 그렇게 쉽게 정리하고 넘어갈 수 있는 것이 아니야!"라고 비판한 부분이 기억에 남는다. 비트겐슈타인과 무어는 마냥 무난한 관계가 아니었다. 그럼에도 비트겐슈타인이 철학계에 복귀하여 첫 강의를 시작했을 때부터 무어는 그 강의에 참석하여 강의를 노트한다. 비트겐슈타인이 죽고 난 후 무어는 이 강의들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해 발표한다. 오늘 그 일부를 읽었는데, 학생들의 강의 노트보다 생생한 맛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 같았다.(다시 말해서 무지 지루했다.) 무어는 매우 솔직 담백한 사람이었던 것 같다. 그의 논문을 보면, 어떤 면에서는 과격할 정도로 담백한 면도 있는 것 같다. 비트겐슈타인은 무어의 그런 순수함을, 철학적으로 깊지 못하다고 비판하곤 했다. 무어는 비트겐슈타인을 인간적으로 좋아하지 않았고 비트겐슈타인에게 직접 그렇다고 말했다. 너를 좋아하지는 않지만 너가 철학적 영감을 주니까 너의 강의에 참석하고 너와 철학 토론을 하는 것이라고. 무어의 그런 솔직함이 비트겐슈타인에게 상처가 되지는 않았으리라. 비트겐슈타인이 죽기 직전까지 몰두한 작업도 무어의 논문에서 발단이 된 것이었다. 나도 비트겐슈타인을 인간적으로 좋아하지 않는다. 나도 무어처럼 비트겐슈타인이 매우 계발적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의 사유의 흔적을 탐색하고 있는 중이다. (나는 제너시스 음악의 어떤 부분은 매우 병적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내가 제너시스에서 가장 즐겨 듣는 부분은 바로 그 병적인 부분이다. 나는 무어만큼 솔직할 수는 없는 사람일지 모르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2-11-08 12:01   URL
비밀 댓글입니다.

weekly 2012-11-08 19:31   좋아요 0 | URL
럿셀의 묘사에 따르면 무어는 순수한, 혹은 솔직한 사람의 전형과 같은 사람인 것 같습니다. 무어가 비트겐슈타인을 인간적으로 싫어하지만, 그의 철학에는 흥미가 있다고 말했다면 정말 그랬을 겁니다. 영국에는 이런 양단이 확실한 인물들에 대한 이야기가 많지요. 예를 들면 스펜서 같은 경우지요. 친구 하나가 스펜서에게, 속기사를 두고 책을 받아 적게 할 때 속기사가 예쁜 아가씨면 집중하기가 매우 힘들다고 말하자, 스펜서는 그 친구를 물끄러미 바라보다가 "정말 그래?"하고 되물었답니다. 스펜서는 젊고 예쁜 여자 속기사에서 "젊고 예쁜 여자"는 제끼고, 속기사를 속기사로만 바라볼 수 있는 도통한(!) 사람이었던 거죠. "도통한"을 우리말로 하면 "비인간적"이 될 터이구요. 이런, 이성이 지나치게 발달한 사람들의 교우 관계는 지적 콘텐츠를 매개로 하는 경우가 많겠죠. 비트겐슈타인은 자신이 사람들로부터 경외를 받고는 있지만 사랑을 받고 있지는 못하다는 점을 잘 알고 있었고, 그랬기에 사랑을 갈구했었고, 그랬기에, 제 생각에는, 종교, 즉 신이라는 관념에서 결코 이탈하려 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반면, 스피노자는 친구들과 이웃들로부터 사랑과 존경을 함께 받았죠. 어떤 친구가 스피노자에게 보낸 편지를 보면, 그 애정 어린 표현들에 제 입가에 저절로 미소가 지어질 정도고요. 제 생각에는, 예쁜 여자 속기사에서 "예쁜 여자"를 보지 못하는 사람은 도통한 사람이 아니라 사람에 무감각한 사람인 것 같습니다. 예쁨, 지성, 위트, 유머, 관대함, 재력 등등은 분명 그 사람의 매력을 구성하는 주요 부분들일 겁니다. 만일 어떤 사람이 지적 능력은 탁월한데 성격이 까칠하다고 한다면, 저라면 그 사람의 성격적인 단점은 가능한 제끼고 그 사람의 장점에만 주목해서 관계를 유지하려 할 것 같습니다. 까칠한 성격을 감수할 정도로 그 사람의 지성이 뛰어나다면 말이죠. 그런데 이 말은 그 사람이 내게 매력적이라면, 이라는 말을 복잡하게 말하는 것에 불과할 겁니다. 만약 어떤 사람이 엄청난 갑부이지만, 제가 그 사람의 재력에 별 관심이 없다면, 그 사람의 재력은 제게 별 매력을 주지 못하는 거겠죠. 그 사람의 다른 어떤 부분이 특별히 제게 매력을 주지 않는 한 그 사람은 제게 전혀 매력이 없을 수도 있을 겁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정서적 교류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인간적 편안함, 관대함, 신뢰감 등에서 커다란 매력을 느끼는 경우가 많을 겁니다. 저도 마찬가지고요. 그러나... 철학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 대체로 덜 관계지향적인 것도 사실인 것 같습니다. 아이리스 머독이 "I hate contingency. I want everything in my life to have a sufficient reason."("그물을 헤치고" 중에서) 라고 말한 바 있는데, 저도 물론 공감합니다. 엊그제 도서관에서 비트겐슈타인의 글을 적어 온 게 있는데, 물론 크게 공감하지는 않지만, 그것이 철학자(도)들의 기본 성향을 정확하게 표현하고 있다는 점은 부정하지 못하겠습니다.

"Don't be dependent on the external world and then you have no fear of what happens in it... It is x times easier to be independent of things than to be independent of people. But one must be capable of that as well."
 

비트겐슈타인의 캠브릿지 강의록을 다시 꼼꼼하게 읽고 있다. "논고"나 "탐구"를 읽고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에, 그 깊이에 의구심을 느낀 적이 있다면(지극히 자연스러운 반응이다!), 이 책을 읽어 봐도 좋을 것 같다. 비트겐슈타인이 의심의 여지없이 심오한 철학자라는 걸 단박에 느끼게 될 테니까. 이 책에 나타난 비트겐슈타인은 럿셀과는 완전히 다른 세계에 사는 철학자다. 비트겐슈타인이 육성으로 자신의 철학에 대해 해명한 자료가 그토록 많음에도 그가 제대로 이해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은 거의 이해불가능한 일이다. 사람들이 그를 기를 쓰고 오해하려 하지 않은 한은 말이다. 그런데 나는 이 점을 점점 의심하게 된다. 예를 들면 이런 경우다. 와이즈만이 기록한 대화록에서 비트겐슈타인은 단 한번 하이데거에 대해 언급한다. 그런데 웃기게도 필로소피컬 리뷰에 실려 출판되었을 때, 와이즈만의 원래 대화록에서 "하이데거에 대해서: 나는 하이데거의 존재와 불안이라는 말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아주 잘 알 수 있다."라는 비트겐슈타인의 말은 삭제되어 버렸다. 이 말이 삭제된 이유는 너무도 분명해 보인다. 바로 이와 같다! 세상엔 이해하려는 노력보다 차라리 이해하지 않으려는 노력이 더 왕성하다. 그리고 그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일인 것이다. 철학자들의 세계는 다를 거라고? 정말 그렇게 생각하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