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신간도 하나 나오고 해서, [주자어류] 관련 자료들을 정리해 봅니다.

 

1. 원전

 

주자와 제자들의 어록을 분류하여 모은 책이라는 뜻입니다.

공자에게 [논어]가 있다면, 주자에게는 [주자어류]가 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당연히, 제자들의 필기가 여러 종 있었을 것이고, 여러 전사본들이 있었으며, 우리가 지금 보는 것은 여정덕(黎靖德)이라는 학자의 판본입니다.

여기에 대한 세세한 성립사는 너무 길어질테니 패스.

 

 

 

일반적으로, 중화서국에서 나온 8권짜리 [주자어류]가 많이 보급되었습니다. 번체자로 나와주시기까지. 이후에 岳麓書社란 곳에서 나온 4권짜리도 있습니다만, 간체자라는 점.

[성리대전]이나 [사고전서] 영인본 등도 있었고.

연구자라면 당연히 알 것이고, 일반적으로는 볼 일 없을 테니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2. 번역서

 

1998년, 당시 갓 학부를 졸업한 허탁과 이요성이라는 젊은 연구자들이

누구도 시도하지 못했던 거대한 작업에 도전하였기에,

학계에 신선한 충격을 던졌습니다.

 

[주자어류]가 전 140권인데, 번역본 4권까지가 卷十三 學七 에 해당되니

대략 십분의 일 정도를 번역한 셈입니다.

다 번역이 된다면 대략 40권 정도의 분량이 되겠군요. 

후속 작업이 그 이후로 안 나오고 있는데 ... 아쉬운 마음입니다.

 

성리학의 나라답게 어류 정도는 전문 번역이 되어야 할텐데 ...

전공자들이 작심만 하면 금방일텐데, 다들 뭔 짓을 하는지!

(내가 왜 걱정? ^^)

 

참고로, 일본의 경우 우리보다 늦게 번역이 시작되었는데,

지금은 얼추 마무리를 보나 어쩌나 ... 

(汲古書院이란 곳에서 나오는군요.) 

그 전에 朱子學大系(阿部吉雄 編)라고, 7~80년대에 나오던 총서에 일부가 포함되긴 했었으니 늦다고 하긴 좀 그렇군요.

 

 

 

 

 

 

 

 

 

 

 

 

 

 

 

 

 

 

 

 

 

 

 

 

 

 

 

 

 

 

 

 

 

 

 

 

 

정문연의 연구자들도 앞부분에 대한 번역서를 펴냈습니다.

범위도 당연히 청계 판과 겹치는 卷十三 學七까지입니다.

앞부분부터 읽어나간 결과물을 발표한 것이 당연하겠습니다만,

독자의 입장에서는 서로 조율을 해서 한쪽은 바로 뒤에 나오는 [사서어류] 부분을 번역한다던지 했으면 어땠을까 싶네요. ^^

 

 

 

 

 

 

 

 

 

 

 

三浦國雄 선생이 펴낸 주자에 대한 평전, 연구서 등은 국내에 소개되기도 하였는데, 이 책은 주요 부분에 대한 발췌 번역입니다.

 

참, 비록 [논어] 부분에만 한정되긴 하지만 해당하는 [어류]를 번역한 책이 있군요.

 

 

 

 

 

 

 

 

 

 

그 밖에 [주자서당은 어떻게 글을 배웠나] 같이 [어류]의 공부론 부분을 번역한 책도 있었고 ...

 

 

3. 주석서 및 연구서

 

 

 

 

 

 

 

 

 

 

 

 

 

 

 

 

 

 

 

 

 

 

여정덕의 [어류]를 재편집한 것으로, 송시열과 그의 제자들이 완성한 작업물입니다. 송시열에게는 [주자대전차의(朱子大全箚疑)]라는 또 하나의 엄청난 작업이 있지요. 

 

 

 

 

 

 

 

 

 

 

 

 

이번에 따끈따끈하게 나온 이의철의 [고문해의]는

조선시대에 나온 아마도 최초의 [주자어류] 연구서 겸 사전입니다. 

이 책은 번역본은 아니고, 원문에 대한 표점교감본입니다.

당연히 번역본을 내줘야지, 이런 한문 표점본을 누가 본다고 ...

(누가 보긴 보죠. 연구자들이 보는데 ... 어지간한 연구자들이라면

영인본으로 다들 구해놓았을텐데 말입니다.)

 

참, 위에 소개한 허탁 이요성의 번역본에서는 [고문해의]의 해당 부분을 함께 번역한 바 있습니다. 십몇 년 전에 학부 갓 졸업한 새파란 젊은 학도(?)들도 하던 거를, 무려 성균관대에서는 뭐하다가 이제 겨우 표점교감본 하나 내놓는겨 ...

 

사계가 아주 잘 돌아가는구나.

 

이상.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준다 2014-07-17 14: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일본에서는 이기와 귀신, 소학, 독서법, 지수, 역행, 대학1, 훈문인, 석씨, 노장 등이 번역 출간되었습니다. 기실 논어, 주역, 예기, 소강절, 문장론 등도 오래전에 역주로 제출된 적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몇년 전에 전남대와 대구한의대에서 공동으로 번역하여 이미 완역을 했다고 들었는데 파일형태이지 아직 출간이 안 되어서 아쉽습니다.

비로자나 2014-07-17 09:50   좋아요 0 | URL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영호남 사림이 합동으로 거대한 작업을 했군요.
규모로 봐서는 학진에서 번역비 지원 정도는 받았을 것으로 추정되는군요.
금시초문인데 ... 어서 보고 싶네요.

