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의 그늘 당대총서 12
김동춘 지음 / 당대 / 2000년 5월
평점 :
품절


책을 읽고 나서 밀린 숙제를 한 듯한 기분이 되는 것, 누구나 경험해봤을 것이다. <근대의 그늘>이 나한테는 밀린 숙제같은 책이었다. 아끼고 자랑스러워하는 책꽂이에 두께 3cm 짜리, 제법 독서열을 자극하는 필자의 이름이 보이는, 그것도 양장본의 책이 1년 가까이 꽂혀 있었으니 그동안 부담을 갖지 않을 수가 없었다.

오늘 숙제를 다 했다. 후다닥 해치우듯이, 그러나 주황색 싸인펜으로 장쯔이의 얼굴이 그려진 책갈피를 대고 밑줄을 쫙쫙 그어가면서 열심히 읽었다. 3cm의 사이사이에 그려진 것은 그늘진 거울에 비친 우울한 우리의 자화상, '한국의 근대'이다.

대학교 때 김진균 교수의 짤막한 논문을 읽으면서 감탄을 했었는데 우리나라의 유별난 교육열이 반공체제와 관련있음을 조명한 글이었다. 성공회대 김동춘 교수는 '근대의 그늘'에서 교육열을 비롯한 그늘진 얼굴의 내면을 아주 건조한 어조로 파헤친다. 고등학생의 3분의1은 법대나 정치학과를 가고 싶어하고(물론 지금은 좀 다르겠지만), 부모들은 내 아이가 고시에 합격했으면 하면서도 뇌물공여-수수와 탈법을 자행하는 현실에 대해 '근대화의 오류'라는 칼날을 들이댄다.

아는 얘기라면, 다 아는 얘기다. 그런데 읽고 나니 또 답답하다. 우리의 사상적 지평이 무지하게 좁다는 것은 다 아는 얘기인데, 우리의 근대가 식민지 시절부터 왜곡돼 왔다는 것은 대학 입학 이후로 싫도록 들은 이야기인데, 아주 논리정연한 선생이 옆에 앉아 차분한 어조로 조목조목 들려주니 다시 화가 난다.

그래서, 이제 와서 어쩌란 이야기인가. 가야 할 길은 멀고 해야할 길은 많은데 기껏 매니큐어를 무슨 색으로 바를까 정도나 생각하고 있는 내 모습이 한심해서이기도 하고, 거대담론 앞에서 느껴지는 무력함이 너무 크게 다가와서이기도 하다. 한국의 근대 내지는 민족주의에 대한 글을 읽을 때마다 번져나는 짜증의 일종이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로에 선 자본주의 - Living with Global Capitalism
앤서니 기든스 외 지음, 박찬욱 외 옮김 / 생각의나무 / 2000년 11월
평점 :
절판


난 아직 아이가 없지만 내 주변에 아이를 키우고 있는 엄마들은 여럿 있다. (아마 이 글을 읽을 많은 사람들이 거기에 해당될 걸.) 그런데 그네들이 정말 '아이를 키우고' 있는 거냐고 되묻는다면, '예스' or '노' 대신에 여러가지 답변이 가능할 것이다.

내 주변의 여자들은 직장에 다니고 있고, 집에서 아이를 직접 '키우고' 있는 것은 다른 여자들이다. 아이를 키우는 여자들의 종류는 할머니, 외할머니, 가정부 등 다양하다. 가정부의 종류도 여러가지가 있다. 나이 지긋한 '할머니' 급의 가정부가 있는가하면 조선족 여자도 있다. 가정부 중에는 자기 아이를 다른 여자에게 맡기고 남의 아이를 보러 온 사람도 있을테고, 자기 손녀를 보는 대신에 돈을 볼러 나온 사람도 있을 것이다.

나 역시, 만일 아이를 낫는다면 위에 열거한 케이스 중의 어느 하나가 될 것이 뻔하다. 적어도 내가 '남자같은 생활'을 포기하지 않는다면은. 그렇다면 내 아이를 키우는 어떤 '아이엄마'는 자신의 아이에게 갔어야 마땅할 애정의 일부를 내 아이에게 '전이'시키면서 어떤 감정의 기복을 겪을까. 또 나는 이렇게 체계화되고 조직적이면서 동시에 '사적인' 것으로 치부되는 '보살핌의 사슬' 속에서 어떤 변화를 얻을 것이며, 내 계산기에는 어떤 손익표가 나올까.

