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대, 프리챌을 아는가? 숨어있는책은?

 

신촌 어느 골목 구석탱이에 그야말로 숨어있는 헌책방 '숨어있는책'과 같은 이름의

헌책 동호회 '숨어있는책'이 한창 흥성할 때, 헌책방 여기저기를 함께 다니며

책 이야기를 나누던 시절이 있었는데 ... (지난 세기말~ 이번 세기 초반의 이야기다)

 

프리챌도 한 순간 훅, 가고 ...

 

헌책방들도 어느새 인터넷 홈페이지를 하나둘 만들기 시작하더니,

알라딘 등의 인터넷 서점이 헌책 판매 중계업을 시작하고,

급기야는 직접 오프라인으로 중고서점을 만들어 책을 사고 팔기 시작했다.

 

한때의 헌책방 동호인으로서, 약간의 안타까움에 ...

알라딘 중고서점은 그동안 일부러라도 가보지 않았더랬다.

 

입구에는 이런 문구가 반겨주고 ...

(품절절판도서를 앞세운 영리한 전략이라고 볼 수도!)

 

어머나, 은행도 아니고 무슨 ... 무장점원씩이나 ㅎㄷㄷ

 

요렇게, 고객이 방금 팔고 간 책 ... 요런 건 꽤나 재미있는 시도이다.

무슨 동 누구누구의 서재에서 나온 책, 이런 팻말도 붙어 있고 ...

 

역시 헌책방 하면 양서 코너에서 숨은 보물을 골라내는 재미지.

간혹 아주 낡은 페이퍼백이나, 8~90년대의 국내 해적판 영인본도 섞인

이 외서 떨이 판매 코너는 모든 책이 단돈 2,000원 !

 

인문 사회 분야 서적의 비중이 많지 않았는데, 아쉬움을 여기서 달랠 수 있었다.

 

하지만 제값 받고 팔겠다는 진짜 외서 코너의 책들도 있었다.

반지의 제왕 하드커버 시리즈를 36,000원대에 팔고 있었음.

이 정도면 아마존에서 새 책을 살 수도 있는 값인데 ...

(물론 각종 부대비용을 생각하면 딱, 적당한 가격이다. ^^)

 

이렇게, 한때 베스트셀러였지만 지금은 많이 찾지 않는,

오히려 서로 팔려고 내놓는 경우가 많은 책들이 많이 쌓여 있는 것도 한 특징.

책방 주인이 구간과 신간 서적들에 대한 방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선별적으로 책들을 매입하고 수요가 높은 책들을 적절히 서가에 배치해야

도서 회전율이 높아지는 법인데 ...

아무래도 그냥 점원이 기계적으로 이 책 저 책 죄다 매입하다 보니 ...

(오늘도 대형 서점 걱정!)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흠 ... 중국의 주춘재 만화들도 열심히 번역된 바 있지만,

만화대국 일본에서 나온 책들이라 기대가 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대식 이라는 분이 번역했네요. 1988년에 초판, 2015년에 재간행되었습니다.

 

[사상의학원론]도 상, 하권으로 나뉘어 번역되었고 ...

 

일본에도 사상의학 연구자들이 있다니 ...

 

그러고 보니, 일본 저자의 사상의학 개설서가 번역, 소개되기도 했었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교적 최근에 발견되거나 형성된 마이너 판본들

 

 

《桂林古本伤寒杂病论》介绍《伤寒杂病论》是中医四大经典之一,为东汉末年医学家张仲景所著,流传至今版本多样,桂林古本《伤寒杂病论》即为其中之一。1939年中医学家黄竹斋先生于浙江宁波访书期间,从桂林医家罗哲初先生处得张仲景四十六世孙张绍祖家藏《伤寒杂病论》第十二稿手抄本,是书16卷,内容与通行本《伤寒杂病论》有差异,多出1/3。

 

 

 

《涪陵古本伤寒杂病论》

系统地分析了伤寒的原因、症状、发展阶段和处理方法,创造性地确立了对伤寒病的“六经分类”的辨证施治原则,奠定了理、法、方、药的理论基础。书中还精选了三百多方,这些方剂的药物配伍比较精炼,主治明确。如麻黄汤、桂枝汤、柴胡汤、白虎汤、青龙汤、麻杏石甘汤。这些著名方剂,经过千百年临床实践的检验,都证实有较高的疗效,并为中医方剂学提供了发展的依据,被称为方书之祖。

 

 

《长沙古本伤寒杂病论》历十余年湖南何芸樵氏为之手写付印,即今之所谓长沙古本也(亦称湘本)。仅将可汗不可汗,可下不可下各篇凑合成数。质量方面较之桂林古本少出三分之一,名为伤寒杂病论,确是名不符实。其目录卷一,为论集(即原序)、平脉法上;卷二,平脉法下;卷三,伤寒例,杂病例;卷四,温病;卷五,暑、热、湿、燥之病;卷六至十一,辨六经之证治,卷十二至十六;辨杂病证治。

 

 

《白云阁藏本伤寒杂病论》逐渐在民间流传,并受到医家推崇。南北朝名医陶弘景曾说:“惟张仲景一部,最为众方之祖。”可以想像,这部奠基性、高峰性的著作让人认识了它的著作者,并把著作者推向医圣的崇高地位。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950년대에 나오던 초창기의 영인본을 다시 내나 본데 ...

딱, 그때 표지를 그대로 쓰고 있다 ...

생각해 보면, 고서의 영인본이라 하면 기본적으로 정자, 곧 번체자인지라

간체자로 문자개혁을 이룬 현대 중국에서 크게 수요가 있지는 않겠다.

 

뭐, 그런 이유로 50여년 만에 다시 찍어내는건가?

 

황제내경: 이게 소문 상,하 그리고 영추까지 합본인가?

 

 

황제내경소문 상

 

 

황제내경소문 하

 

 

황제내경영추

 

 

주해상한론 금궤옥함경: 역시, 분권된 것이 있고 합본된 것이 있다.

 

 

금궤옥함경

 

 

주해상한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