준다 2014-07-17 12: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주자대전(주자문집)은 전편이 출간되었는데 한정 비매품이라 여력이 되어도 살 수가 없고 후편 출간은 장기간 보류랍니다. 주자어류 출간은 가능성이 훨씬 더 낮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훌쩍.

비로자나 2014-07-17 15:28   좋아요 0 | URL
주자대전 번역본이 무려 우리나라에서 나왔다고요?
그런데 그걸 비매품으로 한정판을 찍어서 지들끼리 나눠 돌렸다고요?
아, 우아하군요 우리의 사계는.

그나저나 ... 사천에서 나온 주희집 샀었는데 ㅠㅜ 보지도 않을 거 괜히 샀어~
그냥 주서백선 정도나 샀으면 보기라도 했을 것을 OTL

2014-07-18 02:1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4-07-18 15:52   URL
비밀 댓글입니다.

준다 2014-07-18 00: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차차 그리고 여강출판사에서 나온 주역본의라는 책에 주자대전과 주자어류의 주역 관련 내용이 완역되어 실려 있으니 참조하세요. 절판된 책이란 점이 아쉽지만요.

비로자나 2014-07-18 15:51   좋아요 0 | URL
백은기 교수의 주역본의, 저도 입수하려고 꽤나 노력하는데 힘들군요.

주자대전의 내용이 일부나마 들어있는 책이라면 박완식 교수의 대학 중용도 꼽아야 되겠지요.

주자의 시도 일부 번역된 적이 있긴 하고 ... ^^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2014-07-18 18:1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4-07-22 13:3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4-11-18 00:0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4-11-18 10:14   URL
비밀 댓글입니다.
 

대한제국 시절 이래로 한의계 최대의 베스트셀러였다고 하는 [방약합편]입니다. 혜암 황도연 선생의 [의종손익] 중 '손익본초' 부분과 [의방활투] 및 기타 등을 합쳐서 아들인 황필수 선생이 펴낸 책입니다.

 

 

 

 

(당시에 [동의보감]은 25권씩이나 되는 거질이었기 때문에, 베스트셀러가 되진 못했을 겁니다.

박지원의 [열하일기]를 보면 조선에서도 못구하는 [동의보감]의 청나라 판본을 구경하고 감탄하는 내용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출판 사정이 그다지 좋지 못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세계 최초로 금속활자를 만들어낸 문명 대국의 쇠락?)

 

 

 

 

 

 

 

 

 

 

 

 

 

 

 

 

 

아마 많이들 보실 판본입니다.

(많이 보는 이유는, 휴대가 용이한 포켓판이 함께 나온다는 점 때문.

뭐가 포켓판인지는 사이즈를 딱, 보면 아시겠죠?)

무념무상으로 사서 내용만 확인하기에는 남산당 판이겠고,

좀더 자세한 설명을 원한다면 영림사 판이겠지요.

 

남산당 판은 70년대에 활판으로 나왔던 책으로, 편집체제가 조선시대 판본과 비슷하게 상-중-하통이 모두 한 페이지에 있습니다.

즉, 페이지를 나눠서 상통도 1쪽부터 시작, 중통도 1쪽부터 시작, 하통도 ... 뭐 이런 독특한 편람 방식입니다.

활자 배열이 조잡한 면이 없지 않지만 가격이 싸다는 최대의 장점이 ... 

 

영림사 판은 컴퓨터 조판으로 가독성을 높이고 편집도 일반적인 보통 책처럼 순서대로 나갑니다. 가장 큰 특징은 처방 및 본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아주 많이 보강되어 이 책 한 권만으로도 어지간한 본초학 및 방제학 입문서 정도로는 충분할 정도라는 것입니다.

 

 

 

 

 

 

 

 

 

 

 

 

 

 

 

 

 

 

북한 과학백과사전출판사에서 나왔던 북한판인데요, 

북한 번역물들은 한의학 용어를 아주 많이 한글화하였습니다.

가끔은 너무 낯선 한글들이 나와서 되려 당황스러울 정도로 ... 

 

 

 

 

 

 

 

 

 

 

 

 

 

 

 

 

 

신재용 선생의 해설판은 약간은 변증론치적으로 방해를 하였습니다.

신민교 선생의 신증판과 더불어 자세한 해설이 강점입니다.

이학로 선생의 저서는 순환구조론이라는 본인의 학설로 [방약합편]을 고찰한 책입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최순화 2017-05-24 18:48   좋아요 1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제국은 1897이고 방합은 84니 조금 차이가 나지요? ㅎㅎ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wonderlandna&logNo=90140748393

 

http://www.ltool.net/chinese_simplified_characters_to_traditional_converter_in_korean.php

 

http://homepage3.nifty.com/jgrammar/ja/tools/tradkan.ht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음식 - 튀어나와요! 움직여요! 미니 깜찍 팝업북
와라베 키미카 그림 / 대교출판 / 2009년 3월
평점 :
절판


앙증맞은 크기인데도 펼치면 생동감 있게 잘 튀어나옵니다. 훌륭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애플비 미니 팝업북 세트 - 전4권
애플비북스 편집부 지음 / 애플비 / 2011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이 큼직하고 색감이 좋습니다. 팝업이 약간 밋밋합니다. 좀더 생동감 있었으면 더 좋겠습니다. 아이들이 잡아당겨도 훼손되지 않게 내구성도 보강했으면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