나는 조선족 가정부에게 내 아이를 맡길 수는 있지만 필리핀인 가정부에게 맡기는 것은 주저할 것이고, 필요에 따라 미국 사람을 상대로 이메일을 통한 취재를 할 수는 있지만 먼 나라의 기자들보다는 내 주변 친구들에게서 가장 큰 '친화력'을 느낀다. <기로에 선 자본주의>는 나같은 사람들, 나처럼 '기로에 선' 사람들에 대해 성찰해보려 하는 책이다. 앤서니 기든스와 윌 허튼 편저.

필자들의 면면이 화려하다. 두 사람의 편저자를 비롯해 미 연방준비은행 총재를 지낸 폴 볼커, 울리히 벡, 로버트 커트너, 조지 소로스까지. 훑어보는 주제도 다양하다. 정보화 사회, 국제 금융시스템과 IMF의 기능, 소득 불평등 문제, 환경 제국주의, 글로벌 시대에서 '개인주의'의 문제, 미디어 제국주의, 그리고 '보살핌의 사슬'까지 종횡무진 오간다. 그러나 이 모든 문제를 포괄하는 핵심은 결국 '세계화'라는 것, 그리고 그 세계화의 동력인 '국제금융자본주의'라는 것으로 요약된다.

책 자체에 대해 평을 하자면, '평이하다'. 큰 담론들이 짤막한 글들에 담겨 있어 깊지 않으며, 자칫 하나마나한 소리로 치부될 거대 규모의 해법들로 가득차 있다. 난 당장 옆구리가 쑤신데, 어깨가 결린데, '의료체계의 개혁'이라고 쓴 처방전을 준다면 화가 나지 않을리 없다. 더우기 번역도 거지같다.

그렇지만 '별 1개'로 점수를 매기기에는 좀 아깝다. 여러가지 화두를 던져주기 때문이다. 앞서 말한 '보살핌의 사슬'이라는 것도 그렇고, 환경 제국주의에 대한 것도 그렇다. 남쪽 나라들이 북쪽 나라들의 쓰레기를 떠맡아 지구적 차원에서 환경불평등이 심화되고 있다는 정도는 다 아는 얘기겠지만 눈꺼풀을 한번 뒤집고 읽으면 신문에서는 볼 수 없었던 재미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기로에 선 나에게 '니 얼굴을 똑바로 봐라'라는 자극을 던져준다는 점에서는 별 4개를 줄만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크레용 신짱 1
YOSHITO USUI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00년 11월
평점 :
절판


'짱구는 못 말려' 무삭제 원판이라고 하네요. 일본 이름 그대로, '크레용 신짱'이라는 이름으로 재출간됐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짱구'라는 희한한 이름으로 작명됐던 그 못된 아이의 이름은 노하라 신노스케, 엄마 이름은 노하라 미사에, 엄마가 신노스케를 부르는 호칭은 신짱입니다.

그런데 '오리지날'도 좋지만, '짱구는 못말려'라는 제목도 참 잘 지은 이름인 것 같애요. 신짱은 정말 못 말립니다. 아주아주 꼴보기 싫고, 아마 난 이런 애가 옆에 있으면 때려 죽이고 싶을 겁니다.

신짱이 하는 짓은, 한마디로 '남자들이 상상하는 짓거리'라고 할 수 있겠죠. 여대생 힐끔거리기, 백화점 여직원 엉덩이 만지기, 노처녀 선생님 약올리기 따위의 우스꽝스런 짓을 연달아 저지릅니다.

이 모든 행위는 성희롱에 해당되는 것이지만, '단지 신짱이 5살이라는 이유만으로' 얼렁뚱땅 넘어가게 됩니다. 신짱이 5살이라 해서 '용서가 되는' 것은 물론 아니죠. 당하는 여성들은 얼굴이 빨개지고, 무안해하고, 속상해하는 것으로 그려지니까요. 그것도 신짱의 성희롱은 항상 공개적인 장소에서 벌어지거든요.

여성으로서, 무지하게 기분나쁜 책입니다. 그런데 기분나쁘다면서 대체 이걸 왜 다섯권씩이나 보고 앉아있느냐. 재미있거든요. 것두, 엄청나게 재밌습니다. '짱구' 웃긴 거 다 아시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국의 패러독스 - 외교전문가 조지프 나이의 미국 진단
조셉 S. 나이 지음, 홍수원 옮김 / 세종연구원 / 2002년 7월
평점 :
품절


조지프 나이(Joseph Nye) 만큼 우리나라 언론에 코멘터로 자주 등장하는 사람도 드물 것이다. 이미 9.11 테러 1주년 특집을 다루는 여러 신문에서 나이의 이야기가 나왔고 인터뷰까지 다뤄졌다.

지금은 그 유명한 하버드대 케네디 스쿨 학장으로 있지만 클린턴 정권에서 국방부 국제안보담당 차관보를 지낸 것을 포함해 명실상부한 <외교전문가>로서의 경력을 쌓은 인물이다.

나이의 저서 중에는 <국제분쟁의 이해>라는 책을 읽은 적이 있는데, 이 책과 그 책은 성격이 좀 다르지만 스타일은 비슷하다. 둘다 <교과서>처럼 쓰여져 있다는 점에서 읽기에는 아주 편하다. 문장이 아주 명확하고 단순하기 때문에(노암 촘스키 식의 비꼬기나 신랄함, 폴 케네디 류의 '뻥튀기 기법' 같은 장식물들이 전혀 없다--) 이해 못할 문장도 없고, 그렇다고 똑별나게 인상적인 부분도 없다. 예컨대, 나이가 말하는 방식은 이런 식이다. '무엇무엇을 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 방법이 있다. 첫째, 둘째, 셋째...' 좋게 말하면 명쾌하지만 책 읽는 재미는 별로 없다. 아마도 나이의 <스타일>이 아닌가 싶은데, 문체 면에서나 저자의 캐릭터 면에서나 모두 해당되는 얘기인 것 같다.

<제국의 패러독스>에서 주장하는 것-하드 파워와 소프트 파워의 효과적 결합-은 이미 나이가 예전부터 얘기해왔던 것들이라서 사실 참신성 면에서는 떨어진다는 느낌을 받았다. 언론에 자주 등장하는 것만큼 내공을 추가시키지는 못했기 때문일까. 그렇지만 클린턴 시절 외교안보에 감놔라 배놔라를 했었던 인물이 조지 W 부시 정권 이후의 행보들, 특히 <미국의 오만> 내지는 <일방주의>라는 이름으로 비판받았던 일련의 작태들에 대한 시의적절한 평가를 내린 부분은 충분히 눈길을 끌만 하다. 또 나이가 갖고 있는 예의 <과장 없는> 스타일에 기대어 신뢰감 있게 읽을 수 있다.

한때 미국 외교를 좌지우지했던 즈비그뉴 브레진스키의 충고(<거대한 체스판>)가 원대한 통찰력을 가진 미국 엘리트 보수주의자들의 생각(제3국인이 보기에는 오만하기 짝이 없어 보이는)을 그대로 드러내보인 것이었다면, <제국의 패러독스>는 나름대로 합리성을 갖고 있는 미국의 중도적 지식인의 세계관을 내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읽어볼 만하다.

역자는 나이를 <보수와 진보, 어느 한쪽에 기울지 않는 예리한 지성인>이라고 평가해놨는데 일면 사실이고 일면 사실이 아니다. 미국은 하드 파워(군사력)를 과도하게 행사해서 소프트 파워(문화적 헤게모니)를 잠식해서는 안 된다, 즉 일방주의적 외교로 수하의 나라들을 기분 나쁘게 해서는 안 된다, 그렇지만 <전략적 이익>이 걸린 부분에서는 일방주의의 위험을 무조건 피해서는 안 된다...

이 책의 주장을 요약하자면 이것인데 읽다 보면 합리적인 부분도 많지만 '역시나 <미국의 오만함>을 완전히 버리지는 못하는군'하는 생각으로 책장을 덮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yra6 2009-10-03 14: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미국정도 되면 오만할만 하지요. 역사적으로 겸손한 강대국이 있던가요? 힘을 가졌을 때 오만한건 인간의 본성이 아닐까요. 한국도 강대국이 되었을 때 겸손하리라고 단정지을수 없는것 처럼요.
 
기관차 대여행 1 - 독일 아름드리 어린이 문학 8
미카엘 엔데 지음, 선우미정 옮김 / 길벗어린이 / 1996년 9월
평점 :
절판


어렸을 때 봤던 <짐 크노프와 기관사 루카스(Jim Knopf und Lukas der Lokomotivefhrer)>가 다시 출간됐다는 것은 나에게는 '복음'이나 다름없는 소식이었다.
엔데는 <모모>나 <끝없는 이야기>로 아주 유명하지만 이상하게도 <짐 크노프>는 우리나라에서는 별로 알려져 있지 않은 것 같다. 나는 운이 좋아서였는지, 엔데의 첫 작품인 <짐 크노프>를 먼저 읽었다. 1부는 원제 그대로 <짐 크노프와 기관사 루카스>였고, 2부는 <짐 크노프와 13인의 악당>이었는데 모두 두 권씩으로 돼 있었다.
너무 재미있어서 몇번을 들춰가며 보고, 삽화를 들여다보고, 머리와 가슴과 손과 간과 내장에까지 꼭꼭 간직해놨다. 그 뒤로 <모모>도 보고 <끝없는 이야기>도 봤는데 둘 다 아주 재미있었지만 <짐 크노프>만큼은 못했다.

이번에 새로 출간된 책을 보니, 제목에서부터 의역을 해서인지 내가 생각했던 느낌이 나지를 않았다. '알퐁소 12시15분전 임금님'은 그냥 '12시15분전 임금님'으로 돼 있고(나는 전자가 훨씬 멋있다고 생각한다) , 명백하게 중국을 상징하는 것이 분명한 리씨 공주의 나라는 '색동나라'로 돼 있다.
외국어를 되도록 안 쓰는 것도 좋지만, 문학작품에 등장하는 이름들은 절대로, 절대로, 무슨 일이 있어도 고쳐서는 안 된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 땅이름이건 사람이름이건 이름이 얼마나 중요한데...더우기 판타지 소설에서 이름을 다 바꿔버리면 어떡하냐구...

내가 봤던 옛날 그 책은 보라색의 얇은 표지에, 당시로서도 굉장히 엉성한 편집이었다. 번역은 아마도 독일문학 번역가로서 제일 오래된 축에 속하는 차경아씨가 했던 것 같다. 그런데 그 판본은 우리 집 책꽂이에서 밖에는 본 적이 없다. 왜 거기에 그 책이 있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여튼 그 책은 친구들 사이에서도 '나만 아는' 소설이었다.
나는 대학에 들어가서까지 엔데의 책을 봤는데, <마법학교>라든가 하는 별볼일 없는 책가지는 지금도 갖고 있다. 그렇지만 대학시절에는 어쩐지 좀 시들해졌다. 이유는 여러가지였을 것이다. 이미 유명한 작품들은 다 번역된 뒤라서 나중에 출간된 것들은 비교적 소품 혹은 습작 수준에 불과한 것들 뿐이었던 것도 하나의 이유였을 것이다. 겉멋이 한껏 들려 있던 대학생의 눈에 시큰둥하게 보인 탓도 있을 것이고.
마지막으로 보았던 것은 <마법의 술>로 기억되는데, 책 앞머리의 소개글이 참 웃겼다. 천사와 악마, 선과 악의 대결은 판타지의 기본 구조다. 그런데 서평을 썼던 우리나라의 어떤 이는 이 동화책을 가리켜서 '공산주의라는 악에 대항에 맞서 싸우는 민주주의를 형상화한 것'이라는 희한뻔뻔한 분석을 붙여놨다.

독일(서독) 사람인 엔데가 정말로 '공산주의에 맞서 싸우려는' 문화투사의 사명감을 갖고 썼는지, 아니면 우리나라의 어떤 무식이가 오바를 한 것인지는 알지 못한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나는 엔데의 책을 여러권 읽으면서도 '공산주의 대 민주주의의 싸움'이라는 반공 이데올로기의 냄새는 한번도 맡지 못했다는 것이다.
여튼 그 서평 때문에 곰팡이 낀 기분으로 책장을 들춰야 했던 <마법의 술> 이후로 나는 엔데를 '끊었다'. 그렇지만 내 마음 속에서 <짐 크노프>는 '꼭 다시 한번 보고 싶은 책' 목록의 우선순위를 항상 차지하고 있었다.

농담따먹기처럼 종종 인용되곤 했던 '자석으로 만든 영구기관', 조그만 섬나라에서 시작해 바다밑 대륙과 동방박사 이야기로 이어지는 조밀한 구조, 그리고 '어떤 동물과도 닮지 않은 것이 용(龍)이야'라고 했던 그 이야기, 엄마 기관차 엠마와 어린 기관차 몰리... 안타깝게도 이번에 나온 책은 어린이용으로 돼 있어서 그 때 그 책 그 감동을 다시 주지는 못하는 것 같다. 제대로 된 <짐 크노프>를 꼭 다시 보고 싶은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